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
Realization and Settlement of ‘Warm' Educational Commun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3A2067778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4 년 (2017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수홍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공동연구원 현황 박재국(부산대학교)
이상수(부산대학교)
김대현(부산대학교)
황순영(부산대학교)
KIMMINA(숭의여자대학교)
손환희(부산대학교)
노진형(경남대학교)
이동형(부산대학교)
구신실
정계숙(부산대학교)
정선영(인천대학교)
김진숙
박상완(부산교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은 2014년 소형단계의 <부모 참 역량 연구팀>과 <건강한 학교생태계 연구팀>이 연합하여 중형단계로 진입하였다. 한국 학교의 비생명적인 현상에 주목하고 학교의 혁신을 위해 ‘건강한 학부모 학생 교사 -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아젠다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를 3년간 수행해왔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및 특수교육 영역에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과 방향 설정, 구성 요인 탐색 및 요구조사, 학부모, 교사 등 각 agent의 공동체 구축 역량 척도 개발 및 교육공동체 구축의 영향 요인 등에 대해 간학문적인 통합을 지향하며 연구해왔다.
    이에 대형단계에서는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각급 학교 현장과 지역사회에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단계적으로 실현하고 정착시키는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교육현장 구성원 간에 따뜻한 생명적 관계를 회복시켜 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한 행복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post SSK에서의 K-교육공동체의 세계화에 대비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을 위한 전략, 방법론, 비전 제시
    ▸ 현장 중심적 연구를 통해 모형의 실현 가능성 증명 및 실천적 지식 축적
    ▸ 건강한 시민 육성을 위해 생애 주기를 잇는 교육의 연계성 및 지속성 연구
    ▸ 학부모, 학교와 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대학 수준의 허브 센터 구축
    ▸ 통합연구와 국제수준의 연구 지원을 통해 미래기반 창의적 인재 양성
    ▸ 초연결시대에 "K-교육공동체" 모형을 개발, 보급할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기반 구축
  • 연구요약
  • ▸ 학생, 학부모, 교사, 컨설턴트, 지역사회 등 agent 역량 증진 전략 개발 및 융합적 실천을 통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 모형의 실현
    ▸ 유아교육, 초중등 및 특수교육의 생애주기에 따른 융·통합적 연계연구로 지속 가능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성 제고
    ▸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순환적 관계망 구축 전략 개발과 실천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모형 지역사회 정착 → “K-교육공동체” 모형으로 발전
    ▸ 4차 산업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기반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 “K-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 기반 구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목표
    본 연구단은 2014년 소형단계의 <부모 참 역량 연구팀>과 <건강한 학교생태계 연구팀>이 연합하여 중형단계로 진입하였다. 한국 학교의 비생명적인 현상에 주목하고 학교의 혁신을 위해 ‘건강한 학부모 학생 교사 -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아젠다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를 3년간 수행해왔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및 특수교육 영역에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과 방향 설정, 구성 요인 탐색 및 요구조사, 학부모, 교사 등 각 agent의 공동체 구축 역량 척도 개발 및 교육공동체 구축의 영향 요인 등에 대해 간학문적인 통합을 지향하며 연구해왔다.
