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결사회에서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비즈니스 모형개발 및 확산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arket-friendly Business model for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in the Connected Socie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
연구과제번호 2017S1A5B8059718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장석인
연구수행기관 공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호규(공주대학교)
시몬 피체
최재원(순천향대학교)
성연옥(경상대학교)
권주형(숭실대학교)
최병헌(공주대학교)
최영근(상명대학교)
장동호(공주대학교)
정강원(공주대학교)
박순우(공주대학교)
이용탁(동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오늘날 연합이나 연결 기술의 영향력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개인-기업-국가의 연결 관계가 강화되고 있으며 기술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각 주체간의 관계성이 강화되는 환경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연결될 수 있는 사회적 생태계로서 작동되는 연결사회(connected society)는 단순한 네트워크가 아닌 능동적으로 사회 문제를 재구성(reconstruction)하고 관여(commitment)하는 연결시스템이다. 따라서 사회적이고 경제적인 가치 창출과 이러한 가치가 공유하기 위한 생태계로서의 연결사회(CS)는 최근 연구의 대상으로 크게 부상하고 있다. 즉 연결사회(CS)는 소비자-기업, 기업-기업, 소비자-정부, 기업-정부 등간 상호연결을 통해 통합적 관계를 구축하는 사회구조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결사회(CS)를 통해 시장-사회의 행위 주체들 (개인-기업-정부)간의 관계적 작용 하에서 사회혁신기업과 개인-정부의 사회적 경영현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결사회(CS) 내에서 우리나라의 사회혁신기업의 유형별 특징과 속성을 이해 및 파악하고 각 유형별 최적화된 사회혁신기업의 성공요인 도출 및 지속가능한 시장친화적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주제는 “연결사회에서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비즈니스 모형개발과 활용”이다. 먼저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대표적인 유형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1단계(1-3년차)에서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사회혁신기업 조직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고 SWOT 분석을 통하여 조직 유형별 최적화된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의 현황과 지속가능한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2단계(4-6년차)에서는 대전․세종․충남에 국한되었던 연구의 범위를 서울, 대구, 부산, 광주 등의 국내 거점지역으로 확대하여 국내 거점지역 간 사회혁신기업의 비교연구를 진행하고, 나아가서 국외의 사회혁신기업과의 비교연구, 최종적으로는 “국내․외 사회혁신기업의 사례를 통한 시장친화적 한국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수행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개발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유형에 맞는 제도적 지원을 제안하고, 최적의 사회적 금융(e.g., SIB 등)의 연결 모델을 도출함으로써 사회혁신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유형별 성과측정 기준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조직성과 향상을 위한 핵심요소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년차 SWOT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부환경요소를 고려한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사회혁신기업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시장진입 가능성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외 선진국의 사회혁신기업 사례연구를 통해 산업생태계 구성에 대한 주도적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사회적 성과 향상을 위한 유럽의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방향성 확인을 통하여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기업 등의 발전과정 및 관련 법규정을 확인하고, 다양한 활용가능성 및 정부 지원형태를 연구함으로서 사회혁신기업 생태계 촉진이나 일자리 창출 및 확보에 대한 논의를 쟁점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회혁신기업 사례 발굴을 기반으로 국가별 장단점 및 성장모형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아시아 기반의 특수성을 파악 및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럽국가에 집중되어 있는 사회혁신기업의 사례를 아시아 국가에서 도출함으로써 더욱 한국과 유사한 성공 요소들을 정책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국형 사회혁신기업의 현황 및 관련 요소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정책적 지원방안 및 사회적 저해요소의 해소 가능성 등을 도출함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한국형 사회혁신기업의 비즈니스 모형을 수립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사회혁신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NCS의 분류 및 개선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정책적 지원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조직유형별 특성도출과 최적화된 활성화 방안을 발굴하여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2단계에서는 연구범위를 국내 거점지역으로 확대하면서 해외의 사회혁신기업과의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는 한국형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지속가능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사회혁신기업의 개념 및 유형분류 체계를 확립하고 SWOT/AHP기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사회혁신기업 활성화 방안 및 지역사회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지속가능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사회혁신기업 조직을 지원하기 위한 실용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국내 거점지역(서울, 부산 등)의 사회혁신기업 비교연구와 국외 사회혁신기업 성공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형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성공모델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대학에 학제간 협동과정을 신설하여 사회혁신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함과 동시에 국내 사회혁신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혁신기업 허브(hub)로서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회적 가치 창출을 추구하는 사회혁신기업의 기반은 ①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더 멀리 가기 위한 토대를 확보하여 경영상의 수익성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과 ②이를 위해서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원하는 것 이상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회혁신기업의 사회적 가치가 ①기존의 사회 서비스의 범주를 넘어서서 서비스 자체가 만들어내는 공공의 가치, ②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만들어내는 경제적 가치, 그리고 ③사회혁신기업의 재정적 독립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성과 등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주제는 “연결사회에서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비즈니스 모형개발과 활용”이다. 