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CSR과 성과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의 역할
Do employees mat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perform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3069098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11월 01일 ~ 201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유재미
연구수행기관 청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우재(청주대학교)
천미림(청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시장 기대가 높아지면서 CSR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중요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Porter and Kramer 2006).이에 CSR 실행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는 도구적 관점의 연구는 지속되었다. CSR이 성과에 미치는 긍정 효과에 대해 다소 논란이 있는 가운데(Aguinis and Glavas 2012) 본 연구는 CSR과 성과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을 중간에 두고 이 문제를 인사, 재무회계, 마케팅 관점을 융합하여 심층 탐색함으로써 CSR 효과차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를 통해 그동안 각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온 CSR 성과에 대해 좀 더 확장된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연구주제는 CSR과 성과 관계에서 직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색한다. 기업 내부 이해관계자인 직원은 CSR 전략의 중요 실행주체임에도(Aguilera, Rupp, Williams, and Ganapathi 2007) CSR이 성과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에서 직원의 역할을 탐색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직원에 대한 CSR의 중요 결과변수인 조직몰입(Brammer, Millington, and Rayton 2007)을 선정하여 CSR과 성과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검증할 것이다.
    우선,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관점에서 기업수준의 CSR과 재무성과(예: ROA, ROE, Tobin's Q) 관계에서 직원 조직몰입의 역할(Dyer and Reeves 1995)을 검증할 것이다. 그 다음, CSR과 개인수준 직무성과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역할을 검증할 것이다. 기존 재무회계관점 연구는 CSR-재무성과 관계 실증에 초점을 맞춘 반면 CSR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적고 인사, 마케팅관점 연구는 CSR과 이해관계자 관계를 기업수준 성과까지 연결한 것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각 분야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다.
    두 번째 연구주제는 CSR로 유도된 내부이해관계자의 조직몰입과 성과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CSR 효과에 대한 기존 논란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개인수준의 몰입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조직(팀)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개인, 팀수준의 다수준(Hierarchical Linear Model)에서 분석함으로써 몰입-성과 관계의 차이를 밝혀낼 것이다. 조직몰입과 직무성과관계에 윤리적 리더십, (팀)커뮤니케이션, 분위기 등의 조직/팀 변수가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업별 CSR 성과 차이가 나는 이유를 이해하고자 한다.
    세 번 째 연구주제는 CSR과 내부이해관계자에 대한 심층 탐색으로 어떤 직원이 기업이 실행하는 CSR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마케팅 연구에서 외부이해관계자인 소비자는 윤리적 정체성(moral identity)이 높을 때 그리고 본인의 가치와 기업 활동이 일치한다고 느낄 때 CSR 활동에 좀 더 민감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u, Bhattacharya, and Sen 2010: Romani, Grappi, and Bagozzi 2013).
    같은 맥락에서 윤리의식이 높거나 CSR이 개인 가치와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직원일수록 본인이 몸담고 있는 조직의 CSR에 좀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연구 프레임을 활용하여 내부이해관계자 특성과 CSR 수용 관계를 탐색할 것이다. 가설이 실증된다면 조직 내 직원 개인특성에 따라 CSR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네 번째 연구주제는 개인성향의 문제가 아닌 ‘윤리의식’이 교육을 통해 키워질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윤리의식이 높은 직원이 CSR과 성과관계에서 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면, 교육을 통해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의 윤리의식을 향상시켜 CSR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회계분야에서는 회계부정같은 비윤리적 행위가 큰 이슈가 되면서 조직 내 비윤리적 행동을 유발하는 이유로 부정삼각이론(fraud triangle theory, Cressey 1953)이 제시되고 부정 문제의 근본 해결을 위해서는 조직과 개인의 윤리의식 확립과 교육이 중요하다고 봤다(Beaghan 2008; Thomas 2012).
