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Physical Acitivity Program based on Ecologism for Raising Core Capabilitie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305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지영
연구수행기관 덕성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변화 및 위기 문제 앞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해결 방안으로서 창의융합형 능력을 함양한 인재 양성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김왕동, 2011; 김왕동, 2012; 이에스더, 2013; 홍희정, 2015; 장용규, 이정택, 2016). 교육의 다양화 및 자율화 실현을 위한 학교 교육 운영, 체제 개선 중심에 ‘역량’이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고(조경원, 양은주, 2001; 차갑부, 2001; 홍석호, 2012; 장용규, 이정택, 2016), 이러한 ‘역량’의 개념은 체육과 교육과정에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홍석호, 2012).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육 방향을 살펴보면,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근본적인 교육이념과 기조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체육활동 참여를 통해 인성 역량을 비롯한 다양한 역량 함양이 가능하도록 돕고, 이를 토대로 창의융합형 인재로 양성하는 것이 체육과 교수-학습 활동의 주요한 교육 목적 및 목표이다(신민혜, 조민기, 2015).
    이렇듯 체육교과는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하기에 효과적인 교과 영역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체육교육현장에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 및 효과를 나타내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높이 평가 받고 있다.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교육은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 및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과 맥락을 같이할 수 있다(박지영, 2016). 이처럼 학교체육현장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현에 대한 부담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 간의 간극을 좁히며,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대안으로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수업’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선행연구를 살펴본바, 생태주의 신체활동 교육 및 가치 중심의 체육과 교육과정의 밀접한 관련성, 융합교육 실현 가능성에 대해 기대해볼 수 있으며, 나아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하나의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체육교육현장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비체육교사, 교사,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업 시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기대효과
  • 1) 수업사례 연구로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및 성과 기대

    현대 사회 및 학교교육현장에서 마주하고 있는 아동, 청소년들의 위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서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되었다. 이는 우리 아이들을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로 양성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행연구를 살펴본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및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교육은 추구하는 교육의 목표 및 방향성 등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의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및 성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2) 중요한 정보 제공, 다양한 수업 시도 및 활용 가능성 제시

    본 연구를 통해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수업 시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가치 및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현이 강조될수록 학교교육현장의 교사에게는 멀티적 지식 능력과 전문성이 강력하게 요구된다. 그러나 문서로서 제시되는 교육과정을 예비체육교사 및 교사가 온전히 이해하여 현장에 담아내고 실현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현장 간에 발생되는 간극 역시 큰 원인이 되어 어려운 실정에 대한 교사들의 토로와 비판적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들의 연구 참여와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수행하는 본 연구는 학교체육현장에서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현에 대한 부담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교육과정과 현장 간의 간극을 좁히며,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온전히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예비체육교사들의 직전 교사교육 및 교원 연수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에 기여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및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관련 연구들은 양적·질적인 부분에서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연구의 경우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체육교육현장에 적용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후속 연구를 위한 밑바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에 기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정, 학교, 사회, 국가라는 학습자의 총체적인 삶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기 때문에 그동안 신체활동에서 소외되었던 학습자들이 다양한 학습 유형을 통해 신체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현대 및 미래사회의 위기 문제에 대한 교육 방안이라는 점에서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의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질적연구방법 중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연구 절차는 연구계획 수립 및 연구문제 형성, 수업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해석, 결론 도출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고, 이 중 수업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은 사전 연구 단계, 수업 프로그램 구성 단계, 수업 프로그램 적용 단계로 실시할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 전문가 집단 5인,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 D 초등학교 5학년 25명을 선정할 것이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참여 관찰, 비참여 관찰, 참여자 성찰일지, 차시별 과제물, 사진, 영상, 수업 프로그램 적용 관련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자료 분석은 사례기록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할 것이며, 삼각검증법,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학교체육교육현장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예비체육교사, 교사,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업 시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미래 사회의 다양한 변화 및 위기 문제 앞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해결 방안으로서 창의융합형 능력을 함양한 인재 양성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김왕동, 2011; 김왕동, 2012; 이에스더, 2013; 홍희정, 2015; 장용규, 이정택, 2016). 교육의 다양화 및 자율화 실현을 위한 학교 교육 운영, 체제 개선 중심에는 ‘역량’이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고(조경원, 양은주, 2001; 차갑부, 2001; 홍석호, 2012; 장용규, 이정택, 2016), 이러한 ‘역량’의 개념은 체육과 교육과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홍석호, 2012).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들이 체육활동 참여를 통해 인성 역량을 비롯한 다양한 역량 함양이 가능하도록 돕고, 이를 토대로 창의융합형 인재로 양성하는 것에 체육과 교수-학습 활동의 주요한 교육 목적 및 목표(신민혜, 조민기, 2015)를 두고 있다.
