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리지식의 전파와 19세기 아시아의 인문 지형도 -위원의[해국도지 海國圖志]를 중심으로
The spread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e humanities topography of 19th century Asia -Focused on [Hǎiguótú́zhì] of Weiyua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369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민숙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식과 문화가 이동한 지상(地上)의 흔적이 다리(bridge)라면 지상(紙上)의 흔적은 도(圖, map)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지식과 문화를 지상(紙上)의 흔적인 지도를 통해 외적으로 표현하고자 했고, 지도위에 표현된 지식과 문화는 객관화된 지리 정보로 전환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아편 전쟁의 패배로 지리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한 위원은 세계 각 국의 지도, 정치, 종교, 법률과 교육, 문화와 인물, 풍속 등에 관한 인문 지리적 내용과 함께 해상에서 침투해 오는 서강 열강에 대한 방비책을 수록한 「해국도지」를 편찬했다. 서양의 위협을 받던 한중일 삼국은 자기 민족과 결부된 군사적 관점에서 「해국도지」를 주목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해국도지」에 대한 연구는 사상가로서의 위원의 위치와 해상 방비책[海防論], 외교사상 위주로만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 책 권5~권32까지에 수록된 서양 지리서를 통해 아시아 각 국의 복식 예절, 일상생활, 종교, 문화와 인물 등을 자료화하여 19세기 아시아 각국의 문화 지형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해국도지」의 인문지리서로서의 가치와 세계 각 국의 아시아에 대한 인식과 아시아의 세계 각 국에 대한 인식도 함께 살필 것이다. 나아가 중국 전통 지리서에 나타난 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인식 변화를 통해 19세기 아시아 각 국의 변화된 위상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해국도지」는 객관적 방법으로 세계 각 국의 정치, 경제, 종교, 교육 등 당시의 세계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인문지리서이다. ‘지혜의 교역’이라고까지 극찬 받은 「해국도지」는 19세기 아시아 지식인과 그들의 저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정치적, 경제적, 사상적, 문화적 지형도를 변화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시아 각 국의 복식 예절, 일상생활, 법률과 교육, 종교, 문화와 인물 등을 자료화함으로써 첫째, 19세기 아시아 각국의 문화 지형도를 구축할 수 있고, 둘째, 학제 간의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셋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 국의 문화 및 문학 교육에 다양한 입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해국도지」는 객관적 방법으로 세계의 정세를 기술한 지리서이자, 역사, 정치, 경제, 종교, 교육 등 당시의 세계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인문지리서로, 중국 근대사와 세계 근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사상가로서의 위원의 위치와 해상방비책, 외교 사상의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인문지리서로서의 「해국도지」의 가치와 의의를 살피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해국도지」 권5~권32 즉 아시아 전체를 연구 범주로 삼아, 「해국도지」에 수록된 서양 지리 서적의 분석을 통해 서구인들이 19세기 아시아에 대한 수많은 새로운 정보를 얼마나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아시아의 인문 세계를 얼마나 매력적으로 그려내고 있는지를 살필 것이다. 이와 동시에 지리에 관련된 중국 전통의 역대 사서류와 소설 필기류, 유기(游記), 견문록 등 다양한 형식의 자료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를 바라보는 중국인의 인식의 변화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해국도지(海國圖志)󰡕는 19세기 말 청나라의 위원(魏源)이 임칙서(林則徐)의 󰡔사주지(四洲志)󰡕를 바탕으로 동, 서양의 각종 지리서를 참고하여 쓴 지리서이다. 특히 19세기 세계 각국의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종교, 대외무역, 교육, 과학, 지도, 민족 특성 및 19세기 당시 동서양 각국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과, 중국, 중국인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까지 총망라한 명실상부한 세계 인문지리서이다. 그러나 위원의 서양 지리에 대한 관심이 서양 열강의 침입으로부터 굳건한 중국을 세우기 위한 즉 중국 민족과 결부된 이익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다 보니, 󰡔해국도지󰡕는 인문지리서라는 전체적인 성격보다는 서양의 무기, 군함 제조법과 사용 방법 및 해상으로부터 침투해 오는 유럽 식민주의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 등을 기록한 책으로 인식되었고, 중화중심주의에 빠져 있던 중국의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당시 근대화를 앞둔 조선과 일본에도 전래되어 큰 영향을 끼쳤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국도지󰡕 권5에서 권32까지에 수록된 서양 지리서를 통해 19세기 아시아 각 국의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종교, 교육, 과학, 지도, 군사, 민족적 특성 등 제반 사항을 객관적으로 조명해, 인문지리서로서의 󰡔해국도지󰡕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당시 세계 각국이 아시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아시아는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동, 서양의 지리서를 접하고 난 뒤의 중국의 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 발전했는지, 당시 아시아 각국의 변화된 위상까지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나아가 아시아 각국의 유래와 역사, 대외관계, 통상무역, 국민성, 토양과 기후, 의식주, 산물, 군함, 군사제도 등등을 자세하게 기록해놓고 있어 19세기 아시아 각국의 문화 지리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 영문
