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4차 산업혁명시대 일자리 변화 선도를 위한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Integrated Engagement Model for Workforce Innov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3A2066878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송해덕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우철(한국기술교육대학교)
조윤성(중앙대학교)
홍아정(중앙대학교)
김혜정(중앙대학교)
변수용(Pennsylvania State Univ.)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장기집단연구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일자리 변화 선도체제 구축을 위한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을 목표로 한다. 몰입은 구성원의 일(work)에 대한 열정, 흥미, 만족의 상태를 의미하며, 높은 몰입의 상태는 궁극적으로 다양한 긍정적 성과를 낳게 하는 동인이 된다.
    - 소형단계의 연구에서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형 통합몰입 발현 맥락 탐구 및 모델 개발, 한국형 통합 몰입 진단도구 개발,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
    - 한국형 통합몰입 모델 구인화 및 실천현장 발현맥락을 탐색한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맥락을 반영하여 조직 유형별(학교, 기업, 공공기관)로 몰입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한국형 통합몰입의 모형을 구인화한다. 또한 실천현장 맥락에서 한국형 통합몰입이 발현되는 맥락을 살펴보고 우수사례를 규명한다. 이후에는 한국형 통합몰입 모델을 기반으로 진단영역을 규명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한다.
    - 이를 통해 개인, 집단, 지역별 통합몰입 수준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예측변인과 성과변인들을 검토하여 효과적인 몰입 개발 방안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 마지막으로 한국형 통합몰입에 관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제도와 실천방안이 도출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패널 기본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조사내용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기대효과 및 정책적 활용방안을 논의한다.

    <장기집단연구로서의 중요성>
    - 중장기연구에서는 소형과제에서 개발한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 및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일자리 유형(학교, 기업, 공공기관)별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미래형 일자리의 환경 창출과 몰입이 높은 개인, 조직, 지역사회, 국가체제를 달성하기 위한 선순환적 생태계 모델을 조성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제도적, 교육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해외의 몰입 관련 진단은 컨설팅 회사들에 의해 기업 컨설팅을 목적으로 매년 수행되는 사례들이 있다. 그러나 아직 몰입의 이론적 기반이 구축되는 단계이며, 또한 서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 된 한국형 통합몰입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지속적 수집과 관리를 통해 한국형 통합몰입을 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적 논의와 연구과제들을 생성할 것이다.
    - 또한 개발된 통합몰입 측정도구를 동아시아(일본, 중국, 한국)용으로 타당화하여 글로벌 연구단을 형성하고 글로벌 버전의 조사도구를 개발, 분석, 전파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통합몰입과 관련된 세계적 수준의 몰입 관련 인적자원 연구센터를 구축하고 글로벌 몰입 연구의 거점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관리하면서 한국에서 통합몰입이 행복한 일자리의 유지와 창출에 어떻게 기여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통합몰입과 성과지표와 관련된 다양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또한 한국형 통합몰입 측정도구를 동아시아 지역에 적용하여, 한국형 통합몰입의 모델을 확장하고 국제비교를 통해서 통합몰입의 학문적 논의와 이론, 사례를 세계적 수준으로 확산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일자리의 불확실성과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차원의 생태계적 접근 하에 다양한 조직 유형에서 몰입과 관련된 요인들의 진단과 이를 긍정적 결과로 이끄는 제 변인을 조사 및 분석하여, 개인, 조직, 국가 차원의 가치와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 개인 차원에서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적(proactive)으로 대응하고 혁신적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조직차원에서는 조직의 혁신행동과 생산성, 고객지향적인 가치를 높이고,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에서는 시민의식과 지역사회의 몰입을 높여서 행복한 일자리와 삶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 통합몰입연구의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여, 전문 연구단 및 연구기관과의 네트워킹 및 페널데이터 관리하는 데이터센터를 한국HRD전략연구소 내에 몰입관련 인적자원 연구센터를 신규 설치한다.
