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활용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요인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미·독 생태계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iority Analysis of Factors for Revitalization Domestic Classical Music Marker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ocused on Ecosystem Analysis of Korea, USA and German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102515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현수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순수예술에 속하는 클래식 음악은 뛰어난 예술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시장 확대를 이룩하였고 국내의 경우, 1970년대부터 꾸준한 성장하여 최근에는 클래식음악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클래식 대중화의 시기임이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클래식 음악시장의 실상은 시장 내부적인 구조체계 미흡으로 인한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어 시장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급격한 산업 변화에 따라 클래식의 음악적 위상과 클래식음악 생산의 전 과정에서 변화가 생겨나고 있으며 시장 내외부와의 경쟁과 변화, 협업이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클래식 분야 선행연구들은 창작품 혹은 소비자 대상의 연구에 그치고 있어 이러한 지협적 관점의 연구에서 나아가 산업적 관점 및 생태계 관점과 같은 거시적 관점으로 시장을 파악·분석하여 시장선순환 구축과 자생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시장을 생태계적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 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계이론, 국·내외 클래식 음악공연시장과 관련한 문헌연구와 한국 및 선진클래식 시장인 미국, 독일을 중심으로 생태계 비교분석을 수행 한다.
    둘째, 한국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도출을 위해 SCR방법론, 전문가 자문회의(FGI) 등의 전문적인 방법론을 활용하며, 도출된 해결방안을 종합하여 우선순위 파악을 위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 한다.
    셋째,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활용하며, 해결방안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활성화 전략 및 방안을 제시 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생태계 모델과 시장 활성화요인을 종합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지속성장모델(To-Be 모델)을 제시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니게 될 것이다.
    1.학술적 기여도: 첫째, 클래식 음악 분야의 융합연구에 기반을 마련 할 것이다. 클래식 분야의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예술과 경영학을 융합하여 학문간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복잡한 산업구조 내에서 학문 간 융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므로 본 연구가 음악분야 융합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둘째,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에 새로운 통찰을 제시 할 것이다. 시장 성장이 정체된 국내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발전을 위해 산업적, 생태계적 관점을 통하여 변화하는 문화 패러다임에 대처 가능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 할 것이다. 셋째, 클래식 음악 분야 연구의 질적·양적 성장에 기여 할 것이다. 연구단계 마다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 할 것이다. 또한,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수행하여 국내 클래식 음악 분야의 연구 확장에 기여 할 것이다.

    2.실무적·정책적 기여도: 첫째, 음악 산업 관련 정책수립과 의사결정에 활용가능 할 것이다. 국제 생태계 비교분석 결과를 통하여 국내 음악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수립의 자료로서 활용 가능 할 것이다. 또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활성화요인을 구체적으로 정립하여 국내 음악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마련의 기초 연구 자료로써 유용 할 것이다. 향 후 음악진흥을 위한 국가차원의 공공기관 및 연구소 설립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 될 것이다. 둘째, 클래식 음악공연 업계에 실질적인 비즈니스 지침을 제공 할 것이다. 중요한 문제들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문제들을 구분하여 비즈니스를 위한 의사결정에 용이함을 제공할 것이다.

    3.교육 및 후속 연구와의 연계를 위한 활용방안: 첫째, 클래식 음악공연 업계의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국제 생태계 비교를 실시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인력 양성 및 권익보호 등과 관련한 다양한 국내·외 교육사례를 바탕으로 시장의 중장기적 발전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여전히 기술적인 음악교육이 중시되고 특수계층이 향유하는 예술이라는 고정관념이 존재하는 국내 클래식 음악시장의 현실을 고려 할 때, 시민 친화적인 향유 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향 후 추가적인 생태계 분석으로 연구 교류 활성화에 기여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개념적 모델은 해외 각국의 생태계 분석을 가능케 하여 통합생태계 연구로서 연계 가능하다. 또한 생태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이해관계자들 간의 상호 의존성, 영향력 등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향 후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확장된 연구로의 연계가 가능 하다.

