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명존중 안전의식 강화를 위한 학교안전 정책연구
A Research on the School Safety for Strengthening the Respect for Life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정책중점연구소지원사업& #40;인문사회분야& #41;
연구과제번호 2017S1A5B8A02073142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3 년 (2017년 10월 16일 ~ 2020년 10월 15일)
연구책임자 김경회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홍덕표
조흠학(인제대학교)
박윤주(한국교원대학교)
유용흠(한국교육개발원)
구하라(동아대학교)
이주연(아주대학교)
김종훈(성신여자대학교)
정명석(아주대학교)
한종극
오대영(가천대학교)
강태훈(성신여자대학교)
조영철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소는 학교안전을 주요 연구 영역으로 정하여 향후 학교안전 관련 제 역량이 국제적 표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정책 연구ㆍ개발의 수준 향상, 전문성 및 연구 역량 강화, 효율적 정책 지원체계 구축 등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둔 운영 과제를 실천하게 됨.
    학교에서 시작되는 안전교육으로 국가안전의 기초를 마련하는 학교안전 연구를 전문화ㆍ특성화하게 됨. 무엇보다 ‘안전 최우선’, ‘타인을 배려하는 인성’이 수반되는 학교안전교육을 연구하는 학교안전연구소의 위상을 확립해 나갈 것임.
  • 기대효과
  • 1단계 3개년 간 축적된 연구역량 및 운영성과, 인적 네트워크, 그리고 2단계 연구 및 운영 계획의 구체성을 고려할 때, 학교안전연구소의 2단계 발전계획의 실현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됨. 학교안전연구소는 추진과제의 실현가능성 제고를 위해 모든 추진과제를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치고 있음.
    ① 본 연구소는 주무부서인 교육부 학교안전총괄과와의 협의를 통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시의성 높은 연구 과제를 선정함
    ② 수시과제 수행 시 연구소는 교육부의 과업지시서를 충실히 반영하여 연구계획서를 수립함.
    ③ 연구소는 연구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정기적인 연구진 회의와 단계 별 중간보고 실시를 통해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정책 환경의 변화에 따른 행정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함.
  • 연구요약
  •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일련의 대형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차제에 학교 내 안전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안전교육 실태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생명 존중, 안전 강화’를 실천하기 위한 세부과제를 책정하여 수행함.
    세부과제는 학생중심, 교원 중심, 인프라 구축 등 크게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음. 학생·학부모 대상 안전교육 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연구, 교사의 안전교육 지도역량 개발연구, 학교안전 인프라 구축 연구 등 4개임. 특히, 학생·학부모 안전의식 강화, 교원의 안전의식 및 지도 역량 부분, 학교안전 법령 분석, 교육시설 및 환경의 점검 및 진단 분석을 토대로 중장기적 연구 방향을 설정함.
    향후 3단계 연구목표와 연계하여 학교 안전교육 인프라의 질적 고도화에 주력할 것임. 학교 내외의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시스템화된 안전교육을 정착․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함. 이를 위하여 안전교육 평가 및 컨설팅 방안을 개발하여, 기존의 안전교육 실시단계에서 제기된 문제의 판단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과 실천적 확산 방안을 모색함. 통섭과 융합의 학제간 연구를 바탕으로 안전교육과 관련된 부처 간 협업, 민간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실습 위주의 안전교육 시스템 확산 및 다면적인 발전방안을 마련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014년 4월 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학생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에서도 이를 위한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부는 대형 사고에 대한 학교 수준에서의 안전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2014년 10월 교육부 정책중점연구소로 지정 받은 학교안전연구소는 계속과제 2단계(’17.10.16.~’20.10.15.)로 연구를 수행한 지난 3년 동안 교육부의 학교 안전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 안전 실태 분석, 학생 및 교원 대상의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시설 안전 진단, 학생 안전 체험시설 확충 방안,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관리 매뉴얼 및 체크리스트 개발, 실전 대응 훈련 방안, 심리지원 체계 구축 등, 유·초·중등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소는 학교 안전을 주요 연구 영역으로 정하여 향후 학교 안전 관련 제 역량이 국제적 표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정책 연구·개발의 수준 향상, 전문성 및 연구역량 강화, 효율적 정책 지원체계 구축 등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둔 운영 과제를 실천하고 있다.
    학교에서 시작되는 안전교육으로 국가안전의 기초를 마련하는 학교 안전 연구를 전문화ㆍ특성화하게 되었으며, 무엇보다‘안전 최우선’,‘타인을 배려하는 인성’등이 수반되는 학교 안전교육을 연구하는 학교안전연구소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고 있다.
