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淸末 蘇州 치안조직의 이원구조와 유형적 특성
Dualistic Structures and Type Characteristics of Public Security Organization in Suzhou in the Late Qing Dynas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409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택경
연구수행기관 용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동향을 종합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 문제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제도의 도입과 시행의 간극에 유의하여야 한다. 청말 경찰제도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체제의 외형 속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었으며, 지방의 상황에 따라서는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지역사적 연구가 일차적으로 요청된다. 둘째, 전체적인 인식이 부재하다. 지역 연구가 대상 자체를 분석하는 데에 그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고, 자칫 지역성에 함몰되기도 쉽다. 지역 경찰의 구체적인 현상을 전체적인 양상과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만이 비로소 청말 경찰제도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총체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셋째, 통합적 고찰이 결여되어 있다. 지금까지 청말 도시치안조직의 연구는 경찰과 상단(商團)을 구분하여 각각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청말 경찰 제도를 온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찰과 상단의 관계 즉, 관상관계(官商關係)를 중심축으로 경찰과 상단을 도시치안조직으로 통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문제의식에서 강소성의 성도(省都) 소주(蘇州)는 특히 주목이 되는 도시이다. 전통적으로 소주에서는 관과 민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던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명․청시대 이래로 소주의 신사층은 자신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육과 구제(救濟)뿐만 아니라 지방의 정치에도 크게 관여해 왔다. 청말 소주의 신사층은 상회와 교육회(敎育會) 등 민간사단(民間社團)을 결성하여 지방의 행정과 공공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켜 나아갔다. 따라서 소주는 청조(淸朝)의 신정이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을 미쳐 온 지방에서 어떻게 굴절되고 변화되는가를 관찰하는 데에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무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官)과 신상(紳商)의 관계를 소주 치안조직의 방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청말 소주는 경찰과 상회가 공존하며 도시의 치안을 공동으로 유지시키고 있었다. 소주의 경찰과 신사층은 치안업무를 둘러싸고 복잡한 권력구조를 생성시켰다. 지금까지 이러한 경찰과 신사층의 권력관계에 주목한 연구는 일부 현이나 향촌 경찰을 사례로 연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소주의 경찰과 상회 두 치안조직의 권력구조가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이의 형성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게 된다면 청말 소주 치안조직의 이원구조(二元構造)가 중국 전체 도시에서 가지는 의미도 어느 정도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먼저 청말 소주 치안조직이 경찰과 상단이라는 이원화된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던 지역사적인 맥락과 원인을 규명하고, 치안조직의 이원구조 속에서 관상(官商)의 권한이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분석해 보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소주 치안조직의 유형적 특징을 전국 주요 도시의 치안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추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계획대로 마무리된다면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을 미친 강남의 도시에서 경찰제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창설되어 뿌리를 내리게 되는지, 그것이 북방의 주요 도시와는 또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소주를 사례로 일정한 실마리를 얻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요컨대 본 연구는 청말 신정기 소주 경찰과 상단이 동시에 출현하게 되는 지역사적인 맥락을 검토하고, 두 치안조직이 병존함으로써 생성될 수밖에 없는 관(官)과 신(紳)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권한의 배분 즉, 권력구조와 그 변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접근방식과 일차적으로 구별된다. 또한 소주 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청말 중국 전체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 유형을 시야에 두고 비교 분석하여 그 유형적인 위상과 특성을 가늠해본다는 차원에서도 종래 연구와는 방법상에 차이가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면 향후 본인이 장기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20세기 중국 경찰의 연구에 귀중한 초석이 될 것이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1) 연구방법의 전환에 활용
