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의 기본 학습권 보장을 위한 맞춤형 (Hidden Handicap) 교육·상담 모형 디자인 연구
Designing Education and Counseling Model for the Success of Hidden Handicap/Under-served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3A2066303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수미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동일(서울대학교)
고혜정(위덕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공공문제 해결이라는 거시적 목표 하에 교육사각지대의 집중교육지원 집단인 Hidden Handicap(H2) 학습자들의 기본학습권 보장을 위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교육혁신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년 장기플랜으로 교육·상담 지원이 요구되는 H2 학습자들을 위한 EUSS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학생수준, 부모·교사수준, 기관 수준에서 다각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상담지원 모형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전체 마을이 필요한(It takes a whole village to raise a child) 것처럼, 한 학생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학교 전체가 혁신하고 변화해야 한다(It takes a whole school to educate a student). 본 연구는 학생, 부모 및 교사, 기관 등 다층적 수준의 종합적이면서 다차원적인 교육·상담모형을 제시하고 교육·상담지원센터를 설립함으로써, 교육사각지대에 있는 모든 H2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학교에 적응하고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한국사회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교육적 지원 참여대상인 H2 학습자가 학교 및 사회에 적응적이고 성공적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학습자 수준에서는 H2 학습자들에게 획일화된 교육방법이 아닌 부진의 개별적 원인에 초점을 맞춘 ‘개별맞춤형 진단 모형’을 개발하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상담 지원을 위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부모·교사 수준에서는 교육사각지대에 있는 H2 학습자 학습자의 성공을 위해 교육·상담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들이 부진을 극복하는 것을 돕기 위한 교사 및 현장 전문가에게 양질의 훈련과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기관수준에서는 H2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한 자문을 제공하고, H2 학습자를 위해 단위학교 수준 교육혁신 모델(RTI)을 제안함으로써 획일화된 현 교육방법으로 학습을 따라가지 못해 부진 학생들에게 학교 및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켜준다.
    이상의 연구 목적들을 실행함으로써, 교육사각지대 H2 학습자들을 위한 책임교육을 확립하고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개혁을 위한 정책 및 법령 제안하고 H2 학습자를 국가가 책임지는 교육환경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지속적인 후속연구 및 H2 학습자들에게 교육·상담지원을 위한 ‘교육사각지대지원 EUSS(Every Under-served Student Succeeds)센터’설립 및 발전의 동력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EUSS 센터는 교육사각지대에 있는 H2 학습자들의 교육·상담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및 실천연구와 현장에서의 적용 등 다양한 학문적·실천적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H2 학습자의 학교·사회의 유연한 적응과 학업적 성장과 관련 경험 및 연구의 중심이 되어 우리 사회의 학문적·실천적 영역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 연구결과의 학문적 · 사회적 기여도

    ▣ 개인차원과 학교차원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H2 학습자 책임교육 시스템 제공
    본 연구를 통해 개인·교사차원·학교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책임교육 시스템을 수립함으로써 H2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어온 현 연구 및 교육방침의 단기적 한계성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활약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현 정책 및 법률을 기준으로 지원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조명
    본 연구에서는 H2 학습자들을 학습부진의 원인을 유형화 할 수 있는 맞춤형 개인 진단모형을 개발하여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재 정책 및 법률에 의거하여 교육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학습자들을 조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나. 차세대 인력양성 방안

    ▣ H2 학습자에서 사회적 인재로의 육성
    H2 학습자들의 조기진단 및 원인규명, 그리고 적절한 교육·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사각지대 H2 학습자들의 학습부진 극복률을 높이고 우리 사회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초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H2 학습자를 위한 교육·상담전문가 양성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 및 수준에서 H2 학습자의 교육·상담전문인력 육성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고 장기적인 계획을 구축·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H2 학습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현장 교사들이 참여하고 현장에 이를 접목할 수 있도록 운영될 것이다. 또한 학교차원으로 이어져 H2 학습자를 지원하는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다차원적이고 협업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H2 학습자 연구 및 교육 실천의 핵심 연구소로 도약
    본 연구는 지속적인 후속 연구 및 H2 학습자 관련 교육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EUSS 센터’설립 및 발전의 동력이 될 것이다. EUSS 센터는 H2 학습자 관련 기초 연구 및 실천연구와 현장에서의 적용 등 다양한 학문적·실천적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H2 학습자의 학교·사회의 유연한 적응과 학업적 성장과 관련 경험 및 연구의 중심이 되어 우리 사회의 학문적·실천적 영역에 기여할 것이다.