    그동안 제도적인 측면에서 학교 안전의 기본적 골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으며, 학교안전연구소는 2단계 연구과제 수행에 있어서 1단계 정책 연구를 통해 구축된 학교 안전의 실태와 현황자료를 중심으로 안전 중심의 학교문화 정착과 안전교육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데이터 기반의 현장 중심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년도에는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를 통해 학교안전과 관련된 정부 부처의 문건 및 학술자료, 선행연구 등을 고찰했다. 또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3개년 기본계획수립, 국제기구의 안전학교 모형 비교 분석, 학교안전관리 효율화 방안, 학교 안전교육 총론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학교 실험실 안전관리 주체별 권한 및 책임 연구 등을 수행하여 안전교육의 주요 정책과제를 발굴하여 제시하였다.
    2차년도에는 기본 계획에 따른 세부과제를 심도있게 연구하고, 학교 안전관리 통합 매뉴얼 개발, 학교 내 학생 안전을 위한 보차도 분리 개선 방안, 재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대학 안전관리체계 구축 방안, 학교시설 안전 점검 원격연수 콘텐츠 개발 연구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
    3차년도에는 4차산업 첨단기술을 활용한 학교안전 예방시스템 구축 전략, 해외 주요 대학안전관리 사례 분석 연구, 학교안전 종합관리지원 방안 연구, 학생안전체험시설 운영의 교육적 효과 제고 방안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육부의 학교안전사고 관리지원 개선방안(2020.10) 정책 발표와 대학의 안전관리계획 수립·시행을 규정하는 ‘고등교육법’ 개정 법률안을 제정하는 데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제공하였다.
  • 영문
  • Since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in April 2014, public interest in student safety has increased, and the government is also doing its best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is. In this regar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making great efforts to reinforce safety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for major accidents.
    The School Safety Research Institute, which was designated as a Policy Focus Research Institut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ctober 2014, has conducted research in the second phase of continuing tasks ('17.10.16.~'20.10.15.) to support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hool safety policy for the past three years. Analysis of school safety status,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teachers, safety diagnosis of educational facilities, plans to expand student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manuals and checklist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sites, practical response training plans,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A variety of polic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cluding construction, and not only in early,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but also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The institute has designated school safety as a major research area, and focuses on securing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the level of policy research and development, strengthening expertise and research capability, and establishing an efficient policy support system so that my competency related to school safety can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future. We are implementing the set operational task.
    School safety education, which begins at school, has specialized and specialized in school safety research, which lays the foundation for national safety, and above all, safety education in schools that involves ‘safety first’and ‘personality that cares for others’. The research institute is establishing its status.
    In the meantime,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framework of school safety has been established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and the School Safety Research Center is a safety oriented school focusing on the actual state and current status data of school safety established through the first-stage policy research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stage research project. A data-based field oriented policy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culture and secur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In the first year, literature studi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review documents, academic data, and prior studies of government departments related to school safety. In addition, a three year basic plan for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comparative analysis of safety school model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fficiency measures for school safety management, basic research for setting general standards for school safety education, and research o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each subject of safety management in university laboratories are conducted. Thus, major policy tasks for safety education were discovered and presented.
    In the second year, detailed tasks according to the basic plan will be studied in-depth,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chool safety management manual, measures to improve separation of pedestrian roads for student safety in schools, a practical manual for responding to disasters, a plan to establish a university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of school facilities. Developed and provided research, etc. for the development of remote training contents for inspection.
    In the 3rd year, research on the strategy of establishing a school safety prevention system using advanced technology in the 4th industry, an analysis of major overseas university safety management cases,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chool safety management support plan, and a plan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operation of student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By carrying out and providing it,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and provid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s announcement of the policy to improve school safety accident management support(2020.10) and enacting the revised legisl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Act’ that regulat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 safety management pla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세월호 침몰사고,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 등의 원인이 되어 온 생명경시 풍조를 바로잡고, 국가 혁신 수준의 대응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음. 특히, 교육부는 대형 사고에 대한 학교 수준에서 안전교육 강화가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2014년 10월 교육부 정책중점연구소로 지정 받은 학교안전연구소는 계속과제 2단계(’17.10.16.~’20.10.15.)로 연구를 수행한 지난 3년 동안 교육부의 학교 안전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 자료를 지원하기 위해 학교 안전 실태 분석, 학생 및 교원 대상의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시설 안전 진단, 학생 안전 체험시설 확충 방안,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관리 매뉴얼 및 체크리스트 개발, 실전 대응 훈련 방안, 심리지원 체계 구축 등, 유·초·중등교육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음.