    본 연구는 소주라는 특정한 도시의 치안조직을 분석단위로 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이를 중국 전체 도시와 비교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에서 주종을 이루어 온 도시를 분석단위로 하는 실증적인 연구방법에 더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고 전체적인 인식이 가능한 틀을 구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연구자들의 ‘분업’을 통해 청말과 민국시대 주요 도시에 대한 경찰 연구가 축적되고, 경찰과 연관된 상회나 시정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20세기 중국 전체 도시 치안조직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의 토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 북경․천진․봉천․상해․성도․광주․무창․한구 등 도시사 연구가 활발해진 것에 힘입어 보다 통합적인 시각에서 도시의 치안조직을 연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치안조직 연구가 실증적인 차원에서 비교 및 통합적인 차원으로 전환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영역의 확장과 활성화
    소주에서는 지방정부가 경찰 제도를 창설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신사층이 깊이 개입하였고, 신사층이 경찰조직과 독립된 민간치안조직인 체육회(상단)를 결성함으로써 도시치안조직의 이원화가 초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치안조직의 이원화 과정을 관신 권력구조 변천과정의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하는데, 종래 청말 신정기 관신관계(官紳關係)에 대해서는 교육개혁, 지방자치, 상회 등과 향촌사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을 뿐, 도시경찰을 소재로 관신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재적인 차원에서도 기존 관신관계 논의를 새로운 접근을 통해 활성화시키고, 그 범위가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연구의 불균형 해소
    소주 상단의 경우 자료의 발굴과 연구가 매우 활발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소주 경찰에 대해서는 자료 발굴과 연구 모두 저조한 실정이다. 소주 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살펴보려는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보면 경찰조직에 대한 실증적인 작업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자는 본격적인 연수과정에 들어가기에 앞서 소주 경찰에 대한 사료수집과 실증적인 분석을 선행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청말 소주 경찰에 대한 신뢰할만한 연구의 결핍이 일정 정도 해소될 것으로 생각하며, 경찰과 상단이 견실한 사료적 토대 위에서 통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 현대 중국경찰 연구에 이론적 사례 제시
    현대 중국의 경찰조직은 지방에 따라 구성의 편차가 크고, 권력의 구조 또한 매우 상이하다. 중국의 경찰은 표면적으로는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국가경찰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상은 지역적으로 분절되어 있어 중앙정부 차원의 통일적인 정책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현대 중국경찰조직의 양상은 청말과 민국시대 경찰조직의 그것과 놀라우리만큼 유사하다. 따라서 연구의 전체성과 통합성을 지향하는 본 연구는 현대 중국경찰조직에 대한 연구를 촉발하고 이론적으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은 크게 다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소주 치안조직이 이원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소주에서 ‘관치조직’인 경찰과 ‘자치조직’인 상회가 동시에 도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방식이 출현한 것은 1910년에 이르러서였다. 1903년 설립된 소주 경찰은 어느 한편에 귀속되지 못한 채 정부와 상회를 오고가다 1910년에 이르러서야 최종적으로 정부에 귀속되었다. 다른 한편 신사층은 소주상회 소속 상단의 전신인 소상체육회를 통해 도시치안에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소주 경찰이 지방정부에 의해서 설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09년 신사층이 결성한 경무공소에 통합되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또 민간단체에 일시적으로 통합되었던 경찰조직은 왜 다시 정부에 귀속되었을까? 이상의 질문들을 유추해서 대답해 보면 적어도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지방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던 소주사회에서 경찰조직은 신사층의 지지 없이는 자신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정기 소주에서 치안업무는 경찰과 신사층의 권한이 교차되는 영역이었다. 따라서 경찰조직의 운영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신사층과 경찰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또한 상회의 경찰운영이나 소상체육회 결성 등에 대해 지방정부는 어떠한 시각으로 바라보았는가에 대해서도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소주에 치안조직의 이원구조가 형성된 전후로 경찰과 상회-소상체육회는 어떠한 정체성과 위상을 가지고 각자의 활동을 규정하고 있었을까? 청말 소주의 경찰과 소상체육회는 모두 치안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따라서 경찰과 소상체육회가 자신의 직권과 관할구역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정하였는가를 살펴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즉, 두 조직의 치안업무에 대한 권한의 배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이 문제를 고찰해야 할 것이다.
    권한의 배분과 더불어 주목되는 점은 경찰과 상회-소상체육회 사이의 관계이다. 특히 양자의 권력관계가 관심의 초점이 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한 가지 눈 여겨 볼 점은 양자의 권력관계의 변천과정이다. 경찰조직의 귀속과정에서 드러나듯이 양자의 관계는 고정불변의 체제화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계기적으로 변화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공간되어 나와 있는 󰡔蘇州商會檔案叢編(1905-1911年)󰡕第1輯과 󰡔蘇州商團檔案彙編󰡕上下冊 등의 당안사료를 이용하여 경찰과 상회-소상체육회간의 권력관계의 양상과 변천과정을 자세히 규명하도록 하겠다.