    본 연구는 도덕적 해이실험(DeYoung 1993; Ortmann and Colander 1997)을 바탕으로 직원 그리고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인 학생들이 교육훈련 전과 후에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의사결정과정(태도 및 행동)에 어떤 변화ㄹ를 일으키는지 검증할 것이다. 그리고 직원, 학생 집단별로 교육을 통한 윤리의식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무와 대학 교육 각각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정체성 이론,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이론, 리더십이론 대리인이론, 부정삼각이론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CSR과 성관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 역할을 탐색함에 있어 인사, 재무회계, 마케팅 각 분야의 이론을 확장 적용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결과의 부족함을 채우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동안 각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온 CSR 성과에 대해 좀 더 확장된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1, 2는 다음과 같은 기여점을 갖는다. 기존 재무회계관점 연구는 CSR-재무성과 관계 실증에 초점을 맞춘 반면 CSR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적고 인사, 마케팅관점 연구는 CSR과 이해관계자 관계를 기업수준 성과까지 연결한 것이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각 분야의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연구3을 통해 CSR과 외부이해관계자 적합성(fit)이 긍정적 소비자반응을 유도한다는 마케팅 연구결과가 내부이해관계자에도 실증된다면 조직 내 직원 개인특성에 따라 CSR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연구4를 통해서는 직원, 학생 집단별로 교육을 통한 윤리의식 변화와 성과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무와 대학 교육 각각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료수집에 있어, 지수화된 2차 자료(KEJI), 기업재무제표(KISValue), 인적자본기업 패널 (HCCP)데이터, 직원 및 학생 대상 서베이, 실험 등 다양한 방법과 자료원을 사용했다. 이로써 마케팅, 인사분야 관점에서 실증이 약했던 재무회계성과와 CSR의 관계, 재무회계관점에서 실증이 약했던 재무성과 도출의 메커니즘과 심리적 기재 등을 보완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2) 실무적 기여
    CSR 실행과 성과 도출에 있어 내부이해관계자의 중요성 인식
    이해관계자이론 관점에서 보면 CSR은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 관리를 통해 기업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동안 기업 매출 및 이윤에 직접 영향을 주는 외부이해관계자인 소비자는 CSR 성과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은 반면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SR 성과 유도 과정에서 직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떤 직원을 선발, 교육, 배치할 것인가 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SR 관련 인력 양성, 교육과 연계
    SK글로벌, 동양그룹, 대우해양조선의 분식회계사건은 특정 기업, 개인의 도덕적 해이가 직원과 투자자와 같은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뿐만 아니라 해당기업과 무관한 제3자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나아가 자본시장 자체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국가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미국 국내외 TOP 50개 경영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은 1/3이 기업윤리관련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개설하고 있고, 1988년 이후로 독립된 형태의 윤리교과는 500%나 증가했다(MacDonald 2007).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윤리교육은 형식적인 이론 학습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대학 커리큘럼에 윤리교육을 강화할 수 있고 두 번 째, 이론학습을 넘어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의 학습 경험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원에 대한 내부 교육 및 CSR 교육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CSR 성과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네 가지 연구주제 중 1차년도 연구주제1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연구주제 2, 3, 4는 연구목적, 잠정적 연구문제, 연구방법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연구주제1: CSR과 성과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의 매개역할
    1) 연구목적 및 검증 가설
    CSR이 성과를 유도하는 중간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실증한다. 이론적으로 이해관계자이론과 사회정체성이론(SIT, Social Identity Theory)에 바탕을 둔다. 이해관계자이론에 따르면, CSR은 이해관계자와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기업성과를 유도한다 (Freeman, 1984). 기업의 고유한 가치나 경영방식은 직원 개인의 정체성 수립에 기여하는데 CSR 통한 조직의 명성은 직원의 자긍심을 높여 조직과 일체감, 몰입을 높일 수 있다(Ashforth and Mael 1989).

    가설1-1. CSR은 기업 재무회계성과(ROA, ROE, Tobin's Q)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1-2 CSR은 개인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2, 기업수준의 CSR과 재무회계성과(ROA, ROE, Tobin's Q) 관계에서 직원의 조직몰입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3, 기업수준의 CSR과 개인수준의 직무성과 관계에서 개인수준의 몰입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2)연구설계
    2-1)변수측정
    CSR: 경제정의 연구소(Korea Economic Justice Institute)의 KEJI 지수 사용.
    조직몰입, 개인성과: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데이터 사용.
    기업 재무성과: ROA, ROE 와 시장가치지표인 Tobin's Q 사용.