    본 연구소는 학교 안전을 주요 연구 영역으로 정하여 향후 학교 안전 관련 제 역량이 국제적 표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정책 연구·개발의 수준 향상, 전문성 및 연구역량 강화, 효율적 정책 지원체계 구축 등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둔 운영 과제를 실천하고 있음. 학교에서 시작되는 안전교육으로 국가안전의 기초를 마련하는 학교 안전 연구를 전문화ㆍ특성화하게 되었으며, 무엇보다‘안전 최우선’,‘타인을 배려하는 인성’등이 수반되는 학교 안전교육을 연구하는 학교안전연구소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고 있음.
    그동안 제도적인 측면에서 학교 안전의 기본적 골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으며, 학교안전연구소는 2단계 연구과제 수행에 있어서 1단계 정책 연구를 통해 구축된 학교 안전의 실태와 현황자료를 중심으로 안전 중심의 학교문화 정착과 안전교육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데이터 기반의 현장 중심 정책 연구를 수행하였음.
    1차년도에는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를 통해 학교안전과 관련된 정부 부처의 문건 및 학술자료, 선행연구 등을 고찰하였음. 또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3개년 기본계획수립, 국제기구의 안전학교 모형 비교 분석, 학교안전관리 효율화 방안, 학교 안전교육 총론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대학교 실험실 안전관리 주체별 권한 및 책임 연구 등을 수행하여 안전교육의 주요 정책과제를 발굴하여 제시함.
    2차년도에는 기본 계획에 따른 세부과제를 심도있게 연구하고, 학교 안전관리 통합 매뉴얼 개발, 학교 내 학생 안전을 위한 보차도 분리 개선 방안, 재난 위기대응 실무 매뉴얼, 대학 안전관리체계 구축 방안, 학교시설 안전 점검 원격연수 콘텐츠 개발 연구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였음.
    3차년도에는 4차산업 첨단기술을 활용한 학교안전 예방시스템 구축 전략, 해외 주요 대학안전관리 사례 분석 연구, 학교안전 종합관리지원 방안 연구, 학생안전체험시설 운영의 교육적 효과 제고 방안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육부의 학교안전사고 관리지원 개선방안(2020.10발표) 정책과 대학의 안전관리계획 수립·시행을 규정하는 ‘고등교육법’ 개정 법률안을 제정하는 데 기초연구를 수행하여 제공하였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교안전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본과제 및 수시과제는 과제의 기획 수립 단계부터 정책 목표 달성까지 주기적으로 교육부 학교안전총괄과와 협의회 및 운영위원회 등을 통한 긴밀한 의사소통으로 추진됨에 따라 교육부의 정책 추진 및 이를 위한 지원방안, 정부의 법령 개편안 마련 등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었음.
    연구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교육부 담당 공무원 및 학계, 관련 부처와의 전문가협의회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진행하였으며, 연구과제의 예산 편성 및 집행에 대한 점검 및 과제수행 상황의 점검 등을 위한 운영위원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였음.
    본 연구소는 2단계 1차년도 기간 동안에는 기본과제 2개와 수시과제 3개를 수행함. 학교안전연구 수행을 위한 학제 간 연구공유 활성화 및 전문가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안전 관련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총 4회의 콜로키움을 개최하였으며, 국제학술대회(2018년 8월 17일)‘미래 재난환경변화에 따른 학교 안전 위협요인과 과제’개최를 통해 학교안전정책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는 등 관련 학회와의 연계 협력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하였음.
    2단계 2차년도 기간에는 기본과제 2개와 수시과제 4개를 수행함. 학교안전연구 수행을 위한 학제 간 연구공유 활성화 및 전문가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안전 관련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총 3회의 콜로키움을 개최하였으며, 학술대회(2019년 7월 25일) ‘대학 안전관리 법령 제정 방향’개최를 통해 대학 안전관리의 조직, 계획, 교육, 시설 안전, 학생 대내외행사 안전, 현장실습 안전 등 관련 전문가들과 관련 학회와의 연계 협력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하였음.
    2단계 3차년도 기간에는 기본과제 2개와 수시과제 2개를 수행하였으며, 학교안전연구 수행을 위한 학제 간 연구공유 활성화 및 전문가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안전 관련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여 총 5회의 콜로키움을 개최하였으며, 국제학술대회(2020년 7월 2일) ‘해외 주요 대학의 안전관리 이슈’ 개최를 통해 해외 주요 대학의 안전관리 Best Practice 사례연구를 실시하는 등 관련 전문가들과 관련 학회와의 연계 협력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하였음.
  • 색인어
  • 안전교육, 학교 안전, 안전 진단, 생명 존중, 안전 정책, 안전 의식, 안전 지도, 안전학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