    - 한국형 통합몰입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연구의 범위와 적용을 동아시아권으로 확대하여 제4차 산업혁명기의 변화에 적응과 성공을 위한 핵심기제로서의 일자리 생태계 모델을 제안, 구축 및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통합몰입 연구센터조직을 운영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통합몰입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국가 및 지역사회, 조직, 개인 등이 시도할 수 있는 새로운 몰입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 비전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담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급격히 일자리 환경이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행복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조직 및 개인적 차원의 핵심요인으로 몰입(engagement)이 각광받고 있으며,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생태계적 접근 하에 다양한 조직 유형에서 몰입과 관련된 요인들의 진단과 이를 긍정적 결과로 이끄는 변인을 조사 및 분석하여, 개인, 조직, 국가 차원의 가치와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제 연구를 수행한다. 1단계 소형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1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몰입 발현 맥락 탐구 및 모델 개발
    2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 몰입 진단도구 개발
    3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1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몰입 발현 맥락 탐구 및 모델 개발>

    제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전환 국면에서 사회, 경제, 문화, 조직적 변화의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국형 통합몰입에 대한 개념을 탐색하고, 발현 양상을 확인하며, 이론 모델을 개발 및 구축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에 제시되는 몰입의 이론적 모형과 이에 기반한 진단 및 평가 진행 양상은 다분히 서구적 문화, 경제, 조직맥락에 배태되었다. 더욱이 기 개발된 몰입 측정도구의 경우(예: Harter, Schmidt, & Hayes, 2002; Saks, 2006; Schaufeli & Bakker, 2003; Soane et al., 2012) 조직 내 구성원으로서 조직에 대한 직원몰입 개념을 측정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맥락에 치우친 구성 체계는 현상의 잘못된 해석을 야기하고 신뢰롭지 못한 결과를 제시하는 등 다양한 문제 발생소지가 존재한다(Berry, 2002). 따라서 근본적으로 한국형 통합몰입 모델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1차 년도 연구에서는 국내 맥락을 반영한 조직 유형별(학교, 기업, 공공기관) 조직구성원 몰입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재개념화 된 한국형 통합몰입의 모형을 구인화한다. 이를 통해 한국형 통합몰입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가치를 환기시키며 궁극적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기에 요구되는 미래형 인재상 육성 및 개발방안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한다.

    <2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 몰입 진단도구 개발>

    제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전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요소인 몰입 생성의 첫 단계는 현재 맥락에서 몰입 수준을 진단하고, 결과에 따르는 체계적인 개입을 제공하는 것이다. 몰입 수준 진단을 통해 개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고, 몰입 수준을 저하시키는 원인과 개선방안을 탐색하여 효과적인 몰입 관리 제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거시적으로는 국가 전체 영역으로 확대하여 지역별, 계층별, 산업별 몰입 현황을 지속적으로 진단하고 데이터를 구축하여 국가의 근본적 체질을 전환하기 위한 도구이자 동인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2년차 세부과제는 한국형 통합몰입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Netemeyer, Bearden과 Sharma(2003)의 4단계 척도개발 모형을 토대로 체계적 진단도구 개발절차를 수행하며, 특히 암묵적연합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 문항반응이론 등 학문 간 융합에 기반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진단도구를 개발 할 것이다.

