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리적 신호에 기초한 한중 언어 운율 대비 연구
A Study on the Prosody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398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오한나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언어학과 생리학을 융합한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여 “생리 신호를 기초로 한 한중 언어의 운율 대비 연구”라는 장기 연구 과제를 목표로 시작되었습니다. 앞서 중국어와 한국어의 근체시 연구를 통해 기본적인 틀과 방향이 잡혔고, 다음 단계로 문체 중 형식이 비교적 일정한 뉴스 낭독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생리 신호인 호흡, 발성 신호와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언어 구조를 가진 한국어와 중국어의 뉴스 낭독에 나타난 호흡의 리듬, 발성의 변화, 운율 단위의 대응 및 상호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입니다. 더 나아가 구조가 다른 두 언어의 발화자들이 낭독을 위해 수립하는 인지적 계획이 생리 신호와 음성 신호를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두 언어의 구조와 운율을 더욱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생리 신호인 호흡 신호와 발성 신호를 기반으로 한 언어 운율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 연구를 포함한 언어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여러 다른 학문 분야가 융합된 다중 모드 연구는 앞으로 언어학이나 음성학 연구의 발전 방향이 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시각과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둘째,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여러 생리 신호는 자연스러운 언어를 구현하기 위한 음성합성 및 언어의 생리 모형 연구에 지속적으로 응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휴지와 호흡간의 대응 및 발성의 변화 등은 결정적 작용을 하는 요소이므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셋째, 언어 교육 및 전문가를 위한 훈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다른 어족에 속하는 언어기 때문에, 두 언어의 생리 신호와 운율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각 언어 교육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고, 언어의 유창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실례로 이중 언어 아나운서를 양성하는 학과의 한 교수님께서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서로 다른 발성과 호흡 방법 교육에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고자 본 연구 결과를 요청하시기도 하셨습니다.
    그 외에도 발성과 호흡 신호는 개개인의 독특한 낭독 스타일이나 운율 표현 방식 연구에도 도움이 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조가 다른 두 언어의 인지적 계획이 음성 신호와 생리 신호에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도 고찰해 볼 수 있습니다.
  • 연구요약

  • 운율의 특징은 언어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만큼 언어학 외에도 심리학, 음성학, 컴퓨터 공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어는 성조 언어이기 때문에, 중국어를 다른 언어와 대비하여 연구하고자 할 때는 비분절적(非分節的) 특징이 분절적(分節的) 자질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근 십여 년 간, 한중(韓中) 언어 대비 연구는 하루가 다르게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담화(談話)의 운율적 특성을 대비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또한 대부분 음운학, 음성학, 심리학 방면의 연구에 국한되어 있고 생리학적 시각에서 연구를 진행한 경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알다시피 발화의 생리적 동력인 호흡(呼吸)과 발성(發聲)은 언어 교류의 지속성을 보장하는 필요조건입니다. 따라서 발화시 나타나는 생리 신호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상당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찍이 Liberman(1967)은 “호흡군(Breath-Group)”이론을 제기한 바 있고, 중국에서는 譚晶晶(2007)이 호흡의 구조가 발화를 위한 인지적 계획과 생리적 메커니즘을 반영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여기서 생리적 메커니즘은 호흡의 조절을 의미하며, 호흡은 운율의 경계를 구분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鄭秋豫, 2005). 또한 중국어는 성조를 각기 다른 발성으로 표현하는 언어로, 조음(調音)과 함께 발성 또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에(孔江平, 2001), 운율 경계에서 보이는 호흡과 발성의 특징은 또 다른 차원에서 두 언어를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것입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어와 중국어는 발음체계, 통사구조 등 언어적 특징이 다르며, 각기 다른 어족(語族)에 속하는 언어입니다. 따라서 한중 두 언어의 담화 속 운율 특징에 관한 연구는 각 언어의 운율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언어의 운율구조 특징의 공통점과 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들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게 됩니다.

    본 연구는 상술한 내용을 근거로 언어학과 생리학을 융합한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여, 언어 대비 연구 방법을 통해 낭독 중 나타나는 한중 두 언어의 생리학적 특징, 즉 호흡 리듬과 발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음성학적 자질과 어떻게 대응하고, 호흡, 발성, 운율 구조 간의 관계 및 각기 다른 언어 구조가 호흡리듬이나 발성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생리 신호를 기초로 한 한중 언어의 운율 대비 연구”라는 큰 주제 아래, 형식이 비교적 일정하고 분석에 용이한 뉴스 낭독 데이터를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합니다. 현재 데이터는 이미 준비된 상태이며 데이터 처리와 분석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실험자와 실험 자료
    본 연구에는 각각 한국어와 중국어 표준어를 모국어로 하며 방송이나 낭독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4명의 여성이 참여하였습니다.
