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 확산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도 정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ilitation Pla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 response strategy in the era of New Normal(Focused on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3041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하영태
연구수행기관 강릉원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논의의 전제
    ▶최근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경기침체는 글로벌 경제위기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구조적 장기침체현상인 뉴노멀(New Normal)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뉴노멀 시대는 저성장의 고착화, 높은 불확실성, 빠른 기술변화, 자유로운 자본과 노동의 이동 등으로 표현되며, 이는 개인과 기업, 정부에 이르기까지 20세기 산업사회와는 다른 생존전략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뉴노멀 시대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투자가 활성화되고, 고용이 창출되어 경제의 활력을 찾기 위한 대응전략이 요청된다.

    ▣ 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주주 및 회사의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정의되므로 고정된 개념은 아니다. 전통적인 CSR론은 기업의 본질 논의인 주주지상주의와 이해관계자주의의 대립으로 소극적으로 검토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적인 사회적 책임론은 기업의 본질론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CSR을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동안 자율적 규제를 통한 CSR실현을 위한 노력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뉴노멀 시대에는 보다 적극적인 CSR의 확산을 위해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세계는 CSR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법적규범화 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인도는 회사법을 개정하여 CSR일반규정, CSR위원회설치, 공시의무, 지출의무를 명문화하여 CSR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CSR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개별법을 통해 CSR과 관련한 내용들이 일부 입법화되어 있다. 다만, 회사법에서 CSR의 일반규정을 도입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찬반의 논의들이 있는 상황이다.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 CSR을 법적규범화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고려할 때, 우리의 경우도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뉴노멀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별 전략으로 혁신의 노력과 주체간의 협력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기이다. 그 대표적인 주체가 기업이다. 뉴노멀 시대의 CSR에 대한 연구는 CSR의 본질론의 문제가 아니라 CSR을 뉴노멀 사회에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있다. 따라서 CSR의 구체적인 실현과 확산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CSR이 해석상의 지도원리가 아니라,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기업의 새로운 책임형태를 법적규범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뉴노멀 시대와 CSR확산의 필요성에 관련한 내용으로 뉴노멀 시대의 도래와 문제점,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 대응전략으로서 CSR의 확산 필요성을 연구한다.
    ▶둘째, 한국 및 주요국의 CSR 확산관련 법제내용으로 한국의 CSR관련 개별법규와 회사법상 일반규정화 논의, EU 및 유럽의 주요국가(영국, 독일, 스웨덴)의 CSR관련 법제도, 중국 및 인도의 회사법상 CSR규정의 내용 및 문제점, 그 외 미국과 일본의 CSR제도 운영 등을 비교하여 한국의 법제도 개선 자료를 도출한다.
    ▶셋째, 위에서 연구한 CSR법제도 자료를 바탕으로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으로 CSR법제도 정비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CSR확산을 위한 이론적 근거마련, CSR의 확산근거(일반규정) 입법제안, CSR의 확산근거(개별규정) 입법보완, CSR확산 주체(사회책임위원회) 구체적 설치방안을 연구한다.
  • 기대효과
  •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결과 활용방안▮

    ▣ 선행연구의 내용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법제도와 관련하여 국내외 학자들에 의하여 여러 선행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중 국내학자들의 대표적인 선행연구를 간략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개념의 명확화와 국내외의 동향을 연구한 곽관훈(2017),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국제적 논의와 법적과제에 관한연구로 권한용(2011),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관련 연구들에 대한 검토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 김선화‧이계원(2013), 국내 기업의 사회책임 법제 동향과 과제에 대한 연구한 김성천(201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현방향을 기업의 본질론과 연결하여 연구한 안택식(2000), 최근 인도의 회사법 개정으로 도입된 인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분석연구로는 유지혜(2014),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의 재정립과 구조화를 연구한 이규영‧곽재성(2015),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통합과 법적 쟁점을 연구한 성승제(201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배경과 회사법적 구현을 기업의 본질론에 입각하여 연구한 송호신(2010), 스웨덴 기업의 사회적 책임관련 제도를 소개한 송지원(2016),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산을 위한 상법상 CSR 입법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인 서의경(201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제고를 위한 상법상 일반규정화를 연구한 하영태(2014)외 다수의 연구가 있었다.
    ▶뉴노멀 시대의 도래와 문제점에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로는 뉴노멀 시대의 경제환경과 사회의 다양성을 연구한 구교준‧이용숙(2016), 10년 후 대한민국의 뉴노멀 시대에 성장전략에 대한 연구로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전략보고서(2016) 등이 있다.