    4.연구 결과물의 활용방안: 1년간의 연수기간동안 클래식 음악공연시장과 관련한 국내외의 양질의 자료를 획득하여 유용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여 관련 여러 분야의 학문들로부터 폭넓은 관심을 끌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연구결과물은 SCOPUS 혹은 Social Theory, Politics, & The Arts와 같이 분야에서 저명한 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것이며 본 과제의 결과물들은 이 분야의 권위 있는 국내 학술지의 논문 출판을 통해 알려 질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시장 내부적인 구조체계 미흡으로 인한 악순환으로 시장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을 생태계적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여 지속성장모델을 제시하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으로는 첫째, 한국, 미국, 독일의 클래식 시장 생태계 비교분석을 수행 한다. 둘째, 한국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현황, 문제점, 해결방안 도출하고, 도출된 해결방안을 종합하여 우선순위 파악을 위한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한다. 셋째,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해결방안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활성화 전략 및 방안을 제시 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생태계 모델과 시장 활성화요인을 종합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지속성장모델을 제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총 1년의 연수기간동안 1단계_문헌연구 및 사례분석, 2단계_현황분석 및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3단계_우선순위 및 활성화 방안 제시의 단계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단계별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1단계_문헌연구 및 사례분석
    1)연구내용: 생태계 이론과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의 개념적 모델을 개발한다. 개발된 개념적 모델을 한국, 미국, 독일에 각각 적용하여 각 국의 As-Is 생태계 모델을 설계하고 비교분석 한다.
    2)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치네트워크를 적용하여 사례를 비교분석을 한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는 한국, 미국, 독일의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전문가 각 10인을 대상으로 수행된다.

    2.2단계_현황분석 및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1)연구내용: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현황(S)과 문제점(C)을 파악하여 해결방안(R)을 도출한다. 또한, 생태계분석과 해결방안을 통합하여 한국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 요인의 개념을 정립하고, 활성화요인의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2)연구방법: 문헌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 전문가 FGI를 바탕으로 SCR방법론을 적용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한국의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현상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추가적인 현상, 문제점, 해결방안의 도출을 위해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한다. 그 다음 전문가 6인 대상의 FGI를 통해 해결방안의 정제, 개념정립, 분류화 작업을 거친 뒤 평가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3.3단계_우선순위 및 활성화 방안 제시
    1)연구내용: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시장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통합중요도와 이해관계자 그룹별 중요도 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활성화 방안 및 전략을 제시한다.
    2)연구방법: 폐쇄형 설문을 통한 계층분석과정(AHP), 전문가 FGI를 통한 피드백을 수행한다.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AHP분석을 위한 폐쇄형 설문 후 ‘Expert Choice 2000’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요인의 가중치를 도출한 후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각 분야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최종적인 연구피드백을 반영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활성화 방안 및 전략을 도출한다. 이러한 각 단계 별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의 지속성장모델(To-Be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클래식 음악시장과 관련하여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으로 기여하고자 하며, 교육 및 후속 연구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용가능 한 연구가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분야에서 저명한 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뿐만 아니라 권위 있는 국내 학술지의 논문 출판을 통해 알려 질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시장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을 생태계적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년의 연구기간 동안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 국제 비교 분석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 미국, 독일의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를 도식화하였다. 그 결과 기본 구조는 유사하나 시장의 주요 주체, 주체의 역할, 주체 간 관계성 등에서 구체적인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MSSD)을 활용하여 나라 간 17개의 이슈에 대해 비교평가를 수행한 결과, 한국이 가장 많은 변수들에 대하여 ‘미흡’ 또는 ‘보통’의 평가를 받았다. 미국과 독일의 경우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내의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에서는 정책적 측면, 콘텐츠 측면, 홍보·마케팅 측면, 교육적 측면, 재원조성 측면, 유통·네트워크 측면의 6개 영역에서 총 29개의 세부 활성화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활성화 요인을 바탕으로 의사결정계층을 설계하여 계층분석과정(AHP)을 활용한 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1차 계층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정책적 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 되었으며 전문가 분야별로는 각각 상이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2차 계층(29개의 세부 시장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 한 결과, ‘음악예술교육 지원 사업 확대’, ‘신진 음악 단체/음악가 지원확대’, ‘재원조성 프로그램 개발’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들은 모두 중요한 1차 계층 요인으로 도출된 정책적 측면과 재원조성 측면에서 도출 되었다.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분야에 경영학적 접근을 통한 융합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변화하는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상 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lassical music market, which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market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ecosystem,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market. To do this, we conducted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system of the classical music market and a priority analysis for the market activation during a total research period.