    셋째, 신정기 소주 치안조직의 사례를 전체 중국의 주요 도시와 비교할 것이다. 소주 치안조직의 위상과 권한, 그리고 권력관계에 대한 고찰이 소주만의 독특한 사례로서만 파악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되고 말 것이다. 소주의 사례를 동시기 중국의 주요 도시와 비교했을 때 소주 치안조직의 특성이 비로소 파악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를 통해 얻어진 결과가 소주와 다른 도시들의 중․장기적인 지역적 배경, 단기적인 역사적 상황과 함께 검토되었을 때, 각각의 유형이 띄고 있는 특성의 유래와 의미가 새롭게 재인식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청말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비교 기준으로 소주의 치안조직을 여타의 도시와 비교할 것이다.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의 문제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도시치안조직의 구성이다. 둘째, 설립 및 운영주체의 문제이다. 셋째, 도시치안조직 사이의 권력관계이다. 이러한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의 내용을 토대로 청말 중국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분류하면 ‘북경형(北京型)’․‘천진형(天津型)’․‘소주형(蘇州型)’․‘상해형(上海型)’․‘제5형(第5型)’ 등 5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관(官)과 신상(紳商)의 관계를 소주 치안조직의 방면에서 접근하였다. 청말 소주는 경찰과 상회가 공존하며 도시의 치안을 공동으로 유지시키고 있었다. 소주의 경찰과 신사층은 치안업무를 둘러싸고 복잡한 권력구조를 생성시켰다. 본 연구는 먼저 청말 소주 치안조직이 경찰과 상단이라는 이원화된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던 지역사적인 맥락과 원인을 규명하고, 치안조직의 이원구조 속에서 관상(官商)의 권한이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소주 치안조직의 유형적 특징을 전국 주요 도시의 치안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추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을 미친 강남의 도시에서 경찰제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창설되어 뿌리를 내리게 되는지, 그것이 북방의 주요 도시와는 또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소주를 사례로 일정한 실마리를 얻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영문
  • This study approa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elite from the aspect of the Suzhou security organization. The police and the commercial chamber coexisted and kept the city's security together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police and the gentry of Suzhou have created a complex power structure surrounding security affairs.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local historical context and cause that led to the formation of a dualized structure of police and commercial chamber. Nex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elite was distributed within the two-way structure of the security organiz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Suzhou's policing organization were extracted through comparison with those of major cities across the country. This study will give some clues as to how the police system was created and rooted in cities in South China, where traditionally the local elite have a strong influence, and how it differs from major cities in the North Chin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동향을 종합해 보면 다음의 세 가지 문제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제도의 도입과 시행의 간극에 유의하여야 한다. 청말 경찰제도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경찰체제의 외형 속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었으며, 지방의 상황에 따라서는 지방분권적인 자치경찰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지역사적 연구가 일차적으로 요청된다. 둘째, 전체적인 인식이 부재하다. 지역 연구가 대상 자체를 분석하는 데에 그친다면 그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고, 자칫 지역성에 함몰되기도 쉽다. 지역 경찰의 구체적인 현상을 전체적인 양상과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만이 비로소 청말 경찰제도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총체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셋째, 통합적 고찰이 결여되어 있다. 지금까지 청말 도시치안조직의 연구는 경찰과 상단(商團)을 구분하여 각각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청말 경찰 제도를 온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경찰과 상단의 관계 즉, 관상관계(官商關係)를 중심축으로 경찰과 상단을 도시치안조직으로 통합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의 문제의식에서 강소성의 성도(省都) 소주(蘇州)는 특히 주목이 되는 도시이다. 전통적으로 소주에서는 관과 민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였던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명․청시대 이래로 소주의 신사층은 자신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교육과 구제(救濟)뿐만 아니라 지방의 정치에도 크게 관여해 왔다. 청말 소주의 신사층은 상회와 교육회(敎育會) 등 민간사단(民間社團)을 결성하여 지방의 행정과 공공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켜 나아갔다. 따라서 소주는 청조(淸朝)의 신정이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을 미쳐 온 지방에서 어떻게 굴절되고 변화되는가를 관찰하는 데에 있어서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무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官)과 신상(紳商)의 관계를 소주 치안조직의 방면에서 접근하였다. 청말 소주는 경찰과 상회가 공존하며 도시의 치안을 공동으로 유지시키고 있었다. 소주의 경찰과 신사층은 치안업무를 둘러싸고 복잡한 권력구조를 생성시켰다. 지금까지 이러한 경찰과 신사층의 권력관계에 주목한 연구는 일부 현이나 향촌 경찰을 사례로 연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소주의 경찰과 상회 두 치안조직의 권력구조가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이의 형성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게 된다면 청말 소주 치안조직의 이원구조(二元構造)가 중국 전체 도시에서 가지는 의미도 어느 정도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먼저 청말 소주 치안조직이 경찰과 상단이라는 이원화된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던 지역사적인 맥락과 원인을 규명하고, 치안조직의 이원구조 속에서 관상(官商)의 권한이 어떻게 배분되는가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소주 치안조직의 유형적 특징을 전국 주요 도시의 치안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추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으로 신사층이 강력한 영향을 미친 강남의 도시에서 경찰제도가 어떠한 방식으로 창설되어 뿌리를 내리게 되는지, 그것이 북방의 주요 도시와는 또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소주를 사례로 일정한 실마리를 얻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요컨대 본 연구는 청말 신정기 소주 경찰과 상단이 동시에 출현하게 되는 지역사적인 맥락을 검토하고, 두 치안조직이 병존함으로써 생성될 수밖에 없는 관(官)과 신(紳)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권한의 배분 즉, 권력구조와 그 변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접근방식과 일차적으로 구별된다. 또한 소주 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청말 중국 전체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 유형을 시야에 두고 비교 분석하여 그 유형적인 위상과 특성을 가늠해본다는 차원에서도 종래 연구와는 방법상에 차이가 있다.