    ▣ 선행연구와 비교(차별성)
    ▶위에서 언급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많은 학자들의 학술적 업적은 CSR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법제도적 보완 및 입법안 마련을 위한, 위대한 학술적 업적임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보듯이, CSR의 사회적 역할과 정착에 많은 관심과 노력은 현재 우리가 처한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CSR의 구현을 위한 든든한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업적을 등에 업고 뉴노멀 사회의 당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CSR의 제도화와 실현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내의 상법에 CSR의 일반규정과 개별규정의 정합성을 고려한 입법(안)을 마련할 것이다. 다음으로 실천방안으로 CSR관련 세부적인 기존의 특별법의 내용을 검토한 후 뉴노멀 시대에 맞도록 보완입법(안)을 제시하고, 사회책임위원회의 법정화를 통한 CSR의 현실적 집행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미 CSR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충실히 검토하고 각 나라의 제도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서, 우리나라에 CSR제도의 정착과 확산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를 추출하고자 한다.

    ▣ 학문발전에 기여
    ▷본 연구의 결과는 뉴노멀 시대에 CSR관련 법제도의 발전적 연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CSR관련 법제도의 실현과 확산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적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뉴노멀 시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 교육(강의)에 기여
    ▷상법 특히 회사법강의에서 뉴노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업의 역할의 중요함을 설명하는 생생한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법적근거를 설명함으로써 상법(회사법)을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심화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 입법 실무자에 자료제공
    ▷본 연구는 CSR관련 법제도의 구체적인 입법(안)과 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입법기관의 입법노력에 짐을 덜어주고 입법정책의 방향을 제공할 것이다.
    ▷CSR의 직접 주체인 기업에게는 뉴노멀 사회의 기업의 역할을 예고함으로써 기업실무자에게 CSR계획 수립에 합리적 기준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연구내용▪연구방법▪추진전략▮

    ▣ 내용 목차
    Ⅰ. 서론
    Ⅱ. 뉴노멀 시대와 CSR확산의 필요성
    Ⅲ. 한국 및 주요국의 CSR 확산관련 법제
    Ⅳ.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CSR의 법제도개선
    Ⅴ. 결론

    ▣ 내용 요약
    ▶본 연구보고서는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연구범위로 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제1장에서는 저성장‧저고용 등으로 표현되는 뉴노멀 시대의 도래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의 중요함과 필요성. 제2장에서는 뉴노멀 시대와 CSR확산의 필요성을 뉴노멀 시대의 도래와 문제점,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 대응전략으로서 CSR의 확산의 필요성. 제3장에서는 한국 및 주요국의 CSR확산 관련 법제를 비교분석하고 최적의 CSR실현을 위한 자료를 도출. 제4장에서는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CSR의 법제도 개선방안을 CSR확산을 위한 이론적 근거마련, CSR확산근거(상법상 일반규정) 입법(안)제시, CSR확산근거(개별법규) 보완입법(안) 제시, CSR확산 주체(사회책임위원회)의 실효적 설치방안을 제시.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의 요약으로 결론에 갈음한다.
    ▶제2장: 뉴노멀 시대와 CSR확산의 필요성
    ◼뉴노멀 시대란 저성장의 고착화, 높은 불확실성, 빠른 기술변화, 자유로운 자본과 노동의 이동 등으로 표현되며, 이는 개인과 기업, 정부에 이르기까지 20세기 산업사회와는 다른 생존전략을 요구하게 되는 사회현상을 말한다.
    ◼뉴노멀 시대로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CSR의 필요성이 주장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뉴노멀 시대에 CSR의 확산을 위해 법제도적 정비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제3장: 한국 및 주요국의 CSR 확산관련 법제
    ▷우리나라에서도 CSR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비영리단체, 언론 등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활동은 아직 부족하다. 그리고 법제도화의 논의도 아직 부진한 편이다.
    ▷스웨덴은 CSR 분야에서 선도적인 국가로 알려져 있다. 스웨덴이 CSR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된 배경은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와 정부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노력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인도는 2013년 기업법을 개정하여 CSR 관련 조항(동법 제135조)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CSR 규정은 인도 기업등록부에 등록된 기업들에만 적용되며,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에게 CSR 준수를 의무화 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CSR위원회 및 공시의무, 지출의무, 의무의 불이행에 대한 제재 규정을 두어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주요국의 CSR실행을 위한 노력내지 법제도을 간략히 검토하였지만 좀 더 심도 있게 분석하여 유의미한 자료를 추출할 예정이다. 그 외의 국가(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미국 등)의 제도 또한 분석할 예정이다.