    이에 대형단계에서는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각급 학교 현장과 지역사회에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단계적으로 실현하고 정착시키는 연구를 본격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교육현장 구성원 간에 따뜻한 생명적 관계를 회복시켜 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한 행복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 post SSK에서의 K-교육공동체의 세계화에 대비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 학생, 학부모, 교사, 컨설턴트, 지역사회 등 agent 역량 증진 전략 개발 및 융합적 실천을 통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 모형의 실현
    ▸ 유아교육, 초중등 및 특수교육의 생애주기에 따른 융·통합적 연계연구로 지속 가능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성 제고
    ▸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순환적 관계망 구축 전략 개발과 실천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모형 지역사회 정착 → “K-교육공동체” 모형으로 발전
    ▸ 4차 산업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기반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 “K-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 기반 구축
    3)연구성과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는 연구과제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을 위해 건강한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한 연구를 비롯해서 가족-학교-지역사회의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노력과 함께 학생,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의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교육공동체의 생애주기를 연결하는 지속발전 가능성을 제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4년간의 연구를 통해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토대와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대형연구센터로서 자생력을 확보하는 기틀을 마련하여 높은 연구목표를 달성하였다. 구체적인 목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유아, 초·중등 학생 및 특수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를 하였으며, 교사 및 교육기관 대상의 컨설팅 및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아,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현장교사와 공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전문학습공동체 운영 및 지원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는 등의 agent별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3년간의 장기적인 부모 컨설턴트 양성교육과정을 통해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및 양성된 컨설턴트의 유아기 부모와 장애아동의 부모에 대한 지원을 통한 생애 지속적 지원 방안 가능성을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또한 자체 학술 세미나와 공동 연구를 통한 학교 급간의 연계를 도모하고, 유아 및 초·중등교육과 특수교육을 아우르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학술세미나. 학술대회, 심포지엄 등의 학술 행사, 연구, 실천 사례를 담은 자체발간 학술지「교육공동체연구와 실천」을 연 2회발간하는 등의 생애주기를 연결하는 따뜻한교육공동체 확산의 지속성 마련을 위한 교육공동체 구현 노력을 하였다.
    ▸ 따뜻한 교육공동체 실현과 정착을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의 MOU 체결하고, 컨설팅 프로그램에 컨설턴트로서 참여하였으며, 따뜻한 교육공동체 확산을 위한 ‘따공맘’의 자발적 학습공동체와 지역 유관 기관 부모공동체 지원 사업을 통한 실천공동체 활동을 시도하는 등의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순환적 관계망 구축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관계망 구축을 통해 협력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마을교육공동체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고, 따뜻한 교육공동체 모형을 위한 기초연구와 이를 통해 사회통합과 양극화 해소, 학교와 사회의 비생명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K-교육공동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및 K-교육공동체 모형 개발연구를 통해 K-교육공동체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K-교육공동체 모형적용을 위한 연구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적 방향을 설정하고 정과 우리의식의 실천 방안을 모색,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통해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실행체제와 그 운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 「Networking and cooperation for K-educational community」을 주제로 8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참여한 해외연구자들과 국제 연구협력팀을 구축하여 K-교육공동체 모형을 개발과 국제화 적용에 대비하였으며, 이후 국제 연구협력팀을 통한 데이터의 공유 및 공동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교육공동체에 대한 협력연구 ‘Sense of Community 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of Russian Students and Teachers’ 연구를 통해 러시아 학생과 교사 모두의 공동체 및 문화 공동체 역량 형성 및 개발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를 확인하고,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를 이해하고, 다양성을 세계 시민으로 받아들이는 대한민국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 사회 교육 비교 연구를 제안하였다.
    4) 활용방안내용
    ▸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을 위한 전략, 방법론, 비전 제시
    ▸ 현장 중심적 연구를 통해 모형의 실현 가능성 증명 및 실천적 지식 축적
    ▸ 건강한 시민 육성을 위해 생애 주기를 잇는 교육의 연계성 및 지속성 연구
    ▸ 학부모, 학교와 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대학 수준의 허브 센터 구축
    ▸ 통합연구와 국제수준의 연구 지원을 통해 미래기반 창의적 인재 양성
    ▸ 초연결시대에 "K-교육공동체" 모형을 개발, 보급할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기반 구축
  • 영문
  • 1) Research goals
    In 2014, this research group entered the medium-sized stage by combining the small-stage <Research Team on Parental Competence> and the <Research Team on the Ecosystem of Healthy Schools>. Paying attention to the non-living phenomenon of Korean schools and for school innovation, basic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three years to ‘build the foundation of a warm education community’ with ‘Healthy Parents, Students, Teachers - Compassionate Education Community’ as the agenda. Specifically, in the area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search for constituent factors and demand survey, development of community building competency scales of each agent such as parents and teachers, and factors affecting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etc. Research has been directed toward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erefore, in the large-scale stage, based on these basic research, we intend to carry out research to realize and establish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t each level step by step. In this way, it is intended to restore a warm and vital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of the Korean education fiel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happy socie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and to prepare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education community in post SSK.