    도시치안조직의 ‘권력구조’의 내용을 토대로 청말 소주를 분류해 보면 ‘북경형(北京型)’․‘천진형(天津型)’․‘소주형(蘇州型)’․‘상해형(上海型)’․‘제5형(第5型)’ 등 5대 유형 중의 대표적인 하나의 사례에 속하였다. 소주형 치안조직의 특성은 ① 치안조직기구: 경찰-상단, ② 설립 및 운영주체: 정부와 상회, ③ 권력관계: 경찰과 상단이 ‘대등한’ 관계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향후 본인이 장기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20세기 중국 경찰의 연구에 귀중한 초석이 될 것이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연구방법의 전환에 활용
    본 연구는 소주라는 특정한 도시의 치안조직을 분석단위로 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이를 중국 전체 도시와 비교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에서 주종을 이루어 온 도시를 분석단위로 하는 실증적인 연구방법에 더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고 전체적인 인식이 가능한 틀을 구성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연구자들의 ‘분업’을 통해 청말과 민국시대 주요 도시에 대한 경찰 연구가 축적되고, 경찰과 연관된 상회나 시정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20세기 중국 전체 도시 치안조직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의 토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 북경․천진․봉천․상해․성도․광주․무창․한구 등 도시사 연구가 활발해진 것에 힘입어 보다 통합적인 시각에서 도시의 치안조직을 연구할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치안조직 연구가 실증적인 차원에서 비교 및 통합적인 차원으로 전환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영역의 확장과 활성화
    소주에서는 지방정부가 경찰 제도를 창설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신사층이 깊이 개입하였고, 신사층이 경찰조직과 독립된 민간치안조직인 체육회(상단)를 결성함으로써 도시치안조직의 이원화가 초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치안조직의 이원화 과정을 관신 권력구조 변천과정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종래 청말 신정기 관신관계(官紳關係)에 대해서는 교육개혁, 지방자치, 상회 등과 향촌사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을 뿐, 도시경찰을 소재로 관신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재적인 차원에서도 기존 관신관계 논의를 새로운 접근을 통해 활성화시키고, 그 범위가 확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연구의 불균형 해소
    소주 상단의 경우 자료의 발굴과 연구가 매우 활발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소주 경찰에 대해서는 자료 발굴과 연구 모두 저조한 실정이다. 소주 치안조직의 권력구조를 살펴보려는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보면 경찰조직에 대한 실증적인 작업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주 경찰에 대한 사료수집과 실증적인 분석을 선행하여 추진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청말 소주 경찰에 대한 신뢰할만한 연구의 결핍이 일정 정도 해소될 것으로 생각하며, 경찰과 상단이 견실한 사료적 토대 위에서 통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4) 현대 중국경찰 연구에 이론적 사례 제시
    현대 중국의 경찰조직은 지방에 따라 구성의 편차가 크고, 권력의 구조 또한 매우 상이하다. 중국의 경찰은 표면적으로는 고도로 중앙집권화된 국가경찰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실상은 지역적으로 분절되어 있어 중앙정부 차원의 통일적인 정책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현대 중국경찰조직의 양상은 청말과 민국시대 경찰조직의 그것과 놀라우리만큼 유사하다. 따라서 연본 연구는 현대 중국경찰조직에 대한 연구를 촉발하고 이론적으로 적절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신정(新政), 소주(蘇州), 경찰(警察), 상회(商會), 소상체육회(蘇商體育會)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