먼저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대표적인 유형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1단계(1-3년차)에서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사회혁신기업 조직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고 SWOT 분석을 통하여 조직 유형별 최적화된 활성화 방안 연구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한 시장친화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1단계 “지역사회중심의 사회혁신기업의 현황과 지속가능 모형개발”(1년차 :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유형별 실태 연구, 2년차 : 지역사회 사회혁신기업의 조직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3년차 : 임팩트 투자 및 법제 개선을 통한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 모형개발) 연구의 결과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첫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유형(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별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개발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해 보았음.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은 노동부, 마을기업은 행정안전부가 관리를 하고 있음에 따라 일부 일관된 지원정책 수행에 혼선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일괄적인 정책수행을 위한 통로를 통합할 필요성이 있음.
    둘째, 본 연구는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유형별 성과측정 기준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1년차 SWOT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면 조직형태(영리, 비영리), 인증유형(일자리제공형, 지역사회공헌형, 혼합형, 기타형) 등에 따라 차별적인 다양한 외부지원금의 정책이 필요함.
    셋째, 사회혁신기업의 조직특성이 경영성과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다소 다르게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조직관리 효율성과 조직구성원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실행방안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
    넷째, 해외 선진국의 사회혁신기업 사례연구를 통해 산업생태계 구성에 대한 주도적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사회적 성과 향상을 위한 유럽의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방향성 확인을 통하여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기업 등의 성숙 절차 및 관련 법규를 확인하고, 다양한 활용가능성 및 정부 지원 형태를 연구함으로서 사회혁신기업 생태계 촉진 및 일자리 창출 및 확보에 대한 논의를 쟁점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사회혁신기업 실태를 조사하여 사회혁신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으며, 현재 사회혁신기업들이 당면한 어려움과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음.
    많은 사회혁신기업들이 요구하는 정부차원의 재정지원 정책의 확대와 가장 중요한 판로개척의 문제가 이후 정부의 정책 수립에 반영이 될 수 있을 것임.
  • 영문
  • The foundation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that pursue social value creation focuses on securing business profitability by securing the foundation to go further to achieve social goals.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at they are an important factor in satisfying customers beyond what they want for their products or services. In addition,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are pursuing social values and objectives for ① the public value created by the service itself beyond the scope of the existing social service, ② the economic value creat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when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consider not only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③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but also the achievements of job creation in local communities, research related to this is desperately neede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arket-friendly Business model for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in the Connected Society". First, this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village enterprises, self-supporting enterprises, etc. is organized in the first stage (1-3 years) in the community (Daejeon, Sejong, Chungnam). It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organization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through the survey. An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ganization type and the optimized activation plan through SWOT analysis.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ustainable market-friendly model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existing in local communities.

    The first stage research topic of this study is "The status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centered on the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model". Here, detailed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Research Topic for the first year: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by Organization Type in Local Community.
    Research Topic for the second year: A study on how to activate socially innovative companies in local communities by organization type.
    Research topic for the third year: Developing a sustainable model for socially innovative companies through impact investment and legal reform.