    이렇듯 체육교과는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을 실현하기에 효과적인 교과 영역임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체육교육현장에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 및 효과를 나타내면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교육은 가치 중심의 교육과정 및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과 맥락을 같이할 수 있다(박지영, 2016). 더욱이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바, 생태주의 신체활동 교육 및 가치 중심의 체육과 교육과정의 밀접한 관련성, 융합교육 실현 가능성에 대해 기대해볼 수 있다. 나아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하나의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재구성하고,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김영천, 2008; Merrim, 1988; Stake, 1995). 연구 참여자는 전문가 집단 5명,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로서 S시에 위치한 M 초등학교 6학년 24명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 결과, 전문가 집단 및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프로그램 참여 관찰 및 비참여 관찰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참여자 성찰일지, 차시별 과제물, 사진, 영상, 수업 프로그램 관련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례기록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Marriam, 1988; Stake, 1995; 김영천, 2008)하였고 삼각검증법,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업 프로그램은 1회기‘1 ~ 2차시: 생태 환경과 우리들이 함께 살아가는 삶, 3 ~ 4차시: 생태와 우리들의 위기문제 극복하기, 5 ~ 6차시: 우리가 생태 지킴이, 7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 2회기‘8차시: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 이해하기, 9차시: 라이프스킬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삶, 10차시: 배려와 공생 알아보기, 11 ~ 12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6가지 핵심역량인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업 사례 연구로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및 성과를 기대할 수 있고,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업 시도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Recentl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raising talent for developing creative and convergent 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as an educational solution for responding actively to the issues of various changes and crises in future society(Kim, Wang-dong, 2011; Kim, Wang-dong, 2012; Lee, Esther, 2013; Hong, Hee-jung, 2015; Chang, Yong-kyu and Lee, Jung-taek, 2016). In the middle of improvement of management and system of school education for diversifying and autonomy of education, the element of 'capability' is established as an essential one(Cho, Kyung-won and Yang, Eun-ju, 2001; Cha, Gab-bu, 2001; Honh, Suk-ho, 2012; Chang, Yong-kyu and Lee, Jung-taek, 2016), and the concept of 'capability' has been an important affecting factor on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Hong, Suk-ho, 2012).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revised in 2015, also aims at helping learners to raise various capabilities including personality one through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raising them as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based on it, for main goals and purposes of edu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physical education(Shin, Min-hye and Cho, Min-ki, 2015).

