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근대중국어시기 ‘往’와 ‘去’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Research of ‘Wang’ and ‘Qu’ in Early Modern Chines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3985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주영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40;글로벌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행연구를 보면 몇몇 학자의 글을 통해 상고, 중고중국어시기 ‘去’와 ‘往’에 대한 출현 배경 및 그 과정에 대해 알 수 있다. 그러나 근대중국어시기에 어떠한 변화로 인해 현재 현대중국어에서 ‘去’와 ‘往’의 역할이 확연히 나뉘게 되었는지에 대한 답은 찾기 어렵다. ‘去’와 ‘往’에 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공시적 연구뿐만 아니라, 통시적 연구 또한 중요한데, 근대중국어시기 동사 ‘去’와 ‘往’에 대한 연구 역시 그 성과는 상당히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상고, 중고중국어와 현대중국어의 교량 역할을 하는 근대중국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자료를 통해 우리는 ‘去’와 ‘往’의 전체적으로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대중국어시기 ‘去’와 ‘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통시적인 변천과정의 면모를 확인하는데 의의를 둔다. 연구에 앞서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대상의 시기 및 언어텍스트의 그 양이 방대하므로 1차와 2차로 나누어 분석할 것이며, 먼저 1차 연구로 晚唐五代와 宋代의 자료만을 가지고 본고를 구성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될 언어텍스트는 언어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신빙성이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晚唐五代의 『敦煌变文校注』와 『祖堂集』, 宋代의 『朱子语类』(七卷-八卷)와 『三朝北盟会编』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통해 분류한 ‘往’과 ‘去’의 구조적 특징 및 ‘往’과 ‘去’와 결합되는 ‘NP’성분과 ‘VP’성분의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근대중국어시기 ‘去’과 ‘往’의 사용상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들의 통시적인 변천과정의 면모를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往’과 ‘去’의 출현 초기의 모습과 중고중국어시기, 근대중국어시기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이 있었는지 보다 명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근대중국어시기의 언어자료를 통한 ‘往’과 ‘去’의 공시적 고찰과 통시적 고찰은 한문에서 사용되는 ‘往’, ‘去’ 그리고 현대중국어에서 사용하는 ‘往’, ‘去’의 변천과정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한국의 교육과정에서 먼저 배우게 되는 것이 바로 汉文이다. 汉文을 학습한 학습자가 중국어를 학습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汉文과 중국어가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많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교육시키고 있는 汉文은 주로 중국어사에서 말하는 상고중국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는 즉, 『论语』나 『孟子』와 같은 문언체의 古语를 배운 학습자가 2,000년이 훌쩍 지난 후의 언어를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한국 汉文이 주로 상고중국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우리의 汉文은 중고중국어시기 그리고 근대중국어시기 역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또한 분명하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往’과 ‘去’의 출현 초기의 모습과 중고중국어시기, 근대중국어시기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이 있었는지 보다 명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상대적으로 연구자가 적은 분야인 근대중국어시기의 연구를 통해 상고중국어 연구자나 현대중국어 연구자에게 중국어사에 있어 이 시기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사실 현대중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에게 ‘往’, ‘去’의 기본적인 용법만 전달하면 이를 활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汉文과 현대중국어 모두 중국어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데, 그 사용에 있어 다른 점을 자각한 학습자에게 보다 명확한 대답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연구요약
  •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문’이라는 것은 포괄하는 스펙트럼이 넓어서 중국의 상고, 중고, 근대중국어시기의 어휘나 음운, 문법 등 중국어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본고에서 논하고 있는 ‘去’와 ‘往’은 현대한자음으로 각각 ‘갈 거’와 ‘갈 왕, 향할 왕’이다. 일례로 조선 중기의 학자 홍만종(洪萬宗:1642~1725)의 『旬五志(순오지)』에 보면 ‘三日之程, 一日往; 十日臥’라는 구절이 있다. 이 문장은 ‘삼일 가야할 길을 하루에 가고 열흘 눕는다’라는 의미의 속담으로, 문장 내 ‘往’은 ‘가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현대중국어를 학습한 사람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국어 ‘가다’라는 의미와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에 대부분 동사 ‘去’를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한문을 학습한 학습자의 경우 ‘가다’라는 표현과 대응되는 한자로 ‘往來(왕래: 오고 가고 함)’, ‘往復(왕복: 어떤 곳을 갔다가 돌아옴)’, ‘來往(내왕: 사람이나 차가 오고감)’ 등의 표현에 더 익숙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 汉文에서 ‘往’과 ‘去’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중국어에서 ‘往’과 ‘去’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현대중국어에서 ‘去’와 ‘往’은 이동을 나타내는 이동 동사에 속한다. 현대중국어에서 이동 동사 ‘去’는 크게 ‘去1 (이동하여 가다)’와 ‘去2 (떠나다)’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현대중국어에서 이동 동사 ‘往’은 크게 ‘往1 (가다)’와 ‘往2 (향해가다)’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현대중국어에서 ‘往’은 상술한 이동 동사로 사용되는 것 외에 전치사로서 ‘향하여’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몇몇 학자의 글을 통해 상고, 중고중국어시기 ‘去’와 ‘往’에 대한 출현 배경 및 그 과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근대중국어시기에 어떠한 변화로 인해 현재 현대중국어에서 ‘去’와 ‘往’의 역할이 확연히 나뉘게 되었는지에 대한 답은 찾기 어렵다. ‘去’와 ‘往’에 관한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공시적 연구뿐만 아니라, 통시적 연구 또한 중요한데, 근대중국어시기 동사 ‘去’와 ‘往’에 대한 연구 역시 그 성과는 상당히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상고, 중고중국어와 현대중국어의 교량 역할을 하는 근대중국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자료를 통해 우리는 ‘去’와 ‘往’의 전체적으로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근대중국어시기 ‘去’와 ‘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통시적인 변천과정의 면모를 확인하는데 의의를 둔다. 