    The results and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types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in local communitie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for example,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and village enterpris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economic and social outcomes. Through the survey,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s are managed by the Ministry of Labor, and village enterprises are manag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ccordingly, there is a possibility of confusion when implementing some consistent support policies.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standard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ach type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organiz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a result of the SWOT analysis in the first year,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differentiated external subsidy policies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profit, non-profit) and certification type (job provision type, community contribution type, mixed type, other typ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on management performance, for exampl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is somewhat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various implementation pla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organizational members.
    Fourt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firm the leading core competencies for the composition of the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case studies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in overseas advanced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soci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organizations and to confirm related laws through examination of support policies and directions of European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reignite discussions on the promotion of the ecosystem and job creation of these companies by studying various applicability and government support types for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Fifth,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in Daejeon, Sejong, and Chungnam, the voices of the local community could be heard, and the difficulties and tasks facing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wer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e issue of expanding government-level financial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rkets required by many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 will be reflected in the government's policy establishment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회적 가치 창출을 추구하는 사회혁신기업의 기반은 ①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더 멀리 가기 위한 토대를 확보하여 경영상의 수익성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과 ②이를 위해서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원하는 것 이상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사회혁신기업의 사회적 가치가 ①기존의 사회 서비스의 범주를 넘어서서 서비스 자체가 만들어내는 공공의 가치, ②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과정에서 만들어내는 경제적 가치, 그리고 ③사회혁신기업의 재정적 독립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성과 등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주제는 “연결사회에서 사회혁신기업의 시장친화적 비즈니스 모형개발과 활용”이다. 먼저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대표적인 유형인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1단계(1-3년차)에서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사회혁신기업 조직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고 SWOT 분석을 통하여 조직 유형별 최적화된 활성화 방안 연구함으로서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한 시장친화적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의 1단계 “지역사회중심의 사회혁신기업의 현황과 지속가능 모형개발”(1년차 : 지역사회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유형별 실태 연구, 2년차 : 지역사회 사회혁신기업의 조직유형별 활성화 방안 연구, 3년차 : 임팩트 투자 및 법제 개선을 통한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 모형개발) 연구의 결과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본 연구는 지역사회(대전․세종․충남)의 사회혁신기업 조직유형(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별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개발로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의 실현가능성을 검토해 보았음. 실태조사를 통하여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은 노동부, 마을기업은 행정안전부가 관리를 하고 있음에 따라 일부 일관된 지원정책 수행에 혼선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일괄적인 정책수행을 위한 통로를 통합할 필요성이 있음.
    ○ 둘째, 본 연구는 사회혁신기업 조직의 유형별 성과측정 기준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1년차 SWOT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면 조직형태(영리, 비영리), 인증유형(일자리제공형, 지역사회공헌형, 혼합형, 기타형) 등에 따라 차별적인 다양한 외부지원금의 정책이 필요함.
    ○ 셋째, 사회혁신기업의 조직특성이 경영성과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다소 다르게 영향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조직관리 효율성과 조직구성원에 대한 인적자원관리와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실행방안의 다양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
    ○ 넷째, 해외 선진국의 사회혁신기업 사례연구를 통해 산업생태계 구성에 대한 주도적 핵심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사회적 성과 향상을 위한 유럽의 사회혁신기업 지원과 방향성 확인을 통하여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기업 등의 성숙 절차 및 관련 법규를 확인하고, 다양한 활용가능성 및 정부 지원 형태를 연구함으로서 사회혁신기업 생태계 촉진 및 일자리 창출 및 확보에 대한 논의를 쟁점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다섯째,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사회혁신기업 실태를 조사하여 사회혁신기업들의 현장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으며, 현재 사회혁신기업들이 당면한 어려움과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음.
    ○ 많은 사회혁신기업들이 요구하는 정부차원의 재정지원 정책의 확대와 가장 중요한 판로개척의 문제가 이후 정부의 정책 수립에 반영이 될 수 있을 것임.
  • 색인어
  • 사회혁신기업,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성공요인, SWOT분석, 시장친화적 비즈니스 모델, 임팩트 투자, 사회적 금융, 학제간 연구, 해외 선진국의 사회혁신기업 사례, 한국형 사회혁신기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