    ▣ H2 학습자를 위한 국가적 지원 정책 및 법률 제안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H2 학습자 책임교육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환경 개선 정책 및 법령을 제안함으로써, 교육적 사각지대에 있는 H2 학습자를 국가가 책임지는 환경을 디자인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다. 연구결과의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 학교차원 교육모형을 통한 H2 학교 지원 체제의 혁신적 변화
    본 연구는 RTI 기반의 학교차원 교육모형을 제공하여 H2 학습자를 위한 교육 지원이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학교차원의 교육·상담모형은 교사 등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H2 학습자 교육·상담지원 관련 특별 연수, 학교기반 혁신모델 등으로 시범운영 될 수 있을 것이다.

    ▣ 맞춤형 개인학습 성취검사를 통해 H2 학습자 조기 진단 및 개별화 교육 제공
    H2 학습자의 부진 원인이 개개인에 따라 현저하게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단순 일괄적으로 분리된 후, 학생의 개개인적 특징이 반영되지 않은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학습 진전도와 학업 회복력에서 큰 성과를 이루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H2 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개인학습 성취검사는 H2 학습자의 학습부진관련 개별적 원인을 규명하고 초기진단 및 개별화 학습프로그램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H2 학습자를 위한 개별화 및 시기적절한 교육 제공해줌으로써 이들의 회복탄력적 성장을 돕고 모든 학습자들이 학교 및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의미있는 교육지원을 받지 못하고 교육사각지대에 드러나지 않고 숨겨진 다양한 Hidden Handicap 학습자(이하, H2 학습자)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특수교육대상자에 속하지 않고, 현재 교육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획일화된 교육과정으로는 교육지원을 받지 못하여 수업을 쫒아가기 어렵거나 심각한 학습부진 상태에 놓이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H2 학습자들에게 다문화가정, 기초수급자 가정 등 사회경제적 위기 요소가 더해질 경우에는 이중적이고 복합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되어 제대로 된 교육적 지원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사각지대에 있는 H2 학습자들의 학습결손이 누적되기 이전에 이들의 기본학습권을 보장하고 교육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루고 학교 및 사회에서 성공적인 학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상담지원이 제공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10년 동안의 장기플랜으로 우선, H2 학습자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통해 학생들의 독특한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조기예방 및 맞춤형 교육·상담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적 수준의 EUSS 교육·상담 지원센터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단계(소형 단계)에서는 H2 학습자 하위유형과 특성연구, 진단체계 구축 및 다수준 교육·상담모델 개발, 2단계(중형 단계)에서는 H2 학습자 맞춤형 지원을 위한 초학제적 지원모형 구축, 3단계(대형 단계)에서는 H2 학습자 책임교육을 위한 초학제적 수준의 교육·상담지원 중추기관인‘교육사각지대지원 EUSS(Every Under-served Student Succeeds)센터’의 설립을 통하여 H2 교육지원생태계 구성을 위한 정책 및 법령 제안 연구를 계획하였다. 이중, 1단계인 소형단계에서는 H2 학습자에 대한 하위유형과 그 특성을 탐색하여 진단체계를 확립하고 다수준 교육상담지원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2 학습자 대상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분석 및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면담과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H2 학습자 관련 이론체계를 확립하고, 이들에 대한 종단데이터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여 H2 학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H2 학습자 맞춤형 개인학습 성취검사를 시범 개발 작업을 실시할 것이며, 학습자의 학업 진전도를 점검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웹기반 형성평가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중재기반 모형을 구축하고 부모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하여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다수준 교육·상담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시스템이 제공하는 획일화된 커리큘럼으로는 수업을 쫒아가기 힘들고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드러나지 않고 숨겨진 학생들을 Hidden Handicap 학습자(숨겨진 교육 지원대상, 이하 학습자)라고 정의하고, 학습자도 학문적·사회적 성공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운동장`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 수준, 부모·교사 수준, 학교(기관) 수준을 포함한 다층적 및 종합적인 교육·상담지원 모델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을 둘러싼, 부모, 교사, 더 나아가 기관이 종합적이면서 다차원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교육·상담모델을 제시하여, 모든 학습자가 성공적으로 학교에 적응하고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한국사회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개혁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학습자를 위한 교육개혁 방안은 10년 장기 플랜 과정으로, 학습자 지원 종합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학생 수준, 부모·교사 수준, 기관 수준에서 다각적이고 전문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1년 차에는 학습자에 대한 하위유형 탐색 및 특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 개념 및 특성 관련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메타 연구, 학습자 개념 및 특성 관련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개념도 분석, 학습자 하위유형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 차에는 학습자 진단체계 모형 개발 연구를 주제로, 학습자 진단 문헌 연구 수행, 학습자 진단 모형 개발, 학습자 맞춤형 개인학습 성취검사 시범 개발을 진행하였다.