    ▶제4장: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CSR의 법제도개선
    ▷본장에서는 제2장, 제3장에서 연구한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선 CSR확산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주주지상주의 보다는 이해관계자주의 입장의 논거를 보충하여 제시할 것이다. 더 나아가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의 CSR은 더 이상 본질론의 해석의 문제가 아니라 뉴노멀 사회에서 구성원의 삶의 향상을 위한 실천의 문제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CSR의 확산 근거로 상법상 일반규정과 개별규정을 입법화 하기위한 논거와 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물론 여기에서 자율적 규제와 법적규제의 역할분담에 의한 입법안이 되도록 연구할 것이다. 그 외 특별법 관련하여서는 기존법규의 보완과 새로운 법안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CSR의 법제도적 장치를 실현할 주체로서 사회책임위원회를 인도와 중국의 예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설치할 합리적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연구방법(자료수집 등)
    ▷국내문헌 및 관련법제 검토(CSR관련 법제도 분석)
    ▷국외문헌 및 관련법제 검토(CSR관련 법제도 분석)
    ▷EU‧영국‧일본‧인도‧스웨덴 등의 CSR적용 사례분석 및 법제도 비교검토
    ▷필요시 기업의 CSR집행 실무자 또는 전문가 자문을 통한 검증 및 확인
    ▶추진전략(일정)
    [2017년]
    ▷9월: 연구수행 세부계획 수립
    ▷10월: 국내 CSR관련 학술자료 수집 및 분석(관련기관 방문)
    ▷11월: 국내 CSR관련 법규 및 CSR적용 사례분석
    ▷12월: 해외 CSR관련 학술적 문헌조사 및 법제도 비교분석
    [2018년]
    ▷1월: 해외 CSR관련 적용 사례분석(해외문헌 요청)
    ▷2월: 연구논문 초안 작성
    ▷3월-4월: 연구논문 본문 작성
    ▷5월: 추가자료 분석(최근자료 업그레이드)
    ▷6월: 연구논문 가안 완성
    ▷7월: 관련전문가(실무자, 교수 등)에 검토 요청(전문가 토의)
    ▷8월: 최종 연구논문 완성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한국이 당면하고 있는 경기침체는 글로벌 경제위기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구조적 장기침체현상인 뉴노멀(New Normal)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뉴노멀 시대는 저성장의 고착화, 높은 불확실성, 빠른 기술변화, 자유로운 자본과 노동의 이동 등으로 표현되며, 이는 개인과 기업, 정부에 이르기까지 20세기 산업사회와는 다른 생존전략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뉴노멀은 일정 지역에 국한된 일시적 경제현상만이 아닌 장기적이고 다양한 사회현상과 복잡하게 연계된 전 지구촌의 새로운 사회 환경의 출현을 의미한다. 세계 경제는 저금리, 낮은 원자재 가격, 낮은 oil 가격 속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각국이 노력하고 있다. 뉴노멀 시대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투자가 활성화되고, 고용이 창출되어 경제의 활력을 찾기 위한 대응전략이 요청된다.
    우선 기존 경제체제의 관념에서 벗어나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적 전환이 필요하다. 즉 뉴노멀 시대에서는 소유를 통해 즐거움을 얻는 대신에 공유를 통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하고, 한 나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GDP증가에 힘쓰기보다 행복지수를 올리고자 노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새로운 고용을 창출하여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성과 사회문화를 융합하여 고부가 가치의 성장동력을 확충해야 한다. 과거의 요소투입형 성장의 한계를 벗어나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혁신을 강화하는 협동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획일적인 고용과 임금체계를 벗어나 혁신적인 노동인력이 대우받고 그에 합당한 보상을 받는 노‧사 협력시스템과 기업과 사회가 공존할 수 있는 제도가 정비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이 중요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주주 및 회사의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정의되므로 고정된 개념은 아니다. 전통적인 CSR론은 기업의 본질논의인 주주지상주의와 이해관계자주의의 대립으로 소극적으로 검토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적인 사회적 책임론은 기업의 본질론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CSR을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동안 자율적 규제를 통한 CSR실현을 위한 노력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뉴노멀 시대에는 보다 적극적인 CSR의 확산을 위해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SR이 해석상의 지도원리가 아니라,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기업의 새로운 책임형태를 법적규범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뉴노멀 시대와 CSR확산의 필요성에 관련한 내용으로 뉴노멀 시대의 도래와 문제점,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 대응전략으로서 CSR의 확산 필요성을 검토한다. 둘째, 주요국의 CSR 확산관련 법제내용으로 영국, 미국의 CSR관련 법제도, 인도의 회사법상 CSR규정의 내용 등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의 법제도 개선 자료를 도출한다. 셋째, CSR법제도의 비교 자료를 바탕으로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으로 한국의 CSR법제도 정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영문
  •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that Korea is facing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the global economic crisis, but a structural long-term recession, the New Normal era is heralding the emergence of the New Normal era. The New Normal era is represented by the stuck-up of low growth, high uncertainty, rapid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free movement of capital and labor, which will call for a different survival strategy from the 20th century industrial society, from individuals and businesses to the government. This new normality means the emergence of a new global social environment that is not only temporary economic phenomena confined to certain regions but also complicatedly linked to long-term and diverse social phenomena. The global economy is striving for continued growth to create jobs and develop industry amid low interest rates, low raw material prices and low oil prices. For the continue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New Normal era, investment is revitalized, employment is created, and a corresponding strategy is called for to find economic vitality.