    <3년차 세부과제: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

    한국형 통합몰입의 국가적 확산을 위한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제도와 실천방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정책판단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초통계와 자료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횡단적 실태 뿐 아니라 환경변화에 따른 동태적 변화를 정확하게 기록하기 위해서는 변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패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3차년도 세부과제는 2차년도에 수행된 한국형 통합몰입 진단도구를 활용한 패널데이터 구축 기초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패널 기본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조사내용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기대효과 및 정책적 활용방안을 논의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4차산업혁명으로 촉발되는 다양하고도 급격한 일자리의 혁신적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행복한 일자리 조성을 위한 핵심 기제로서, 개인과 조직 수준에서의 몰입(engagement)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몰입은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일에 대한 열정, 흥미, 만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며, 몰입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높은 수준으로 동기화하며, 유연하고 혁신적인 사고와 성과적 행동을 보인다. 특히 일터에서 나타나는 직원몰입(employee engagement) 뿐만 아니라 배움터에서 나타나는 학습몰입(student engagement), 삶터에서 발현되는 시민성 몰입(civic engagement)까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인간 개인의 웰빙과 발달을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몰입의 개념은 혁신과 웰빙을 강조하는 4차산업혁명시대 일자리 맥락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몰입을 통해 대한민국의 행복한 일자리와 사회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가장 근본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은 국내 다양한 조직맥락에서 나타나는 몰입의 개념과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개념적 특성이 파악된 몰입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조사 및 측정이 가능하도록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체계적인 진단이 이루어 지도록 해야 한다. 이후 단계에서는 진단 결과를 통해 대한민국 행복한 일자리와 사회 영역을 혁신하기 위한 사회문제 해결 아젠다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팀이 소형단계에서 수행한 연구는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진단이 가능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조사 관리 체계를 위한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소형 3개년 간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SSCI 8건을 포함하여 총 38편의 국내외 학술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네트워크와 관련해서는 컨퍼런스, 포럼, 심포지엄, 세미나 등 총 95건의 네트워킹 활동 성과를 달성하였다. 연구수행을 통하여 학술적인 관점에서는 한국형 통합몰입 이론과 모델을 구체화하여 몰입과 연관된 다학문적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몰입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책적인 관점에서는 한국형 몰입이론을 기반으로 사회혁신과 미래 정책의제를 도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몰입 이론에 기초한 몰입 이론 전문가와 실천가를 육성함으로써 4차산업혁명 사회혁신을 선도할 학문 후속세대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concept of engagement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is drawing attention as a key mechanism for proactively responding to the innovative changes in various and rapid jobs trigge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reating happy jobs. Engagement generally refers to a state of high enthusiasm,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work by members of an organization. People with a high level of engagement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jobs, synchronize themselves to a high level, and engage in flexible and innovative thinking and performance behavior. In particular, a major factor that promotes the well-being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s in various areas of life, including employee engagement in the workplace, student engagement in the learning field, and civic engagement in the life field are being emphasized. Therefore, the concept of engagement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es ​​in the job contex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emphasizes innovation and well-being.
    In order to make a happy workplace and social ecosystem in Korea through engagement, the most fundamental prerequisite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ngagement in various domestic organizational contexts. Nex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to enable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measurement based on the engagement in which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so that a systematic diagnosis can be mad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n agenda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this research team developed a Korean-style integrated engagement model, a measurement tool capable of scientific diagnosis based on this, and continuously conducted basic research on constructing Korean-style integrated engagement panel data.
    A total of 38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papers, including eight SSCI articles, were published through systematic research for three years, and a total of 95 networking activities, including conferences, forums, symposiums, and seminars, were conduct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hrough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engagement research by promoting multi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engagement by embracing the Korean-style integrated engagement theory and model. From a policy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to derive social innovation and future policy agendas based on the Korean engagement theo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4차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특성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전략적인 대응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제로 4차산업혁명에 의해 촉발되는 다양한 일자리의 변화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용의 경우 산업구조의 변화, 새로운 직종․직무의 등장, 고용형태의 다양화, 직무구성의 변화와 같이 일자리에서의 고용 및 노동 형태의 급격한 변화가 예측되면서 심각한 고용문제 발생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음으로 일하는 방식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직종에서 온라인 근무가 증가하고 가상공간에서 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산 체계의 글로벌화가 촉진, 아웃소싱 및 프로젝트 조직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처럼 4차산업혁명으로 발생되는 다양하고도 급격한 일자리의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응에 실패하는 경우 국가적인 발전의 저해와 더불어 고용탄력의 저하와 실업과 같은 노동문제의 심화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4차산업혁명시대에 일자리 문제를 해소하고 행복한 일자리 조성을 위한 핵심 기제로서 개인과 조직 수준에서의 몰입(engagement)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몰입은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일에 대한 열정, 흥미, 만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몰입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높은 수준으로 동기화하며, 유연하고 혁신적인 사고와 성과적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사회적 혁신과 개인의 웰빙을 강조하는 4차산업혁명시대 일자리 맥락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서 인식되고 있다.