연구에 앞서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 대상의 시기 및 언어텍스트의 양이 방대하므로 1차와 2차로 나누어 분석할 것이며, 먼저 1차 연구로 晚唐五代(923AD-960AD)와 宋代(960AD-1279AD)의 자료만을 가지고 본고를 구성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될 언어텍스트는 언어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신빙성이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晚唐五代의 『敦煌变文校注』와 『祖堂集』, 宋代의 『朱子语类』(七卷-八卷)와 『三朝北盟会编』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먼저 분석하려는 언어텍스트 안에 해당 대상이 얼마나 출현했는지를 알아보는 정량분석(定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과 정량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가지고 실제 문법적인 기능과 그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 정성분석(定性分析, qualitative analysis)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통해 분류한 ‘往’과 ‘去’의 구조적 특징 및 ‘往’과 ‘去’와 결합되는 ‘NP’성분과 ‘VP’성분의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去’와 ‘往’의 사용 현황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분류기준은 ‘往’, ‘去’, ‘往+NP’, ‘去+NP’, ‘往+VP’, ‘去+VP’, ‘VP+往’, ‘VP+去’ 여덟 가지이다.
    본 연구는 기존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근대중국어시기 ‘去’과 ‘往’의 사용상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들의 통시적인 변천과정의 면모를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往’과 ‘去’의 출현 초기의 모습과 중고중국어시기, 근대중국어시기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이 있었는지 보다 명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중국어에서 ‘去’는 주로 동사로서 ‘가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往’은 전치사로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며 ‘〜를 향하여’의 의미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去’와 ‘往’은 모두 주로 이동 동사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명사, 형용사, 전치사로 사용되었다는 공통점과 ‘去’와 ‘来’, ‘往’과 ‘来’가 서로 전형적인 반의어로서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출현 상황에 대한 품사, 의미, 사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唐宋시기 이전 ‘去’와 ‘往’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실제 예문 분석을 통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사용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 영문
  • In modern Chinese, ‘去’ is mainly used as a verb in the meaning of ‘go’, and ‘往’ is used as a preposition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the meaning of ‘toward’. Historically, both ‘去’ and ‘往’ have been mainly used as moving verbs. We also pay attention to their common feature that they were used as noun, adjective and preposition, and the other feature that ‘去’ and ‘來’, ‘往’ and ‘來’ were used as typical antonyms each oth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xisting scholars, this study examined the part of speech, the meaning and usage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f ‘去’ and ‘往’ in Tang-Song Dynasty. Chapter II examined usage of ‘去’ and ‘往’ prior to Tang-Song Dynasty, and Chapter III looked into the use of ‘去’ and ‘往’ in Tang-Song Dynasty by analyzing actual example sente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중국어에서 ‘去’는 주로 동사로서 ‘가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往’은 전치사로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며 ‘〜를 향하여’의 의미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去’와 ‘往’은 모두 주로 이동 동사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명사, 형용사, 전치사로 사용되었다는 공통점과 ‘去’와 ‘来’, ‘往’과 ‘来’가 서로 전형적인 반의어로서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출현 상황에 대한 품사, 의미, 사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唐宋시기 이전 ‘去’와 ‘往’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실제 예문 분석을 통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사용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기존 학자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출현 상황에 대한 품사, 의미, 사용 현황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唐宋시기 이전 ‘去’와 ‘往’의 용법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실제 예문 분석을 통하여 唐宋시기 ‘去’와 ‘往’의 사용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근대중국어시기의 언어자료를 통한 ‘去’와 ‘往’의 공시적 고찰과 통시적 고찰은 현대중국어에서 사용하는 ‘去’와 ‘往’의 변천과정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去’와 ‘往’의 출현 초기의 모습과 중고중국어시기, 근대중국어시기를 거쳐 현대중국어에서 어떠한 변화과정이 있었는지 보다 명확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상대적으로 연구자가 적은 분야인 근대중국어시기의 연구를 통해 상고중국어 연구자나 현대중국어 연구자에게 중국어사에 있어 이 시기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사실 현대중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에게 ‘去’와 ‘往’의 기본적인 용법만 전달하면 이를 활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대중국어는 중국어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인데, 그 사용에 있어 다른 점을 자각한 학습자에게 보다 명확한 대답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색인어
  • 去, 往, 이동동사, 문법화, 당송시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