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럽공통참조기준(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 CEFR)을 활용한 일본어교육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sing the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학술연구교수(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202475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7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상수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과제는 CEFR(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유럽공통참조기준)을 활용하여 한국의 일본어교육에 새로운 참조기준(Framework of Reference)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일본어교육 연구는 언어적 측면만을 강조하고 국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 진정한 언어소통과 상호이해에 크게 이바지하지 못했다.
    CEFR(유럽평의회(COE, 2001))은 유럽에서의 언어교육과 학습을 위한 범언어적 프레임이다. CEFR은 언어능력의 숙달도를 제시하는 6단계의 공통참조레벨과 각 레벨에서「실제의 언어사용 장면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493개 CAN-DO리스트(예시적 능력기술문)를 제시하였다.
    비유럽권의 외국어교육에서 CEFR의 CAN-DO리스트를 활용한 연구가 있다(영어,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 등). 일본의 국제교류기금에서는 일본어교육・학습・평가를 위해 CEFR의 일본어 번역본『JF일본어교육 스텐더드(2010)』를 발간하기도 했다. 그러나 앞선 연구들은 단순히 학습자의 능력레벨 분류, 교재작성, 평가부분에 제한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CEFR이 추구하는 유기적이고 포괄적인 언어교육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취지 아래, CEFR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CEFR와 CAN-DO리스트, 『JF일본어교육 스텐더드 (2010)』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일본어교육의 새로운 공통참조기준으로서 J-CEFR(Japanese-Common East Asian Framework of Reference;일본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언어 공통참조기준)을 확립하고 이에 맞는 CAN-DO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과제의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1)CEFR와 CAN-DO리스트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FR와 CAN-DO리스트란 무엇인가, 사회적(국제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등),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 CEFR가 공헌한 점은 무엇인가, CEFR의 이념과 내용이 언어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등 전반적인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다.
    2)CEFR의 공통참조레벨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J-CEFR을 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FR의 공통참조레벨 6단계(A1,A2,B1,B2,C1,C2)와 각 레벨별로 제시된 구체적인 언어활동의 예 (A1:자신과 관련된 간단한 회화를 할 수 있다)를 분석하고 수정하여 J-CEFR에 적합한 레벨을 제시한다.
    3)『JF일본어교육 스텐다드 (2010)』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비판적인 수용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아울러 일본에서 CEFR가 활용되는 양상도 면밀히 분석한다.
    4)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의 교육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종래의 교육 분야에서는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강조되어 왔지만 그 실체와 개념이 분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J-CEFR의 공통참조레벨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CAN-DO리스트를 통하여 일본어의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외국어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5)J-CEFR와 CAN-DO리스트가 동아시아 일본어교육에 지침이 되는 것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서의 일본어교육에 J-CEFR와 CAN-DO리스트를 제시하여 공통의 교육적 기반을 마련한다.
    6)J-CEFR가 표본이 되어 K-CEFR(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공통참조기준), C-CEFR(중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공통참조기준)을 개발하는 데 지침이 되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 언어교육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7)동아시아언어교육의 진정한 소통과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와 공존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차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년차 연구목표: CEFR을 수정, 보완하여 한국인 학습자에 맞는 공통참조레벨인 J-CEFR을 개발, 확립하는 것이 목표이다.
    2년차 연구목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를 위한 CAN-DO리스트를 개발, 확립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통해, J-CEFR을 토대로 행동중심주의에 입각한 CAN-DO리스트를 개발, 작성하고 자율학습 및 평생학습의 기반을 마련한다.
    3년차 연구목표: 1년차와 2년차 연구를 토대로 세계적으로 연계된 교수・학습과 공통의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글로벌적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본 과제의 연구 성과는 일본어교육은 물론, 동아시아 및 다양한 언어교육에 활용됨으로써 국제사회의 진정한 언어소통과 상호이해를 완성하여, 언어교육 방법론의 이해지평을 넓혀주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과정에서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의 가제목, 각각이 가지는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각각이 가지는 교육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및 전반적인 의의.
