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불확실한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
Identity Uncertainty and Pursuit of Extrinsic Valu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306897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11월 01일 ~ 202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선웅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양은주(고려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오늘날 한국은 상당히 높은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는 사회임과 동시에 행복하지 않은 사회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사회가 더 많은 물질적 부 및 멋진 외모와 같은 외적 가치에 부여하는 중요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외적 가치의 추구는 삶의 질, 대인관계, 진로 발달 등 개인적 수준에서 부정적인 관련성을 보이고 나아가, 환경 문제와 같이 거시적인 사회문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국인들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어떤 요인이 개인으로 하여금 외적 가치를 추구하게 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불확실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를 추구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불확실한 정체성은 외적 가치를 추구하게 만드는 심리적 위태감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명확하고 일관적인 내적 기준의 부재로 인해 외적 가치를 더 추구하게 만든다고 예상하였다. 그러나 불확실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 추구와 연관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들은 상관적인 연구로 인과적 관계를 추론하지 못하고 외적 가치의 추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정체성 연구에 있어 서술정체성과 같은 복합적인 측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설정하였다.

    연구목표 1. 불확실한 정체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외적 가치 추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특히, 정체성의 확립 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내러티브와 정체성 척도 모두 사용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목표 2. 불확실한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 간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체성의 명확성을 조작하고 이에 따른 조건 간 외적 가치 추구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표 3. 개인의 외적 가치에 대한 추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개인사 내러티브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러티브에 대한 내용적 및 구조적 개입이 정체성 확립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목표 4. 불확실한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 사이의 관계를 진로 행동 분야에 응용하여 청년들의 진로타협에 이르게 되는 기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가 갖는 학문적·사회적 기대효과 및 연계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대효과

    기존 외적 가치 추구에 대한 연구들은 외적 가치 추구의 선행 요인으로 주로 죽음에 대한 공포 또는 부모의 양육 방식을 다루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과제에서는 불확실한 정체성이 더 일상적으로 경험되는 심리적 위협이라는 점과 개인이 통제 가능한 요인임을 지적하여,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불확실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 추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한정적이며, 일부 존재하는 연구들조차 상관적인 관련성을 다룬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 이를 보완하여 불확실한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현대 사회의 외적 가치 추구 현상과 더불어 기존의 정체성 연구에 학문적으로 많은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 연구과제가 서술정체성 접근을 포함하여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점은 기존의 정체성 연구에도 새로운 방법론적 시각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아직 서술정체성 개념이 생소한 국내 학계에도 이를 적극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사회적 기대효과

    외적 가치 추구는 낮은 삶의 질이나 부정적인 진로 발달의 결과 등 개인적인 불행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성숙한 가치관 함양을 방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과제는 불명확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를 추구하게 한다는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보다 바람직하고 건강한 삶을 위하여 어떤 개인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한가를 구체적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개인의 서술정체성을 측정 및 조작하여 외적 가치 추구의 차이를 측정하는 연구방법을 통해 변인 간의 인과성을 확보할 것이며, 종단적인 개인사 내러티브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명확한 정체성을 성취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적·사회적 개선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과제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앞으로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과제는 정체성의 확립이 개인의 가치관을 설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제안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에 놓인 청소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정체성 확립 교육의 효과는 자율학기제가 도입된 현재 교육제도 내에서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과제를 통하여 추후 청소년의 명확한 진로 설정과 올바른 가치관의 교육을 위한 초석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목표

    본 연구과제에서는 개인의 불확실한 정체성을 외적 가치 추구의 주된 선행요인으로서 제시하여 명확한 정체성 확립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외적 가치 추구가 매개하는지 살펴볼 것(연구 1)이며, 연구 2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인과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연구 3에서는 개인사 내러티브를 이용한 종단적인 정체성 개입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건강한 가치관의 수립 및 심리적 건강의 증진을 돕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정체성 확립과 가치 추구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진로 행동 분야에 적용하여 실제 한국 청년들이 진로결정을 하는 데 있어 현실과의 타협에 이르게 되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방법

    연구 1에서 참가자들은 가치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정체성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설문지에 응답한 후 현재 자신의 모습에 이르게 된 결정적인 하나의 경험이나 일련의 경험들에 대해 작성한다. 이후 참가자들의 내러티브를 의미부여(내용적 측면)와 일관성(구조적 측면)에 대해 코딩하여 분석한다.