    2) Research content
    ▸ Realization of a model for building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agent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consulta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convergence practice
    ▸ Enhancing the feasibility of a sustainable and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fusion and integrated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secondary and special education
    ▸ Establishing a model of a warm education community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to build a cyclical relationship network to promote family-school-community partnership → Develop a “K-education community” model
    ▸ Fostering future-based next-generation professionals to respond to the 4th industrial age
    ▸ Establishing the foundation for growth as an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spread of “K-education community”
    3) Research achievements
    Pusan ​​National University’s Compassionate Education Community Research Center is dedicated to promoting family-school-community partnerships, including research on the realization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where healthy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the local community work together for its research project, “Realization and Settlement of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Along with these effort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enhance the capacity of students, parent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realize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onnects the life cycl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four years of research, the found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spread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have been laid, and a high research goal has been achieved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securing self-reliance as a large research center.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specific goal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a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to realize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for infan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of special students, and conducted consulting an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ddition, education communities for each agent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realize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for infant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field teachers and joint researchers conduct research through joint operation and suppor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the implementation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 lifelong support plan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a long-term parental consultant training course for 3 years for the realization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and support for the parents of infancy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the trained consultants In addition, through self-study seminars and joint research,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was promoted, and research results cover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were achieved.
    Also, academic seminars to share practice cases. Academic events such as academic conferences and symposiums, and realization of an educational community for the continuity of the spread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that connects the life cycle, such as the publication of the self-published academic journal 「Educational Community Research and Practice」 containing examples of research and practice twice a year made an effort
    ▸ For the realization and settlement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MOU was signed with related institution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participated as a consultant in a consulting program, and 'Dagongmam''s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for the spread of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parent community of local related organizations It lai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establishing a cyclical network to promote family-school-community partnerships, such as attempting community-of-practices activities through support projects. By establishing such a network of relationships, the foundation for cooperative research was laid, and seminars related to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ere held, and basic research for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model was conducted, and through this, social integration and polarization were resolved, and the problem of non-viability between schools and society was resolved. I was looking for a way to do it.
    ▸ The basic research for applying the K-education community was actively carried out through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K-education community model, the search for factors affecting the warm education commun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K-education community model. However, due to the unexpected corona pandemic, there were difficulties in research for applying the K-education community model. Compassionate education through research to establish a conceptual direction for a compassionate educational community, seek ways to practice affection and our consciousness, and develop a practice model The implementation system for community building and its operation were presented.
    ▸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in which 8 countries participated under the theme of 「Networking and cooperation for K-educational community」, and an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team was established with participating overseas researchers to develop the K-educational community model and prepare for internationalization. After that,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team created a basis for data sharing and joint research, and through the collaborative research 'Sense of Community 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of Russian Students and Teachers' research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community and cultural community of both Russian students and teachers. To identify important predictors for competency formation and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various aspect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to propose a comparative study of community education for nurturing future talents in Korea who accept diversity as global citizens. .