    4차산업혁명에서의 일자리 혁신 가치를 창출함과 동시에 구성원의 행복과 웰빙 추구하는 혁신과 안정을 포괄적 가치를 실현하는 대표적인 사회 아젠다로서 포용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몰입을 기반으로 한 사회 혁신 전략과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한민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몰입의 개념과 특성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기반하여 과학적인 측정과 종단적인 조사 분석을 진행하여, 행복한 일자리와 사회 영역을 혁신하기 위한 사회문제 해결 아젠다를 제시할 수 있도록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즉 개인 차원에서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혁신적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조직차원에서는 조직의 혁신행동과 생산성, 고객지향적인 가치를 높이고, 지역사회 및 국가차원에서는 시민의식과 지역사회의 몰입을 높여서 대한민국의 행복한 일자리와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몰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몰입 이론과 실천모델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팀은 소형단계에서 설정한 연구목적은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진단이 가능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조사 관리 체계를 위한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 데이터 구축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행복한 일자리 생태계 모델 구축 및 확산」이라는 연구비전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각 연차별 연구목표를 살펴보면 1차년도의 경우 한국형 통합몰입 발현 맥락 탐구 및 모델 개발을 설정하여, 국내 조직 유형별 몰입의 개념을 확인하고 한국형 통합몰입 모형을 구인화하였다. 2차년도의 경우 한국형 통합몰입 진단도구 개발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여 한국형 통합몰입 모델을 기반으로 몰입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3차년도의 경우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를 연구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 기본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조사내용을 탐색하고 설계하였다. 이러한 소형 3년차 연구수행 내용은 10년 중장기 연구계획 및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세계적 수준의 몰입 연구로 확장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통합몰입의 모델을 전파하고 국제비교를 바탕으로 통합몰입의 학문적 논의와 실증적 사례를 세계적 수준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성과로는 소형 3개년 간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SSCI 8건을 포함하여 총 38편의 국내외 학술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이룩하였으며, 네트워크와 관련해서는 컨퍼런스, 포럼, 심포지엄, 세미나 등 총 95건의 네트워킹 활동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팀의 연구결과는 학술적, 정책적, 학문후속세대 인력 양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는 먼저 융복합적 관점에서 몰입이론의 생성 및 확대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심리학, 경영학 영역에서 주로 논의되어왔던 몰입의 개념을 다학문적 주제로 확장하여 논의를 활성화하고 융합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융복합 관점에서 몰입 연구는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한 고유한 몰입 이론을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몰입과 연관된 다학문적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몰입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형 통합몰입 이론 및 모델을 구체화하였다. 기존 서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몰입연구를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몰입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몰입 이론을 전문적으로 심화하고,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와 아시아권의 문화에 적합한 성공적 일자리 몰입 모델을 도출하함으로써 몰입 이론에 관한 국제적 담론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가사회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한국형 통합몰입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조직에서의 몰입기반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수집,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몰입 수준의 제고를 위한 보다 효과적인 정책과 제도를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과과 확산되어 거시적으로는 조직 및 국가사회 몰입 개선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형 통합몰입 진단도구를 통해 대한민국 몰입 수준, 지역별 몰입 수준, 업종별/조직별 몰입 수준 등 실증적 측정근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몰입 수준의 저하로 발생하는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 악화, 조직의 비효율성 및 생산성 저하, 지역사회 비활성화, 국가 수준의 경제성 약화 등 문제의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효과적인 개선방안 도출이 가능하다.
    셋째, 학문후속세대 양성 측면에서는 먼저 몰입 이론 융합연구 인력 양성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한국형 통합몰입, 패널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사회혁신 컨설팅, 정책 개발, 성과 관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포용 사회 혁신을 선도할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한국형 통합몰입 이론과 실증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영역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몰입 기반 조직진단 컨설턴트 전문가 육성과정, 조직몰입 컨설턴트 육성과정, 조직몰입진단 조사분석사 자격 과정 등을 개설․운영하여 몰입 실천가와 혁신리더 육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4차산업혁명, 직원몰입, 한국형통합몰입, 한국형몰입척도, 통합몰입 패널조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