    3년 차에는 다수준 교육․상담 지원 모형 개발을 주제로 학습자 진단과 관련된 학습자진단 모형을 개발, 부모 교육 지원 방안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학교운영자 연수 콘텐츠 및 지침서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소형단계 3년간 학습자 이론체계 및 선별 척도 개발 등을 통해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제공하였으며, 현 정책 및 법률 기준으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조명하기 위한 학술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 영문
  • In this study, the uniform curriculum provided by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makes it difficult to follow classes, unexposed and hidden students in the blind spot of education are defined as Hidden Handicap learners. To provide a "Level the playing fields" for Hidden Handicap learners to achieve academic and social success, a multi-layered and comprehensive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model, including student level, parent/teacher level, and school (Organization) level was devis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ducational and counseling model that allows not only students as individuals but also surrounding parents, teachers, and institutions to collaborate comprehensively. Which also, multi-dimensionally provides a foundation for all Hidden Handicap learners to not only successfully adapt to school but grow and become talented in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we intend to study comprehensive and long-term educational reform measures to support Hidden Handicap learners. The educational reform plan for Hidden Handicap learners is a 10-year long-term plan course, and to build a support center for Hidden Handicap learners, we will look at various and professional measures at the student, parent, teacher, and institutional level.
    In the first year, we conduct subtype exploration and characteristic studies on Hidden Handicap learners. To this end, we conduct meta-studies for establishing hidden learner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lated theoretical systems, conceptual diagram analysis for establishing hidden learner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lated theoretical systems, and hidden learner subtype analysis studies.
    In the second year, we conducted a hidden learner diagnostic literature study, a hidden learner diagnostic model development, and a hidden learner customized personal learning achievement test pilot development under the theme of the hidden learner diagnostic system model development study.
    In the third year, under the theme of developing a multi-level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model, a hidden learner diagnosis model was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support plan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developed, and a school operator training content and guidelines were developed.
    As a result, it provided academic and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dden learner theory systems and screening scales for three years in the small phase and formed an academic network to shed light on Hidden Handicap learners who are not adequately supported by current policy and legal standar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몇 년 동안,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법안들이 계속해서 제정 발의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들만 특수교육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특수교육지원을 받을 수 없는 학생들은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사각지대에 있어 교육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그들이 실패하고 학습장애로 진단되기까지 장기간의 시간을 지나고 나서야 교육지원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시스템이 제공하는 획일화된 커리큘럼으로는 수업을 쫓아가기 힘들고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드러나지 않고 숨겨진 학생들을 Hidden Handicap 학습자(숨겨진 교육 지원대상, 이하 교육사각지대학습자)라고 정의하고, 교육사각지대학습자도 학문적·사회적 성공을 할 수 있도록 `평평한 운동장`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 수준, 부모·교사 수준, 학교(기관) 수준을 포함한 다층적 및 종합적인 교육·상담 지원 모델을 고안하였다. 또한, 학생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을 둘러싼, 부모, 교사, 더 나아가 기관이 종합적이면서 다차원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교육·상담모델을 제시하여, 모든 교육사각지대학습자가 성공적으로 학교에 적응하고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한국사회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교육개혁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위한 교육개혁 방안은 10년 장기 플랜 과정으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지원 종합 센터를 구축하기 위해 학생 수준, 부모·교사 수준, 기관 수준에서 다각적이고 전문적인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단은 소형 단계에서 교육사각지대학습자 하위유형 탐색 및 특성 연구를 통한 진단체계 확립과 다 수준 교육·상담 지원모델 개발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1년 차에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에 대한 하위유형 탐색 및 특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사각지대학습자 개념 및 특성 관련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메타 연구, 교육사각지대학습자 개념 및 특성 관련 이론체계 확립을 위한 개념도 분석, 교육사각지대학습자 하위유형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2년 차에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진단체계 모형 개발 연구를 주제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진단 문헌 연구 수행, 학습자 진단 모형 개발, 학습자 맞춤형 개인학습 성취검사 시범 개발을 진행하였다.