    4) Contents of usage plan
    ▸ Suggest strategies, methodologies, and visions for the realization and settlement of a ‘warm education community’
    ▸ Proof of model feasibility and accumula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field-oriented research
    ▸ A study on the connection and continuity of education that connects the life cycle to foster healthy citizens
    ▸ Establish a university-level hub center that organically connects parents, schools and communities
    ▸ Nurturing future-based creative talents through integrated research and international-level research support
    ▸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for growth as an international center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K-educational community” model in the hyper-connected era

    Keywords: warm education community, education community, family-school-community partnership,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는 연구과제인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을 위해 건강한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과제의 실천을 위해 본 연구센터는 학생, 학부모, 교사, 컨설턴트, 지역사회 등 agent 역량 증진 전략 개발 및 융합적 실천을 통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 모형의 실현, 유아교육, 초중등 및 특수교육의 생애주기에 따른 융·통합적 연계연구로 지속 가능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성 제고,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순환적 관계망 구축 전략 개발과 실천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모형 지역사회 정착을 기초로 “K-교육공동체” 모형으로 발전, 4차 산업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기반 차세대 전문 인력 양성, “K-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를 목표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토대와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대형연구센터로서 자생력을 확보하는 기틀을 마련하여 높은 연구목표를 달성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는 4년간의 연구를 통해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을 위한 토대와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확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대형연구센터로서 자생력을 확보하는 기틀을 마련하여 높은 연구목표를 달성하였다. 구체적인 목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초·중등 학생 및 특수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연구를 하였으며, 교사 및 교육기관 대상의 컨설팅 및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아,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현장교사와 공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전문학습공동체 운영 및 지원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는 등의 agent별 교육공동체 구현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3년간의 장기적인 부모 컨설턴트 양성교육과정을 통해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및 양성된 컨설턴트의 유아기 부모와 장애아동의 부모에 대한 지원을 통한 생애 지속적 지원 방안 가능성을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또한 자체 학술 세미나와 공동 연구를 통한 학교 급간의 연계를 도모하고, 유아 및 초·중등교육과 특수교육을 아우르는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학술세미나. 학술대회, 심포지엄 등의 학술 행사, 연구, 실천 사례를 담은 자체발간 학술지「교육공동체연구와 실천」을 연 2회발간하는 등의 생애주기를 연결하는 따뜻한교육공동체 확산의 지속성 마련을 위한 교육공동체 구현 노력을 하였다.
    셋째, 따뜻한 교육공동체 실현과 정착을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의 MOU 체결하고, 컨설팅 프로그램에 컨설턴트로서 참여하였으며, 따뜻한 교육공동체 확산을 위한 ‘따공맘’의 자발적 학습공동체와 지역 유관 기관 부모공동체 지원 사업을 통한 실천공동체 활동을 시도하는 등의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증진을 위한 순환적 관계망 구축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관계망 구축을 통해 협력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마을교육공동체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고, 따뜻한 교육공동체 모형을 위한 기초연구와 이를 통해 사회통합과 양극화 해소, 학교와 사회의 비생명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넷째, K-교육공동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및 K-교육공동체 모형 개발연구를 통해 K-교육공동체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를 활발히 진행하였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K-교육공동체 모형적용을 위한 연구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적 방향을 설정하고 정과 우리의식의 실천 방안을 모색,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통해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실행체제와 그 운용에 대해 제시하였다.
    다섯째,「Networking and cooperation for K-educational community」을 주제로 8개국이 참여하는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참여한 해외연구자들과 국제 연구협력팀을 구축하여 K-교육공동체 모형을 개발과 국제화 적용에 대비하였으며, 이후 국제 연구협력팀을 통한 데이터의 공유 및 공동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교육공동체에 대한 협력연구 ‘Sense of Community 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of Russian Students and Teachers’ 연구를 통해 러시아 학생과 교사 모두의 공동체 및 문화 공동체 역량 형성 및 개발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수를 확인하고,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를 이해하고, 다양성을 세계 시민으로 받아들이는 대한민국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 사회 교육 비교 연구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의 활용방안은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실현과 정착을 위한 전략, 방법론, 비전을 제시하고, 현장 중심적 연구를 통해 모형의 실현 가능성 증명 및 실천적 지식 축적하며 건강한 시민 육성을 위해 생애 주기를 잇는 교육의 연계와 지속성을 연구할 것이다. 그리고 학부모, 학교와 지역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대학 수준의 허브 센터를 구축하고, 통합연구와 국제수준의 연구 지원을 통해 미래기반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초연결시대에 "K-교육공동체" 모형을 개발하고 보급할 국제적 센터로의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발전적 지향목표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따뜻한 교육공동체, 교육공동체, 가족-학교-지역사회 파트너십, 유아교육, 초등-증등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