    ・본 연구과정에서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의 가제목
    ①「CEFR의 도입과 한국 일본어교육의 시사점」
    ②「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일본어교육」
    ③「J-CEFR을 활용한 한국의 외국어교육」
    ④「J-CEFR에 준거한 CAN-DO리스트 개발: 글로벌적 소통을 중심으로」
    ⑤「CAN-DO리스트 작성법과 활용법에 관한 고찰」
    ⑥「한국일본어교육과 CAN-DO리스트: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⑦「일본어학습자의 사회참가를 촉진하는 수업설계와 평가: CAN-DO리스트를 활용하여」
    ⑧「평가척도의 CAN-DO리스트 개발」
    ⑨「CAN-DO리스트에 입각한 과제수행형(task형)교재개발과 실천: 과제수행(task)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가)①은 한국의 일본어교육의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 CEFR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교육적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침체된 일본어교육이 활성화되며 일본어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나)②③은 J-CEFR의 공통참조레벨을 외국어교육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외국어교육 연구가 활성화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④⑤⑨는 CAN-DO리스트가 목표로 하는 학습, 교수, 평가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킨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학습활동에 관한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고 이를 통한 교육학의 발전과 교육학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③④는 J-CEFR에 준거한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가 제시하는 공통의 단계별 학습내용이 제시됨으로써 하위분야의 언어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⑥은 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기 때문에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가능해짐으로써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폭넓은 지식과 능력을 갖추게 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
    가)①②③은 공통참조레벨과 학습, 교육, 평가의 유기적・체계적인 교육의 참조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일본어는 물론 다양한 외국어교육의 활성화와 효율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④는 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를 통한 글로벌적 언어교육의 참조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현행 교육과정의 재고와 교육방법을 개선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⑦⑧⑨는 학습, 교수, 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및 전반적인 의의
    가)본 연구는 교수・학습법과 교재개발, 언어 및 언어교육의 비교연구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후속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본 연구과제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일본어교육 관련 전문가와의 학회 및 토론회가 활성화되고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가 해외 어디서든 연계학습은 물론 세계 공통의 기준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자신이 원하고 또, 자신을 원하는 곳 어디든지 일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본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동아시아 언어교육의 진정한 소통과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와 공존에 기여하고, 유럽중심의 세계적 동향이 동아시아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CEFR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와 비판적 수용을 통해, 한국 일본어교육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를 위한 J-CEFR와 CAN-DO리스트를 개발 및 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차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년차 연구에서는, 한국인학습자만을 위한 레벨을 세분화・체계화하여 J-CEFR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CEFR의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전반적인 이해와 비판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 일본어교육의 적용방안을 고찰한다. 학습자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습득 현황 및 레벨을 면밀히 분석한다. 한국인학습자만을 위한 언어레벨을 분류하기 위해서 학습자코퍼스를 학습대상, 개발목적, 목표, 측정기준, 구성 등에 따른 특징을 분석한다. 한국의 언어・문화・사회배경도 고려하고, 학습자만의 언어사용 특징 검토, 레벨별 오용, 숙달정도 등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CEFR의 도입과 한국 일본어교육의 시사점」,「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일본어교육」,「J-CEFR을 활용한 한국의 외국어교육」

    2년차 연구에서는, 한국인학습자를 위한 CAN-DO리스트를 개발, 확립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현행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수업별 학습목표 등 일본어교육현황을 검토한다. 각 학년의 단계별, 전체학년에 있어 CAN-DO리스트의 작성방법 및 순서, 활용방안 등을 고찰한다. 세부적으로, 졸업시점의 학습도달목표와 입학시점의 일본어능력에 따른 학습도달목표를 세분화해서 CAN-DO리스트를 작성한다. CAN-DO리스트는 행동중심주의에 입각하여 교실 내의 실천과제와 직접 연관된 언어사용 장면을 제시하는 등 체계적으로 작성한다. 일상생활 전반을 표현하는 단기학습목표와 복수의 단원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연간학습목표를 설정하는 등 CAN-DO리스트의 활용방안도 제시한다. J-CEFR의 공통참조레벨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CAN-DO리스트를 통해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J-CEFR에 준거한 CAN-DO리스트 개발: 글로벌적 소통을 중심으로」, 「CAN-DO리스트 작성법과 활용법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어교육과 CAN-DO리스트: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3년차 연구에서는, 1, 2년차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일관된 시스템 아래, 커리큘럼 및 지도(수업·학습), 교재, 평가를 개발한다. 학습자의 사회참가 능력 육성을 목표로, 경험적 지식과 유기적 관계 속에서의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깨달음을 촉진시키고, 참가형 학습, 과제수행활동을 중심으로 반복학습을 정착시키는 방안 등 수업설계와 실천에 관하여 분석한다. 