    First of all,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look at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economic In other words, in the New Normal era, instead of gaining pleasure through ownership, a strategy is needed to make sharing a happy life, and to try to increase the happiness index rather than exerting efforts to improve a country's quality of life. Next, in order to overcome low growth by creating new employment, we must integrate creativity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social culture to expand the driving force of high value. In order to achieve qualitative growth beyond the limitations of past elemental input-type growth, a cooperative strategy that strengthens innovation based on creativity is needed. Therefore, the cooperative system of the labor union, which is treated by innovative workers and duly compensated, and the system for coexisting businesses and society should be reorganized. This is where the social role of the enterprise is important, and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enterprise is urgently need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refers to 'the company's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its shareholders and companies as well as the interests of its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state and community, together', which is not a fixed concept because it is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as society changes. The traditional CSR theory was negatively reviewed in the face of the conflict between shareholderism and stakeholderism, which is the essential argument of the enterprise. But the strategic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in response to the New Normal era should focus on how to implement CSR in reality rather than on abstract discussions on the essentials of enterprises. So far, efforts to realize CSR through autonomous regulation have been limited. Thus, in the New Normal era, the legal system needs to be reorganized to spread the CSR more aggressively.
    In this study, CSR is not a guiding principle in interpretation, but a counter strategy in the New Normal era, which seeks to standardize new type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First,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the New Normal era and CSR proliferation, the coming and problems of the New Normal era, the need for the spread of CSR as a response strategy and response strategy of the New Normal era is reviewed. Second,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spread of CSR in major countries i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SR related legislation in the UK and the US, and the CSR regulation in India's company law. Third, based on the comparative data of the CSR law system, we are going to propose a plan for the readjustment of Korea's CSR law system in response to the New Normal er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주주 및 회사의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정의되므로 고정된 개념은 아니다. 전통적인 CSR론은 기업의 본질논의인 주주지상주의와 이해관계자주의의 대립으로 소극적으로 검토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적인 사회적 책임론은 기업의 본질론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CSR을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동안 자율적 규제를 통한 CSR실현을 위한 노력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뉴노멀 시대에는 보다 적극적인 CSR의 확산을 위해 법제도의 정비가 요구된다.
    현재 세계는 CSR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법적규범화 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인도는 회사법을 개정하여 CSR일반규정, CSR위원회설치, 공시의무, 지출의무를 명문화하여 CSR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CSR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개별법을 통해 CSR과 관련한 내용들이 일부 입법화되어 있다. 다만, 회사법에서 CSR의 일반규정을 도입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찬반의 논의들이 있는 상황이다.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 CSR을 법적규범화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고려할 때, 우리의 경우도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CSR의 구체적인 실현과 확산을 위한 실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학문발전에 기여
    ▷본 연구의 결과는 뉴노멀 시대에 CSR관련 법제도의 발전적 연구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CSR관련 법제도의 실현과 확산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이론적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뉴노멀 시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사회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 교육(강의)에 기여
    ▷상법 특히 회사법강의에서 뉴노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업의 역할의 중요함을 설명하는 생생한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법적근거를 설명함으로써 상법(회사법)을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심화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 입법 실무자에 자료제공
    ▷본 연구는 CSR관련 법제도의 구체적인 입법(안)과 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입법기관의 입법노력에 짐을 덜어주고 입법정책의 방향을 제공할 것이다.
    ▷CSR의 직접 주체인 기업에게는 뉴노멀 사회의 기업의 역할을 예고함으로써 기업실무자에게 CSR계획 수립에 합리적 기준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뉴노멀 시대, 기업의 사회적책임, 사회책임위원회, 주주중심주의, 이해관계자주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