    2-2) 표본선정
    2007년부터 2015년까지 KEJI가 측정된 코스피상장기업 전체를 기본으로 하고 해당기간 동안 2년 간격으로 측정된 HCCP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을 선정하고 해당기업의 재무성과 데이터를 대응시킨다. 그 다음 금융업은 제외하고 결산일이 12월 31일 기업만 선정한다.

    연구주제2:
    (CSR 영향을 받은) 직원의 조직몰입과 직무성과 관계에서 조직/팀 특성(예: 분위기, 리더십 등)의 효과
    1)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직원 조직몰입이 CSR 성과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조직분위기, 리더십 등의 영향을 개인과 기업 다수준에서 탐색한다.

    연구문제1. 직원이 인식한 조직의 CSR 활동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연구문제2. 직원의 조직몰입은 개인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연구문제3. 팀의 개방적 분위기는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킬 것이다.
    연구문제4.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킬 것이다.

    3) HLM 연구모형
    1단계:
    Yij(직무성과) =β0j+β1jXij(조직몰입)+εij …… (개인수준)
    2단계:
    β0j =γ00+γ01Wj(팀 분위기 또는 팀장 리더십)+μ0j
    β1j =γ10+γ11Wj+μ1j …… (조직/팀수준)
    4) 연구설계
    연구대상 및 방법: 직장인 대상(조직-팀-개인) 서베이

    연구주제3:
    내부이해관계자의 자질, 성향, 가치 등이 CSR 수용, 태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1)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CSR이 직원의 자질, 성향, 가치 등에 따라 다르게 수용되는지 탐색한다. 윤리적 자아정체성, 이타적 가치등이 직원의 CSR수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다.

    연구문제1. 직원의 윤리의식(또는 이타적가치/사회적성향 등)은 CSR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연구문제2. CSR이 직원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윤리의식(또는 이타적가치/사회적성향 등)이 높은 직원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2) 연구설계
    연구대상 및 방법: 직장인 대상 서베이

    연구주제4:
    교육이 내부이해관계자의 윤리적 태도 형성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1)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윤리적 의사결정 훈련과정을 통해 직원 그리고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인 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 변화를 탐색한다. 교육대상 특성에 따라 교육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탐색할 것이다.

    연구문제1. 윤리적 딜레마 상황(부담, 기회, 합리화)에 대한 훈련 전후 내부이해관계자의 태도 및 행동에 변화가 생길 것이다.
    연구문제2. 윤리적 딜레마 상황별로 훈련에 따른 태도 및 행동변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연구문제3. 윤리적 딜레마 상황별 훈련에 따른 효과는 현재 내부이해관계자보다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 집단(학생)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연구문제4. 윤리적 딜레마 상황별 훈련에 따른 효과는 (잠재적)내부이해관계자의 (연령)직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2) 연구설계
    연구대상 및 방법: 직장인/학생 대상 유사 실험설계(두 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
    통계적 실험설계(3요인 반복실험설계: 3X2 factorial desig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시장 기대가 높아지면서 CSR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중요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업은 CSR 실행이 과연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인가에 가장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CSR과 성과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가 지속되었다. CSR이 기업 재무 성과에 미치는 긍정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CSR과 재무 성과 관계에서 직원(내부이해관계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CSR 효과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왜 차이가 나는지를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CSR과 기업성과 관계에서 직원의 조직 몰입이 중간에서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지 탐색했다. CSR이 직원의 조직 몰입을 높이고 이것이 기업 재무 성과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중간 고리로서 내부이해관계자의 역할을 탐색했다. 또한, 조직내 윤리적 리더가 조직원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내부 이해관계자에 대한 윤리 교육 효과 등을 탐색했다.
    첫 번째 연구는 CSR과 성과 관계에서 직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색했다. 기업 내부 이해관계자인 직원은 CSR 전략의 중요 실행 주체임에도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고 CSR과 성과 관계에서 직원의 역할을 탐색한 연구도 적은 편이다.
    두번째는 조직 몰입과 조직 효과성 사이에서 CSR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색했다. 세 번째 연구는 조직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실제적인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색한다. 조직이 공정할 수록 그리고 팀장과 팀원의 상호작용이 높은 경우에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윤리적 리더는 팀원들에게 역할모델로 작동하기 때문에 팀원들은 윤리적 리더를 통해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을 학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조직 애착과 동일시 동기가 높아진다고 예상했다.