    실험 자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체에 있어 비교적 일정한 형식을 유지하는 뉴스 기사 10편이 사용되었습니다.
    녹음 자료는 아래 예시와 같이 내용은 동일하고 언어가 다른 두 개의 형식으로 준비되었고, 각각의 발화자는 자신의 모국어로 된 낭독 자료를 녹음하였습니다.

    (2) 연구 기기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된 실험기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음성 신호 채집 - Sony Electret Condenser Mic.
    성대 신호 채집 – Kay6103 EGG(Electroglottography)
    호흡 신호 채집 - ADinstrument MLT1132 Piezo Respiratory Belt Transducer
    신호 채집기 - PowerLab, Chart 5

    (3) 데이터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채집된 데이터들을 같은 시간 축에 두고 동시에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Matlab GUI로 프로그래밍되어 운용되는 “언어 호흡 운율 분석 프로그램”과 SPSS 14를 사용했습니다.
    각각 채집된 음성신호와 호흡신호를 분석 프로그램으로 불러온 후 음절의 길이, 높이, 강도 및 운율 경계, 호흡의 시작점, 정점, 종료점 등을 표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얻어냅니다. Excel에 저장된 데이터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의 다양한 분석을 거쳐 연구에 사용되고, 이를 통해 생리 신호와 음성 신호 두 측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운율의 다양한 특징을 비교해보고, 두 신호의 대응 관계를 통해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인지적 계획이 생리 신호를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도 새로운 각도에서 고찰해 볼 수 있습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언어학과 생리학을 융합한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여 언어 대비 연구 방법을 통해 형식이 비교적 일정한 뉴스 낭독 중 나타나는 한중 두 언어의 생리학적 특징인 호흡 리듬과 발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두 신호가 음성학적 자질과 어떻게 대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구조가 다른 두 언어의 발화자들이 낭독을 위해 수립하는 인지적 계획이 생리 신호와 음성 신호를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두 언어의 구조와 운율을 더욱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각각 한국어와 중국어 표준어를 모국어로 하며 방송이나 낭독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4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피험자는 마이크, 발성 신호를 분석을 위한 성문 파형 분석기와 호흡 신호 수집을 위한 호흡벨트를 착용한 뒤 언어는 다르고 내용은 같은 뉴스 기사 10편을 각자의 모국어로 녹음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 호흡 운율 분석 프로그램”으로 처리되고 통계 프로그램 SPSS 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공통적으로 보인 특징은 흉식 호흡과 복식 호흡 모두 기본 3단계로 나눠지고 복식 호흡의 폭과 빈도는 모두 흉식 호흡보다 높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선행 연구에서 보여준 음성학적 분석에서는 한국어의 휴지(休止) 단위가 중국어 보다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의 생리학적 호흡 신호 분석 결과에서는 반대로 중국어의 호흡 단위가 오히려 한국어 보다 컸다.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중국인 낭독자는 휴지와 호흡을 두 개의 다른 단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국어 뉴스 낭독 중의 휴지 수는 호흡 수 보다 훨씬 많았는데 휴지는 작은 의미 단위와 대응되었고 호흡은 큰 의미 단위에 나타나며 문장부호의 위치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문장부호는 중국어 뉴스 낭독 시 호흡 리듬을 제약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한국어 낭독자에게 휴지와 호흡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단위라고 할 수 있다. 휴지 수와 호흡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낭독 시 문장부호를 포함 운율 단위의 위치에 따라 소호흡 위주로 호흡리듬을 조절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각기 다른 호흡 리듬의 특징을 보이며 언어 구조는 호흡 리듬의 안배와 호흡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생리적 신호와 음성학적 신호의 대비를 통해 알게 된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음성학적 분석 결과만으로는 발화 시 나타나는 인지 방식과 과정을 완전하게 해석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때문에 앞으로도 생리학적 운율 연구는 지속적으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나타난 발성 유형을 살펴보면 기본주파수(음높이) 평균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성대 접촉률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기본주파수가 감소하게 되면 성대접촉률이 감소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Rothenberg & Mahshie, 1988) 한국어의 경우 기본 주파수와 성문 접촉률 간의 관계에서 볼 때 중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식성(공기가 많이 나오는 목소리)이라는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ing rhythm and vocalization, which is a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which appear in a news readings with a relatively constant format, starting from a new perspective of fusion of linguistics and physiology. And how they correspond to their academic qualitie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cognitive plan established by the speakers of the two different languages ​​for reading appears through the physiological signals and the speech signals, so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rhythm of the two languages .