    As seen above, physical education is an effective subject for realizing a curriculum focusing on capability. In particular, physical activity class based on ecologism in the field of school is highly acclaimed with positive changes and effects in education for learners. Physical activity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could share the context with curriculum focusing on value and capability(Park, Ji-young, 2016). Furthermore, as seen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we could expect clos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physical activity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value, and possibilities of realization of convergent education. And then,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be a educational method for grow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pursued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refigur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ecologism for raising core capabilitie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applying it into the field of school and exploring its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us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Kim, Young-cheon, 2008; Merrim, 1988; Stake, 1995).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five experts were selected and for class program participants, twenty-four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 city were chosen, respectively. For collecting data,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on the experts and class program participants, and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in the program were used, In addit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articipants' diary on reflection, class time tasks, photo, video, and the related other class program resources.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made by case record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ial analysis(Marriam, 1988; Stake, 1995; Kim, Young-cheon, 2008) and triangulation, peer-to-peer discussion, and peer-review were applied to secure trustworthiness of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the class program was refigured with 'first and second sessions: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our shared life, third and fourth sessions: ecology and our overcoming over crisis, fourth and fifth sessions: we are the keepers of ecology, seventh session: I, we, and ecology as a whole' in the first phase and 'eighth sessio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life together, ninth session: life together with practice of life skills, tenth session: learning care and co-existence, and eleventh and twelfth sessions: I, we, and ecology as a whole' in the second phase. Through this class program, learners could raise six core capabilities emphasi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self-management capability,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capability, aesthetic emotional capability, communicative capability and communal cap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av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and performances as a case for class, and that it will als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teachers and researchers and suggest various options for class attempts and application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various researches in physical education, future studies, invigoration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raising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재구성하고,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 중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김영천, 2008; Merrim, 1988; Stake, 1995). 연구 참여자는 전문가 집단 5명,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로서 S시에 위치한 M 초등학교 6학년 2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 결과, 전문가 집단 및 수업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 프로그램 참여 관찰 및 비참여 관찰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참여자 성찰일지, 차시별 과제물, 사진, 영상, 수업 프로그램 관련 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례기록 분석 및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Marriam, 1988; Stake, 1995; 김영천, 2008)하였고 삼각검증법, 동료 간 협의, 구성원 간 검토의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업 프로그램은 1회기‘1 ~ 2차시: 생태 환경과 우리들이 함께 살아가는 삶, 3 ~ 4차시: 생태와 우리들의 위기문제 극복하기, 5 ~ 6차시: 우리가 생태 지킴이, 7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 2회기‘8차시: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 이해하기, 9차시: 라이프스킬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삶, 10차시: 배려와 공생 알아보기, 11 ~ 12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로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들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6가지 핵심역량인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업 사례 연구로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및 성과를 기대할 수 있고 교사,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업 시도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수업 프로그램 재구성 및 적용을 통한 연구결과 내용, 활용방안을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박지영(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일부 내용을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일부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차시별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구성 모형 중 학습내용선정 및 조직의 1 ~ 4단계를 총 2회기(1회기: 1~7차시, 2회기: 8~12차시)로 반복하여 구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프로그램의 대주제는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로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주제를 실현하기 위해 박지영(2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목표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 그리고 세 영역을 통합하는 통합적 영역으로 수정, 보완하여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둘째, 차시별 프로그램은 수업 프로그램 1회기‘1 ~ 2차시: 생태 환경과 우리들이 함께 살아가는 삶, 3 ~ 4차시: 생태와 우리들의 위기문제 극복하기, 5 ~ 6차시: 우리가 생태 지킴이, 7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 2회기‘8차시: 더불어 사는 삶의 중요성 이해하기, 9차시: 라이프스킬 실천하며 더불어 사는 삶, 10차시: 배려와 공생 알아보기, 11 ~ 12차시: 나와 우리, 그리고 생태가 하나로’로 재구성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생태환경과 우리들에 대한 다양한 통합학습을 통해 구성원들 간에 상호작용, 소통, 협력하여 학습과제를 수행해나가면서 학습내용을 자신의 지식과 가치로 내면화 할 수 있었다. 이는 수업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들의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함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본 연구는 수업 사례 연구로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 및 성과를 기대할 수 있고,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수업 시도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육교육 연구의 다양화 및 후속 연구 수행, 체육활동 활성화 및 체육교과 위상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색인어
  •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체육과 핵심역량, 창의융합형 인재, 생태주의 신체활동, 통합교육, 융합교육, 전인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