    연구 2에서 참가자들은 명확 정체성 조건과 불명확 정체성 조건 중 한 조건에 무선할당된다. 명확 정체성 조건에 할당된 참가자는 자신이나 미래, 삶에 대해 불확실하게 느꼈던 순간을 회상하고 이에 해당하는 경험을 3가지 적어달라고 요청한다. 확실 조건에 할당된 경우는 자신, 미래, 삶에 대해 확실하게 느꼈던 경험 3가지를 적는다. 이후 11개의 가치들에 대해 각 가치가 삶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순위를 매기게끔 한다.

    연구 3에서 참가자들은 2개월마다 내용적 측면에 대한 개입 두 번과 구조적 측면에 대한 개입 한 번, 총 세 번에 걸친 개인사 내러티브 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처음 두 회기는 의미부여(내용적 측면)에 대한 개입으로 인생 최고의 순간과 최악의 순간에 대해 서술하게 하고 세 번째 회기는 일관성(구조적 측면)에 대한 개입으로 어떻게 서로 다른 두 경험이 오늘날의 자신을 만들 수 있었는지에 대해 서술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개입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6개월 뒤에 참가자들은 연구실을 방문하여 가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체성 측정지 등에 응답하고 현재 자신의 모습에 이르게 된 결정적인 하나의 경험이나 일련의 경험들에 대해 서술하게 한다.

    연구 4에서 참가자들은 직업가치 및 진로목표 척도, 진로정체성 척도, 진로발달 결과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설문지에 응답한다. 졸업을 2년 정도 앞둔 학생들을 대상으로 졸업 후까지 2년 간 종단연구로 진행한다.

    3. 예상결과

    연구 1
    ● 내러티브의 의미부여 수준이 낮고 일관성이 적을수록, 즉 정체성이 불명확할수록 외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이다.
    ● 내러티브의 의미부여 수준이 낮고 일관성이 적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고 그 관계는 외적 가치 추구로 매개될 것이다.
    ● 내러티브의 의미부여 수준이 낮고 일관성이 적을수록 정체성 탐색 및 전념의 수준이 낮을 것이다.

    연구 2
    ● 불명확 정체성 조건의 경우 명확 정체성 조건보다 외적 가치에 해당하는 가치들의 순위를 더 높게 매길 것이다.

    연구 3
    ● 개입 조건의 참가자가 통제 조건의 참가자보다 내러티브 개입 이후에 외적 가치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가 떨어지고 심리적 안녕감도 높을 것이다.
    ● 통제 조건보다 개입 조건의 참가자가 정체성 탐색 및 전념 수준이 높을 것이다.

    연구 4
    ● 취업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이상적 직업과 현실적 직업의 가치 불일치가 증가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직업에 비해 현실적 직업의 내적 가치가 더 낮아지고 외적 가치가 더 높아질 것이다.
    ● 이상적 직업과 현실적 직업의 가치 불일치가 적을수록 전념수준이 높으며, 적극적 취업준비행동과 높은 수준의 개인-직업 적합도와 같은 긍정적인 진로발달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 이상적 직업에 비해 현실적 직업의 외적 가치가 더 높을수록 재고와 탐색수준이 높을 것이며, 노동시장진입연기나 미취업과 같은 부정적인 진로발달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많은 사람들이 돈이나 사회적 지위와 같은 외적인 가치를 원하고 또 추구한다. 삶에서 이런 것들은 필요하지만, 이런 가치들에 대한 지나친 추구는 심리적 웰빙을 저해한다. 그렇다면 왜 어떤 사람들은 왜 다른 사람들에 비해 외적인 가치를 더 많이 추구하려는 것일까? 본 연구는 그에 대한 해답이 정체성에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자신이 중요하고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일에 몰두할 때, 즉 정체성이 잘 형성되어 있을 때 심리적 웰빙은 상승한다. 하지만, 자신의 정체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자신의 가치를 자신의 내부가 아니라 외부로부터 찾게 된다. 그리고 그 결과 심리적 웰빙을 누리지 못한다. 본 연구는 총 4개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심리적 연결고리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상했던 대로, 확실하지 않은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고, 또 낮은 심리적 웰빙을 누리고 있었다. 나아가, 정체성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은 사람은 진로 선택에 있어서도 자신이 하고 싶은 일보다는 더 많은 돈과 지위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체성 형성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영문
  • Many people want and pursue extrinsic values such as money and social status. People need those values in life, but pursuing them to a great degree tends to de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question then is: Why do some people pursue extrinsic values than others? We think that identity is the key. When people have a clear sense of identity, in other words, when they know who they are and what they want,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But those who have filed to form identity try to maintain their self-worth through extrinsic values rather than their own self-values, which leads to low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four studies, we aimed to demonstrate those psychological links. We found, as expected, people with a clear sense of identity were more materialistic and failed to enjoy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those without a clear sense of identity tended to pursue a job that can bring money and social status instead of a job they like and enjoy. Tho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dentity form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 추구 성향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사회및성격심리학적 접근과 상담심리학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특히 전자를 통해서는 이러한 불확실한 정체성이 외적 가치 추구를 통해 낮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후자를 통해서는 불확실한 정체성이 진로타협행동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개의 연구를 계획하였고, 그중 두 가지는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의 역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종단연구로 계획하였다.