    In this study, four expert women who have Korean and Chinese standard language as their mother tongue and who have experience of broadcasting and reading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ore a microphone, a glaucoma waveform analyzer for analyzing the vocal signal, and a respiratory belt for collecting respiratory signals, and then recorded 10 news articles in different languages ​​and the same contents in their native language. Data collected by the "Language breathing rhythm analysis program"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thoracic breathing and the abdominal breathing are divided into three basic stages and the width and frequency of abdominal breathing are higher than those of thoracic breathing. It is noteworthy that the phonological analysi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showed that the resting unit of Korean was larger than Chinese. However, in the result of physiological respiration signal analysis, the respiration unit of Chinese was larger than that of Korean .
    It is notable that previous acoustic researches showed that the Korean pause unit bigger than Chinese one, but the physiological respir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hinese respiratory unit is bigger than the Korean one, it’s the opposite of the acoustic analysis results. When the Chinese readers read news, the number of pause are far more than the number of breathing reset. For Chinese, the pause corresponds to the small semantic unit, compared with the breathing reset corresponds to the big semantic unit, the breathing rhythm is mainly controlled by punctuation marks.
    In contrast, when the Korean readers read news, the number of pauses of the acoustic analysis and the number of breathing reset are similar, places of pauses and breaths are basically equal. This shows that, for the Korean readers, pause and breathing reset are same rhythmic units with same function, mainly the small breathing completes each semantic unit. As a result, different cognitive ways affect the amplitude of breathing reset directly in Chinese and Korea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showed the features of respiratory rhythm in text with different style. It also can be found the different structure of language affect the whole arrangement of breathing rhythm. In addition, we found that acoustic analysis results still cannot fully explain the cognitive way of speech in the process of different languages, it is still needed further research.
    When we look at the phonation patterns in Korean and Chinese news reading, the average frequency (pitch) average did not show a large difference, but the mean of the Contact Quotient (CQ)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 decrease of the fundamental frequency may decrease the CQ (Rothenberg & Mahshie, 1988) , but in the case of Korean, it can be seen that the feature of breathy voice (a voice with a lot of air) is relatively clearer than that of Chine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언어학과 생리학을 융합한 새로운 시각에서 출발하여 언어 대비 연구 방법을 통해 형식이 비교적 일정한 뉴스 낭독 중 나타나는 한중 두 언어의 생리학적 특징인 호흡 리듬과 발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두 신호가 음성학적 자질과 어떻게 대응하는지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구조가 다른 두 언어의 발화자들이 낭독을 위해 수립하는 인지적 계획이 생리 신호와 음성 신호를 통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두 언어의 구조와 운율을 더욱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각각 한국어와 중국어 표준어를 모국어로 하며 방송이나 낭독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4명의 여성이 참여하였다. 피험자는 마이크, 전기 성문 파형 검사를 위한 Kay6103 EGG(Electroglottography)와 호흡 신호 수집을 위한 ADinstrument MLT1132 Piezo Respiratory Belt Transducer를 착용하고 언어는 다르고 내용은 같은 뉴스 기사 10편을 각자의 모국어로 녹음하였다.
    Matlab GUI로 프로그래밍되어 운용되는 “언어 호흡 운율 분석 프로그램”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SPSS 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공통적으로 보인 특징은 흉식 호흡과 복식 호흡 모두 기본 3단계로 나눠지고 복식 호흡의 폭과 빈도는 모두 흉식 호흡보다 높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선행 연구에서 보여준 음성학적 분석에서는 한국어의 휴지(休止) 단위가 중국어 보다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의 생리학적 호흡 신호 분석 결과에서는 반대로 중국어의 호흡 단위가 오히려 한국어 보다 컸다.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중국인 낭독자는 휴지와 호흡을 두 개의 다른 단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국어 뉴스 낭독 중의 휴지 수는 호흡 수 보다 훨씬 많았는데 휴지는 작은 의미 단위와 대응되었고 호흡은 큰 의미 단위에 나타나며 문장부호의 위치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문장부호는 중국어 뉴스 낭독 시 호흡 리듬을 제약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한국어 낭독자에게 휴지와 호흡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단위라고 할 수 있다. 휴지 수와 호흡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낭독 시 문장부호를 포함 운율 단위인 억양구나 강세구의 위치에 따라 의미 단위를 비교적 작게 나누어 자유롭게 호흡리듬을 조절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각기 다른 호흡 리듬의 특징을 보이며 언어 구조는 호흡 리듬의 안배와 호흡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생리적 신호와 음성학적 신호의 대비를 통해 알게 된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음성학적 분석 결과만으로는 발화 시 나타나는 인지 방식과 과정을 완전하게 해석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때문에 앞으로도 생리학적 운율 연구는 지속적으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나타난 발성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어의 경우 기본주파수 평균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성대 접촉률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기본주파수가 감소하게 되면 성대접촉률이 감소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Rothenberg & Mahshie, 1988) (Orlikoff, 1991) 한국어의 경우 기본 주파수와 성문 접촉률 간의 관계에서 볼 때 중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식성이라는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호흡 신호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신문 뉴스 낭독의 전체적인 호흡 리듬과 운율을 대조 분석하여 호흡리듬이 각기 다른 언어 구조의 운율 단위와 어떻게 대응되고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신문 뉴스 낭독 시 보인 공통점은 전체적인 호흡 구조이다. 낭독 중 흉식 호흡과 복식 호흡 모두 기본 3단계로 나눠지고 복식 호흡의 폭과 빈도는 모두 흉식 호흡보다 높게 나타났다.