    네 번째 연구는 ‘윤리의식’이 교육을 통해 키워질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교육을 통해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의 윤리의식 향상이 가능하다면 이를 통해 CSR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회계 분야는 회계부정같은 비윤리적 행위가 큰 이슈가 되면서 조직 내 비윤리적 행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개발에 관심이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딜레마 실험을 통해 내부 구성원의 윤리적 의사결정과정 훈련의 효과를 탐색한다.
  • 영문
  • CSR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enterprise, as market expectation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crease. Research continu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nancial performance because the biggest concern was whether CSR implement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rom a corporate perspective. There is a controversy over the positive effects of CSR on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internal stakehold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performance.
    Specifically, it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personal perform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ethical education for internal stakeholders.
    The first study explored what role employees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financial performance. Employees have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even though they are an important agent of the CSR strategy. In addition, few research has explored the role of employees in the mechanisms in which CSR induces financi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important outcome of CSR for employees, was selected to verify the role of employe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nd performance.
    The second study explored the control role of CSR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third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personal performance of its members. Since ethical leaders are role models for team members, the team members are expected to learn desirable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ethical leaders and it increase attachment to organization.
    The fourth study explores whether ethical awareness can increase through education. If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thical awareness of employees through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find ways to improve CSR performa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시장 기대가 높아지면서 CSR은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중요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Porter and Kramer 2006). 기업 입장에서 CSR 실행이 과연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인가는 가장 큰 관심이었기 때문에 CSR과 기업성과 관계를 탐색하는 도구적 관점의 CSR 연구는 지속되었다. CSR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 효과에 대해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 않은 상황(Aguinis and Glavas 2012)에서 본 연구는 CSR과 성과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CSR 효과 창출의 매카니즘과 CSR 효과 차이에 대한 탐색을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CSR과 기업성과 관계에서 직원의 조직 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탐색했다. CSR이 직원의 조직 몰입을 높이고 이것이 기업 재무 성과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내부이해관계자의 중간 역할을 탐색했다. 그리고 조직내 윤리적 리더가 조직원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내부 이해관계자에 대한 윤리 교육의 효과 등을 탐색했다. 해당 주제를 인사, 재무회계, 마케팅 관점을 융합하여 심층 탐색함으로써 그동안 각 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온 CSR 성과에 대해 좀 더 확장된 결과와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첫 번째 연구는 CSR과 성과 관계에서 직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색했다. 기업 내부 이해관계자인 직원은 CSR 전략의 중요 실행주체임에도(Aguilera, Rupp, Williams, and Ganapathi 2007) 다른 이해관계자 대비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았다. 또한, CSR이 성과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에서 직원의 역할을 탐색한 연구도 적은 편이다. 직원에 대한 CSR의 중요 결과 변수인 조직몰입(Brammer, Millington, and Rayton 2007)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CSR과 성과관계에서 직원이 의미 있는 연결 역할을 하는지 검증했다.
    KEJI(Korea Economic Justice Institute) 지수, 인적자본기업패널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데이터, 한국신용평가(주) KIS-VALUE 의 기업재무성과 자료 등 세 가지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 모형을 검증했다.
    다음 주제는 내부이해관계자와 성과관계에서 조직의 영향력을 탐색하는 것이다. 우선, 조직 몰입과 인적자원경쟁력, 내부프로세스 경쟁력, 대고객 역량 등의 조직효과성에 CSR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탐색함으로써 조직몰입-성과 관계에서 CSR에 의한 효과 차이를 밝혀냈다. KEJI(Korea Economic Justice Institute) 지수, 인적자본기업패널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데이터, 한국신용평가(주) KIS-VALUE 의 기업재무성과 자료 등 세 가지 데이터를 활용해 모형을 검증했다.