  • 󰡔Hai Guo Tu Zhi(海國圖志)󰡕 is a geography book written by Wei Yuan(魏源), who is a thinker of Qing Dynas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contains the geography, history, politics, economics, religion, education, science, guidance, national characteristics in Asian Countrie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understand of the nineteenth-century Chinese of the East and the West.
    However, as the interest of Wei Yuan(魏源) in Western geography comes from interest in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the Chinese people to establish a strong China from the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Hai Guo Tu Zhi(海國圖志)󰡕 was recognized as a book that records Western weapons, warship manufacturing methods and methods of use, and measures against the invasion of European colonialism that infiltrates from the sea, rather than the overall nature of human geograph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geography, history, politics, economy, religion, education, science, guidance, military,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Asian countries in the 19th century through Western geography books from the 5th to 32nd volumes of the 󰡔Hai Guo Tu Zhi(海國圖志)󰡕.
    Furthermore,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world recognized A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how Asia looked at the world, how China's perception of Asia after seeing the geography of East and West changed and developed, and the changed status of Asian countries at that tim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해국도지(海國圖志)󰡕는 19세기 말 청나라의 위원(魏源)이 임칙서(林則徐)의 󰡔사주지(四洲志)󰡕를 바탕으로 동, 서양의 각종 지리서를 참고하여 쓴 지리서로, 특히 19세기 세계 각국의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종교, 대외무역, 교육, 과학, 지도, 민족 특성 및 19세기 당시 동서양 각국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과, 중국, 중국인에 대한 동서양의 인식까지 총망라한 명실상부한 세계 인문지리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원의 서양 지리에 대한 관심이 서양 열강의 침입으로부터 굳건한 중국을 세우기 위한 즉 중국 민족과 결부된 이익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다 보니, 󰡔해국도지󰡕는 인문지리서라는 전체적인 성격보다는 서양의 무기, 군함 제조법과 사용 방법 및 해상으로부터 침투해 오는 유럽 식민주의의 침략에 대한 대비책 등을 기록한 책으로 인식되었고, 중화중심주의에 빠져 있던 중국의 지식인들뿐만 아니라 당시 근대화를 앞둔 조선과 일본에도 전래되어 큰 영향을 끼쳤던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국도지󰡕 권5에서 권32까지에 수록된 서양 지리서를 통해 19세기 아시아 각 국의 지리, 역사, 정치, 경제, 종교, 교육, 과학, 지도, 군사, 민족적 특성 등 제반 사항을 객관적으로 조명해, 인문지리서로서의 󰡔해국도지󰡕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는 그 목적이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당시 세계 각국이 아시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아시아는 세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동, 서양의 지리서를 접하고 난 뒤의 중국의 아시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 발전했는지, 당시 아시아 각국의 변화된 위상까지 함께 살펴보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학제 간의 공동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19세기 아시아 각국의 인문지형도를 구축할 수 있다.
    셋째,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의 문학과 문화, 문화교류의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한국학 연구 진흥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 색인어
  • 해국도지, 위원, 지리서,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종교, 교육, 지리 지식, 지도, 복식 예절, 지리적 공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