    연구 1에서는 낮은 정체성 확립이 외적 가치 추구를 통해 낮은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불확실한 정체성과 외적 가치 추구 성향 사이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에 대해 글을 쓴 참여자들(확실한 정체성 조건)에 비해 불확실하게 느꼈던 경험에 대해 글을 쓴 참여자들(불확실한 정체성 조건)의 상태물질주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정체성의 불확실성 정도가 외적 가치 추구 성향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물질주의를 인과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1과 2의 결과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19년 33권 2호에 게재되었다.

    연구 3에서는 서사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개입 연구를 8개월 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개입집단과 통제집단을 모집하였고, 개입집단에게는 인생의 최고점과 최고점을 적게 하고 각 이 두 경험이 어떻게 지금의 자신을 만들었는지 생각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가 시행된 시점이 코로나19가 한국사회의 커다란 충격을 주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시행했던 개입의 효과가 미미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 4는 대학생들이 진로를 타협해나가는 과정에 있어서 진로정체성, 직업 가치, 진로 장벽, 진로 포부, 진로 만족도, 진로타협의 정도 등이 서로 어떠한 양상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국내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년간 6개월 간격으로 6번의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1차: 475명, 2차: 454명, 3차: 405명, 4차: 494명, 5차: 411명, 6차: 316명)

    자료 분석의 결과, 진로정체성 과정 요인과 타협과의 상관관계는 탐색과 몰입은 타협과 부적 상관을, 재고는 타협과 정적인 상관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타협 척도들과 심리적 변인 및 진로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진로타협의 정도가 클수록 진로만족도, 진로관여도가 낮으며, 지각된 진로장벽, 진로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진로타협의 수준은 진로정체감의 지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성취 지위에 속하는 학생들이 다른 지위에 학생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타협을 보고하였다. 종단적인 자료 분석을 통해 변인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면, 내적 진로 목표와 진로일체감은 상호인과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내적 진로가치는 심층적인 진로 탐색의 정적인 예측변인으로, 진로자기의심은 내적 진로가치의 부적인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높은 경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그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국민들이 행복하지 못하다는 것은 한국사회가 당면한 큰 문제이다. 본 연구는 그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정체성의 부재와 이로 인한 외적 가치 추구를 설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체성 형성 과정에 개입하여 정체성 형성을 돕는 프로그램을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개발할 수 있다. 먼저,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 자기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신에게 정말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깨닫고, 그에 맞는 삶을 계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진로정체성이 가치 추구 및 타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토대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앞둔 대학생들에게 자신의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서 목표를 적절하게 수정하고 선택한 목표에 적응할 수 있는 심리적 지원프로그램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진로 상담의 경우, 내담자의 진로정체감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진로 선택의 양상을 예측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는 상담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색인어
  • 정체성, 서사정체성, 외적 가치, 심리적 안녕감, 정체성 확실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