    세 번째 연구는 조직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실제적인 업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고자 했다. 조직이 공정할 수록 그리고 팀장과 팀원의 상호작용(LMX, Leader-Member Exchange) 수준이 높을 경우에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윤리적 리더는 팀원들에게 역할모델로 작동하기 때문에 팀원들은 윤리적 리더를 통해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을 학습하게 되고 이를 통해 조직에 대한 애착과 동일시 동기가 높아진다고 예상했다. 조직내 윤리적 환경(CSR 실행 결과물)이 조직내 개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CSR과 구성원 개인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연구는 ‘윤리의식’이 외부 자극 즉, 교육을 통해 키워질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교육을 통해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의 윤리의식 향상이 가능하다면 이를 통해 CSR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회계 분야는 회계부정같은 비윤리적 행위가 큰 이슈가 되면서 조직 내 비윤리적 행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개발에 관심이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실험경제학에서 이루어진 주인-대리인 딜레마를 이용한 도덕적 해이 실험을 바탕으로 직원과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의사결정과정 훈련의 효과를 탐색한다. 연구대상이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교육 전과 후 의사결정과정(태도 및 행동)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검증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연구결과
    연구1을 통해 CSR이 기업 재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제 3기관이 측정한 KEJI(CSR 평가지표), 재무자료 등을 통해 CSR과 성과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연구방법마다 다르게 나타난 결과 차이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SR과 기업 재무성과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의 조직 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y)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 사회적책임을 다하는 조직의 구성원은 조직과 자아를 일치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져 조직 몰입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높아진 조직 몰입이 기업 재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연구결과를 통해 CSR과 기업성과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연구2를 통해 조직 몰입은 조직효과성에 있어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조직 몰입과 성과 사이에서 CSR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이는 CSR이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 조직성과(천미림∙유재미 2016)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상황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특히 구성원들이 조직에 몰입할수록 대 고객 대응 역량이 강화되고, 소비자의 권리보호, 소비자관련법준수, 소비자 안전 등과 같은 소비자 중심의 CSR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될수록 대 고객 대응 역량은 더욱 강화된다고 할 수 있다.
    연구3과 4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있어 윤리적리더와 윤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학문적 활용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 전략적인적자원관리이론, 리더십 이론, 대리인 이론, 부정삼각이론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CSR과 성관 관계에서 내부이해관계자 역할을 탐색함에 있어 인사, 재무회계, 마케팅 각 분야의 이론을 확장 적용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결과의 부족함을 채우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자료수집에 있어, 지수화된 2차 자료(KEJI), 기업재무제표(KISValue), 인적자본기업 패널 (HCCP)데이터, 직원 및 학생 대상 서베이, 실험 등 다양한 방법과 자료원을 사용했다. 이로써 마케팅, 인사분야 관점에서 실증이 약했던 재무회계성과와 CSR의 관계, 재무회계관점에서 실증이 약했던 재무성과 도출의 메커니즘과 심리적 기재 등을 보완함으로써 각 분야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3. 실무적 활용
    1)CSR 실행과 성과 도출에 있어 내부이해관계자의 중요성 인식
    이해관계자이론 관점에서 보면 CSR은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 관리를 통해 기업성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동안 기업 매출 및 이윤에 직접 영향을 주는 외부이해관계자인 소비자는 CSR 성과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은 반면 내부이해관계자인 직원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SR 성과 유도 과정에서 직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직원 몰입 유도를 위해 CSR 실행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조직 내 리더의 윤리적 리더십은 CSR 성과 및 개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CSR 관련 인력 양성, 교육과 연계
    SK글로벌, 동양그룹, 대우해양조선의 분식회계사건은 특정 기업, 개인의 도덕적 해이가 직원과 투자자와 같은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과 무관한 제3자에게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나아가 자본시장 자체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국가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미국 국내외 TOP 50개 경영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은 1/3이 기업윤리관련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다(MacDonald 2007).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윤리 교육은 이론 학습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대학 커리큘럼에 윤리교육을 강화할 수 있고 이론 학습을 넘어 잠재적 내부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과정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실질적인 윤리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직원에 대한 내부 교육 및 CSR 교육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CSR 성과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기업 사회적 책임(CSR), 내부이해관계자, 조직몰입, 기업성과, 개인성과, 조직효과 윤리적 리더십, 공정성 인식, 리더 구성원 교환이론(LMX), 윤리 교육, 윤리적 딜레마 이해 관계자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 사회교환 이론, 인상형성 이론, 주인-대리인 딜레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