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과정 탐색
Process of Natural Recovery from Smartphone addic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8021956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5월 01일 ~ 2018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숙희
연구수행기관 건양사이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에 기여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발적 회복이란 치료나 개입 없이 중독 행동을 중단하고 변화를 지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외의 알코올 및 약물 중독의 국가 단위 연구에서는 치료를 통한 회복보다는 자발적 회복이 훨씬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제 중독의 자발적 회복의 비율은 70-80%에 육박함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자발적 회복의 생물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보호요인들이 분명히 존재함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많은 사람들이 중독문제에서 자발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으며 각 개인들은 중독 문제에서 스스로 벗어날 수 있는 개인적 혹은 환경적 강점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의 연구에 따르면 60%의 성인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문제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도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성인들을 많이 접할 수 있지만 이들 중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별도로 치료기관을 찾거나 예방교육을 받지 않아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제가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독 문제에 대한 자발적 회복의 과정을 연구하는 것은 중독군에 한정된 개입 및 치료 연구가 아닌 나머지 다수의 일반적인 이용자들에 대한 예방적인 개입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강점, 보호요인들을 검증하는데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자발적 회복의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년간 4개월 간격으로 3회의 온라인 패널 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며 스마트폰 중독 문제와 회복 요인들의 인과적 관계, 회복집단과 악화 및 유지 집단의 차이 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과정을 촉진하는 보호요인(생물, 심리, 사회)은 무엇이며, 그 요인 간 상호작용 양상은 어떠한가?
    1.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집단은 비교집단(악화, 유지)집단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2. 스마트폰 중독의 회복 수준과 관련 요인들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3. 스마트폰 중독의 회복 요인을 어떻게 예방 및 개입 방안으로 도출할 수 있겠는가?
  • 기대효과
  • 학문적 기여
    관련분야 학술 발전에 기여: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지 못한 자발적 회복을 주제에 대한 실증연구로 기존에 단일 시점 자료에 의존하여 연구하던 방식을 벗어나 인과적 추론이 가능한 정보를 축적하므로 스마트폰 중독 및 중독 관련 분야의 학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중독은 상호유사성을 갖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는 유사 중독 분야(게임, 인터넷, 도박 등)의 이해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자료개방을 통한 후속연구 촉진: 학회나 관련 정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단기종단패널자료를 개방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유관분야 학자들(사회복지, 정신의학, 간호학, 보건학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창의적인 연구정보를 재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자발적 회복에 대한 관심 유도: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활발한 학회 발표 등을 통해 동료 연구자들과 소통을 하며 자발적 회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사회적·정책적 기여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자료 제공: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관심을 갖고 치료적 개입 없이 자발적으로 회복하는 집단을 연구를 함으로써 중독집단이 아닌 일반이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예방 및 개입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 문제 대처를 위한 정책 자료 제공: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회복률이나 보호 및 위험 요인 정보는 스마트폰 중독을 위해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을 개선하는 증거-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단기종단연구를 구성하여 자발적 회복의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개입 전략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자발적 회복의 주요 요인을 포함한 생물심리사회적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를 선정하고자 한다. 그 후 정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성인 인터넷 패널을 대상으로 4개월 간격의 3회에 걸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3회의 마지막 시점에서는 자발적 회복 집단으로 선별된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3회에 걸친 조사과정에서 S척도를 통한 진단결과 1회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이었으나 2회 및 3회에 일반이용자로 변화된 집단을 회복집단, 1회에 일반이용자집단이었으나 2회 및 3회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으로 변화된 집단을 악화집단, 1-3회에 동일한 집단에 속한 집단을 유지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회복의 보호, 위험, 유지 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이론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며 인과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잠재적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자발적 회복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 문제 간의 인과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회복집단에 대한 심층면담결과를 질적분석하여 자발적 회복 과정에 대한 경험을 밀도 있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예방적 접근 및 개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단기종단연구를 구성하여 자발적 회복의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개입 전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자발적 회복의 주요 요인을 포함한 생물심리사회적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를 선정한 후 정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성인 인터넷 패널을 대상으로 4개월 간격의 3회에 걸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시점에는 1,768명, 2차 시점에는 937명, 3차 시점에는 최종 59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3회에 걸친 조사과정에서 S척도를 통한 진단결과 1차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이었으나 2차 및 3차에 일반이용자로 변화된 집단을 회복집단, 1차에 일반이용자집단이었으나 2차 및 3차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으로 변화된 집단을 악화집단, 1,2,3차에 동일한 집단에 속한 집단을 유지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회복의 보호, 위험, 유지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심리 및 환경적 변수에 대한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로움과 비합리적 신념에서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우울,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서는 시점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미한 변인을 대상으로 모형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1차 시점에 측정한 성격적 변인(충동성, 자기조절, 정서조절, BAS, BIS)이 중독점수 변화를 예측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BAS와 자기조절능력이 중독점수 변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 역시 타당하였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와 인과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잠재적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집단에서 삶의 의미가 스마트폰 중독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예방적 접근 및 개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ontaneous recovery factors by constructing a short term study to explore the spontaneous recovery process from smartphone addiction and to apply it to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y of smartphone addiction. To do this, we first constructed a biopsychosocial model including the main factors of voluntary recover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select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it. Then, we surveyed adult Internet panels using smartphones on a regular basis three times every four month. 