    First,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ecosystem showed the ecosystem of classical musical performance market in Korea, USA and Germany. The basic structure is similar, but it shows that there is a specific difference in the main actors of the market, the role of the 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In addition, we evaluated 17 comparative issues using the MSSD, and Korea was rated as "insufficient" or "normal" for the mos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diversity of value actors and the linkage between value actors lead to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market growth.
    A study on the priority of activation factors of classical music market resulted in 29 detailed activation factors in six areas(policy aspects, financing aspects, content aspects, education aspects, marketing aspects, distribution/network aspects). Based on the derived activation factors, evaluation framework, and derive the priorities of factors using the AHP.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layer, the policy aspec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different priorities were derived for each expert field. Analysis results of the second layer, In the sub-factors of ‘policy aspect’, ‘expansion of music education support’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29 factors. This was followed by ‘Expanded support for young musicians’ and ‘Development of funding program’ in that order.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convergent research through the business approach to the classical music field.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lassical music market in response to the changing industrial paradigm by carrying out various studies on the classical music marke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시장 내부적인 구조체계 미흡으로 인한 악순환으로 시장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을 생태계적 관점으로 새롭게 바라보고 시장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최종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년의 연구기간 동안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 국제 비교 분석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 미국, 독일의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를 도식화 하였다. 그 결과 기본 구조는 유사하나 시장의 주요 주체, 주체의 역할, 주체 간 관계성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MSSD)을 활용하여 서비스가치네트워크 상의 17개 이슈에 대해 국제 비교평가를 수행한 결과, 한국이 가장 많은 변수들에 대하여 ‘미흡’ 또는 ‘보통’의 평가를 받았다. 미국과 독일의 경우 서비스 가치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가치행위주체들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에서는 정책적 측면, 콘텐츠 측면, 홍보·마케팅 측면, 교육적 측면, 재원조성 측면, 유통·네트워크 측면의 6개 영역에서 총 29개의 세부 활성화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활성화 요인을 바탕으로 의사결정계층을 설계하여 계층분석과정(AHP)을 활용한 요인의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1차 계층의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전문가 전체의 통합 평가 순위), 정책적 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 되었으며, 전문가 분야별로는 각각 상이한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2차 계층(29개의 시장 세부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 한 결과, ‘음악예술교육 지원 사업 확대’, ‘신진 음악 단체/ 음악가 지원확대’, ‘재원조성 프로그램 개발’ 등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인의 1위부터 5위까지 모두 중요한 1차 계층 요인으로 도출된 정책적 측면과 재원조성 측면에서 도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클래식음악 분야에 경영학적 접근을 통한 융합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변화하는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상 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에서는 경영학의 산업생태계의 개념을 클래식 음악시장에 적용하여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의 국가 간 비교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최대유사체계분석기법(MSSD)을 바탕으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생태계의 국제 간 비교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점에서 클래식 분야의 연구 확장에 기여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클래식 음악공연시장의 개념적 모델은 일본, 중국 등의 다양한 해외 각 국의 생태계 분석을 가능케 하여 통합생태계 연구와, 생태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이해관계자들 간의 상호 의존성, 영향력 등의 추가적인 분석을 위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확장된 연구에 연계·활용 가능 하다. 실무적으로 국제 생태계 비교분석의 결과는 국내 음악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수립의 자료로서 활용 가능 할 것이다.
    클래식 음악공연시장 활성화 요인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는 국내 클래식 분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시장 활성화요인을 구체적으로 검증하여 밝혔다는 점과 요인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 한 점은 클래식 시장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논의된 활성화 요인을 바탕으로 클래식 음악시장 발전을 위한 보다 많은 후속연구로의 연계·활용 가능 하다. 실무적으로 중요한 문제들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문제들을 구분하여 먼저 해결해야할 사안에 집중 할 수 있어 시장 내 예술조직들의 비즈니스를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것이며 나아가 국내 음악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마련의 기초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경우, 음악진흥을 위한 국가차원의 공공기관이나 연구소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향 후 음악진흥을 위한 국가차원의 공공기관 및 연구소 설립에 있어서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공연산업, 공연산업생태계, 클래식 음악시장 생태계, 서비스가치네트워크, 활성화요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