언어활동을 기반으로 테스트와 내용을 특정화하고 세분화하여, 학습자의 능력레벨과 학습한 내용을 파악하는 체크리스트 등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세계 공통의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등의 평가방법에 관하여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예상되는 중간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일본어학습자의 사회참가를 촉진하는 수업설계와 평가: CAN-DO리스트를 활용하여」,「평가척도의 CAN-DO리스트 개발」,「CAN-DO리스트에 입각한 과제수행형(task형)교재개발과 실천: 과제수행(task)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핵심 목표는 CEFR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일본어교육의 향상을 위한 언어학습, 교수, 평가의 공통참조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CEFR(유럽평의회(COE, 2001))은 유럽에서의 언어교육과 학습을 위한 범언어적 프레임이다. CEFR은 언어능력의 숙달도를 제시하는 6단계의 공통참조레벨과 각 레벨에서‘실제의 언어사용 장면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493개 CAN-DO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현재 외국인 이주민이 증가하여 이문화와의 공존에 관한 사회적 문제가 일본어교육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글로벌한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일본어의 지위가 과거와는 달리 저하되고 있고, 일본어학습자 수도 감소되어 일본어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일본국제교류기금). 이러한 현황이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일본어학습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일본국제교류기금). 일본어교육 침체는 단순히 교수・학습차원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사회적 측면의 사회현상의 일종으로 수용하고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CEFR와 CAN-DO리스트, 『JF일본어교육 스텐더드 (2010)』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일본어교육의 새로운 공통참조기준으로서 J-CEFR(Japanese-Common East Asian Framework of Reference;일본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언어 공통참조기준)을 확립하고 이에 맞는 CAN-DO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mechanism which improves understanding of CEFR to indicate common reference standards for language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and Japanese education. CEFR(COE,2001) is the framework for the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in Europe. CEFR presents a CAN-DO list 493 common reference levels that point out proficiency in language ability and what could be done in actual language use at each level. In Japan, the number of foreign immigrants is increasing,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coexistence with different cultures have been affecting Japanese education. The current situation of Japanese is declining unlike in the past, and the number of Japanese learners is de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turning point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Japan Foundation). The slowdown in Japanese education is not just because of teaching-learning mechanism but should be resolved by international and soci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ritically accept CEFR, CAN-DO list, and standard of JF Japanese education as a whole, establish J-CEFR(Japanese-Common East Asian Framework of Reference) as a new common reference standard for Korean and Japanese education, and present a CAN-DO list that matches i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CEFR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일본어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일본어교육에 맞는 새로운 참조기준(Framework of Reference)으로서 J-CEFR과 J-CEFR을 활용하기 위한 CAN-DO리스트를 확립하고, 이를 교육에 적용한다. 최근, 발전과 협력이 주를 이뤘던 동아시아지역(한국, 중국, 일본)은 여러 문제로 분쟁과 대립의 관계에 놓여 있다. 그러나 한국, 중국, 일본은 현재의 분쟁 국면을 회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활한 소통과 상호이해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치적・경제적으로 유럽중심의 세계적 동향이 동아시아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고려해 볼 때, 한국, 중국, 일본은 균형 있는 공존과 공동의 발전을 이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과제는 일본어교육은 물론 동아시아 언어교육에 활용됨으로써 동아시아 국제사회의 진정한 언어소통과 상호이해를 완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 목표는 CEFR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일본어교육의 향상을 위한 언어학습, 교수, 평가의 공통참조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CEFR(유럽평의회(COE, 2001))은 유럽에서의 언어교육과 학습을 위한 범언어적 프레임이다. CEFR은 언어능력의 숙달도를 제시하는 6단계의 공통참조레벨과 각 레벨에서‘실제의 언어사용 장면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의 493개 CAN-DO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현재 외국인 이주민이 증가하여 이문화와의 공존에 관한 사회적 문제가 일본어교육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글로벌한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일본어의 지위가 과거와는 달리 저하되고 있고, 일본어학습자 수도 감소되어 일본어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일본국제교류기금). 이러한 현황이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일본어학습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일본국제교류기금). 일본어교육 침체는 단순히 교수・학습차원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국제적, 사회적 측면의 사회현상의 일종으로 수용하고 해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CEFR와 CAN-DO리스트, 『JF일본어교육 스텐더드 (2010)』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일본어교육의 새로운 공통참조기준으로서 J-CEFR(Japanese-Common East Asian Framework of Reference;일본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언어 공통참조기준)을 확립하고 이에 맞는 CAN-DO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과제의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1)CEFR와 CAN-DO리스트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FR와 CAN-DO리스트란 무엇인가, 사회적(국제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등), 언어 교육적 측면에서 CEFR가 공헌한 점은 무엇인가, CEFR의 이념과 내용이 언어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등 전반적인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다.