1,768 at the first stage, 937 at the second stage, and 593 at the third stage answered the questionnaire. In the survey 3 times, diagnostic results from the S-scale showed that the group that was a high-risk or potential group at the first stage but changed into a general user group at the first and third stages was classified as a recovery group, the group that was a general user group at the first stage but changed into a high-risk or potential at the second and third stages was classified as an aggravating group, and the group that belonged to the same group 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s was classified as a maintenance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protection, risk, and maintenance factors of recovery,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ts results were the loneliness and irrational beliefs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tage and the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ignificant in the depression and str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ges was significant i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variables,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n set the model for the significant variables and verified it by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personality variables (impulsivity, self - control, emotional control, BAS, BIS) measured at the first stage predicted the change of addiction score, BAS and self - control ability predicted the change of addiction score significantly. Explanatory power was also reasonabl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odel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ausal characteristics over tim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martphone addiction decreased linearly over time, and meanings of life were a variable of affecting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e recovery group. Finally, we discussed how to app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cess to preventive approaches and interventions and how to contribute to the poli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자발적 회복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단기종단연구를 구성하여 자발적 회복의 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개입 전략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해 자발적 회복의 주요 요인을 포함한 생물심리사회적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를 선정한 후 정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성인 인터넷 패널을 대상으로 4개월 간격의 3회에 걸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시점에는 1,768명, 2차 시점에는 937명, 3차 시점에는 최종 59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3회에 걸친 조사과정에서 S척도를 통한 진단결과 1차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이었으나 2차 및 3차에 일반이용자로 변화된 집단을 회복집단, 1차에 일반이용자집단이었으나 2차 및 3차에 고위험 또는 잠재적 위험집단으로 변화된 집단을 악화집단, 1,2,3차에 동일한 집단에 속한 집단을 유지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회복의 보호, 위험, 유지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심리 및 환경적 변수에 대한 집단 간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로움과 비합리적 신념에서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우울,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서는 시점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변인들 간의 상호관계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미한 변인을 대상으로 모형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1차 시점에 측정한 성격적 변인(충동성, 자기조절, 정서조절, BAS, BIS)이 중독점수 변화를 예측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BAS와 자기조절능력이 중독점수 변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 역시 타당하였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와 인과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잠재적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집단에서 삶의 의미가 스마트폰 중독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예방적 접근 및 개입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기여
    관련분야 학술 발전에 기여: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지 못한 자발적 회복을 주제에 대한 실증연구로 기존에 단일 시점 자료에 의존하여 연구하던 방식을 벗어나 인과적 추론이 가능한 정보를 축적하므로 스마트폰 중독 및 중독 관련 분야의 학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다양한 중독은 상호유사성을 갖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는 유사 중독 분야(게임, 인터넷, 도박 등)의 이해를 촉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자료개방을 통한 후속연구 촉진: 학회나 관련 정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단기종단패널자료를 개방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을 연구하는 연구자와 유관분야 학자들(사회복지, 정신의학, 간호학, 보건학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창의적인 연구정보를 재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자발적 회복에 대한 관심 유도: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활발한 학회 발표 등을 통해 동료 연구자들과 소통을 하며 자발적 회복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사회적·정책적 기여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자료 제공: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관심을 갖고 치료적 개입 없이 자발적으로 회복하는 집단을 연구를 함으로써 중독집단이 아닌 일반이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예방 및 개입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 문제 대처를 위한 정책 자료 제공: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회복률이나 보호 및 위험 요인 정보는 스마트폰 중독을 위해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을 개선하는 증거-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스마트폰 중독, 자발적 회복, 회복 요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