    3년 차에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 다수준 교육․상담 지원 모형 개발을 주제로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진단 모형을 개발, 부모 교육 지원 방안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학교운영자 연수 콘텐츠 및 지침서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단은 소형단계 3년간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이론체계 및 선별 척도 개발 등을 통해 학문적·사회적 기여를 제공하였으며, 현 정책 및 법률 기준으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조명하기 위한 학술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또한, 연구 활동을 반영한 교육지원 정책 수립을 위해 지역사회 연계 및 입법화 활동을 하였으며, 다양한 교육 및 세미나를 개최하여 상담사 및 특수교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교육부문 공공문제 해결과 잠재위험군 학습자 관리체계 구축”이라는 비전과 “교육사각지대학습자 하위 유형 탐색 및 특성 연구를 통한 진단체계 확립과 다 수준 교육-상담 지원 모델 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3년간의 연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아젠다 달성을 통해 학문적·사회적 기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단은 학술논문 총 34편, 저·역서 총 8권을 발표하면서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학문적·사회적으로 조명하는 성과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현 정책 및 법률 기준으로 지원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학습자 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로 분류될 수 있는 난독증, 느린 학습자, 경계선 지적 기능 등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들이 교육 평등권을 보장 받을 수 있도록 입법화 및 공론화 활동을 진행하였다. 또한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주제로 한 세미나,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학문적 공유의 장을 마련하고, 학술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사각지대학습자들을 단순히 선별하는 것이 아닌 학습 부진의 원인을 유형화 할 수 있는 맞춤형 개인 진단모형을 개발하여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재 정책 및 법률에 따라 교육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 학생들을 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셋째, 교육과의 연구연계를 통해 학교지원체계 변화 및 국가 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팀은 연구 활동을 반영한 교육지원 정책 수립 및 수행을 위하여 지역사회(경기도 시흥시, 서울시 광진·성동 교육청, 송파구 지역아동센터 등)와의 MOU를 체결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및 지역 사회에 교육사각지대 학습자들을 병리적인 모델이 아닌 지원대상으로 볼 수 있도록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으며, 체계적인 학습자 선별 및 수준별·맞춤형 교육지원을 위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단위 학교의 자체 역량 강화하기 위하여 선별된 학생들의 주 양육자 또는 주 교육자인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지·정서 관련 교육컨설팅, 직무연수, 워크숍 등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사업 확대 및 교육사각지대학습자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난독증 학생 교육 평등권 보장 진정 등의 입법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는 국가적 차원의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책임교육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환경 개선 정책 및 법령을 제안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교육사각지대학습자 및 교육지원을 위한 차세대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연구인력 차원에서는 참여 대학원생 중 석사학위 7명, 박사학위 3명을 배출하였으며, 국내 학술지 게재 총 13편,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총 14회의 성과를 거두었다. 교육·상담 전문가 양성 차원에서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현장 교사들이 참여하고 이를 접목할 수 있도록 교사 직무연수,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또한 상담사들의 교육사각지대학습자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를 높이고, 맞춤형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강연과 슈퍼비전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 및 수준에서 전문 교사 및 상담사 양성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형단계에서는‘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지원’에 초점을 두고 지원모형 및 지원 전문가 양성에 집중할 것이다. 교육사각지대학습자 개념, 특성 및 하위유형에 관한 기초연구 및 교육사각지대학습자를 선별하기 위한 체계적인 진단체계모형을 기반으로, 보다 입체적인 지원을 위하여 다학제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교육사각지대학습자 지원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교육사각지대학습자 다학제적 지원모형을 실행하고 검정함과 동시에 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디자인함으로써 전국 각지에 있는 교육사각지대학습자들이 빠짐없이 선별되고 지원을 받을 것이다.
  • 색인어
  • 교육사각지대학습자, 교육사각지대, 교육·상담 모형 디자인, 잠재적 위험군, 학습권, 학습 및 교육지원, 기초학습권 보장, 기초학력보장, 교육혁신, 맞춤형 교육상담, 기초학습부진, 학습부진, 경계선 지적지능, 난독증, ADHD, 정서·행동장애, 중재반응모형(RTI)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