    2)CEFR의 공통참조레벨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J-CEFR을 확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CEFR의 공통참조레벨 6단계(A1,A2,B1,B2,C1,C2)와 각 레벨별로 제시된 구체적인 언어활동의 예 (A1:자신과 관련된 간단한 회화를 할 수 있다)를 분석하고 수정하여 J-CEFR에 적합한 레벨을 제시하는 것이다.
    3)『JF일본어교육 스텐다드 (2010)』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비판적인 수용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아울러 일본에서 CEFR가 활용되는 양상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다.
    4)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의 교육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종래의 교육 분야에서는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강조되어 왔지만 그 실체와 개념이 분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J-CEFR의 공통참조레벨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CAN-DO리스트를 통하여 일본어의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외국어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5)J-CEFR와 CAN-DO리스트가 동아시아 일본어교육에 지침이 되는 것이다. 한국, 일본, 중국에서의 일본어교육에 J-CEFR와 CAN-DO리스트를 제시하여 공통의 교육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6)J-CEFR가 표본이 되어 K-CEFR(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공통참조기준), C-CEFR(중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공통참조기준)을 개발하는 데 지침이 되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 언어교육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7)동아시아언어교육의 진정한 소통과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와 공존에 기여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한국의 일본어교육의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 CEFR의 비판적 수용을 통한 교육적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침체된 일본어교육이 활성화되며 일본어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다.
    나)J-CEFR의 공통참조레벨을 외국어교육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외국어교육 연구가 활성화될 것이다.
    다)CAN-DO리스트가 목표로 하는 학습, 교수, 평가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킨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커리큘럼, 교수법, 평가, 학습활동에 관한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고 이를 통한 교육학의 발전과 교육학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라)J-CEFR에 준거한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가 제시하는 공통의 단계별 학습내용이 제시됨으로써 하위분야의 언어교육이 유기적으로 통합되는 데 기여할 것 이다.
    마)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에 따른 체계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기 때문에 자율학습과 평생학습이 가능해짐으로써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폭넓은 지식과 능력을 갖추게 되는 데 기여할 것이다.
    교육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공통참조레벨과 학습, 교육, 평가의 유기적・체계적인 교육의 참조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일본어는 물론 다양한 외국어교육의 활성화와 효율화에 기여할 것이다.
    나)J-CEFR의 공통참조레벨과 CAN-DO리스트를 통한 글로벌적 언어교육의 참조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현행 교육과정의 재고와 교육방법을 개선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학습, 교수, 평가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및 전반적인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가)교수・학습법과 교재개발, 언어 및 언어교육의 비교연구 등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후속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나)한국과 일본의 일본어교육 관련 전문가와의 학회 및 토론회가 활성화되고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학습자가 해외 어디서든 연계학습은 물론 세계 공통의 기준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자신이 원하고 또, 자신을 원하는 곳 어디든지 일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라)동아시아 언어교육의 진정한 소통과 상호이해를 통한 평화와 공존에 기여하고, 유럽중심의 세계적 동향이 동아시아로 전환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유럽공통참조기준, 일본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공통참조기준, 언어능력 레벨 CAN-DO 능력기술항목, 언어능력숙달도, 글로벌적 소통 일본어교재, 교수・학습, 평가방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