    호흡 안배 방식과 언어 구조 간의 관계에서 볼 때 한국어와 중국어의 가장 큰 공통점은 어느 언어든 문장 부호 위치에서 호흡이 나타난 다는 점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선행 연구에서 보여준 음성학적 분석에서는 한국어의 휴지(休止) 단위가 중국어 보다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의 생리학적 호흡 신호 분석 결과에서는 반대로 중국어의 호흡 단위가 오히려 한국어 보다 컸다.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중국인 낭독자는 휴지와 호흡을 두 개의 다른 단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국어 뉴스 낭독 중의 휴지 수는 호흡 수 보다 훨씬 많았는데 휴지는 작은 의미 단위와 대응되었고 호흡은 큰 의미 단위에 나타나며 문장부호의 위치와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문장부호는 중국어 뉴스 낭독 시 호흡 리듬을 제약하는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한국어 낭독자에게 휴지와 호흡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단위라고 할 수 있다. 휴지 수와 호흡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고 낭독 시 문장부호를 포함 운율 단위인 억양구나 강세구의 위치에 따라 의미 단위를 비교적 작게 나누어 자유롭게 호흡리듬을 조절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각기 다른 호흡 리듬의 특징을 보이며 언어 구조는 호흡 리듬의 안배와 호흡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생리적 신호와 음성학적 신호의 대비를 통해 알게 된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음성학적 분석 결과만으로는 발화 시 나타나는 인지 방식과 과정을 완전하게 해석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때문에 앞으로도 생리학적 운율 연구는 지속적으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 뉴스 낭독 시 나타난 발성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어의 경우 기본주파수 평균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성대 접촉률 평균은 한국어는 51, 중국어는 5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기본주파수가 감소하게 되면 성대접촉률이 감소할 수 있다고 하여(Rothenberg & Mahshie, 1988) 본 연구의 결과와 일정 부분 일치하지만(Orlikoff, 1991) 기본 주파수가 감소한 정도에 비해 한국어 낭독 시 발성 유형은 기식성이라는 특징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생리 신호인 호흡 신호와 발성 신호를 기반으로 한 운율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 연구를 포함한 언어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도 여러 다른 학문 분야가 융합된 다중 모드 연구는 앞으로 언어학이나 음성학 연구의 발전 방향이 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시각과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음성 신호와 대응되는 여러 생리 신호는 자연스러운 언어를 구현하기 위한 음성합성 및 언어의 생리 모형 연구에 지속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휴지와 호흡간의 대응 및 발성의 변화 등은 결정적 작용을 하는 요소이므로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언어 교육 및 전문가를 위한 훈련에 활용할 수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는 다른 어족에 속하는 언어기 때문에, 두 언어의 생리 신호와 운율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각 언어 교육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고, 언어의 유창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외에도 발성과 호흡 신호는 개개인의 독특한 낭독 스타일이나 운율표현 방식 연구에도 도움이 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구조가 다른 두 언어의 인지적 계획이 음성 신호와 생리 신호에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도 고찰해 볼 수 있다.
    언어의 운율은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음성 표현방식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음성학 연구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시간상의 제약으로 발성과 운율 연구에 있어서 만족할 만큼 연구가 끝까지 진행되지 못해 아쉬움이 남지만 앞으로 계속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본 연구의 완성과 이 분야에 대한 다각적 이해는 음성학 이론 발전과 언어 교육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시작으로 앞으로 더 깊이 있는 학문적 시각과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필요하다.
  • 색인어
  • 한국어 호흡, 중국어 호흡, 한국어 운율, 중국어 운율, 발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