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랑스 하원 결선투표제와 정치적 효과 분석
Analysis of political effect on French house elections by two round runoff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5004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윤기석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자주 소개되고 있는 결선투표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 선거제의 정치적 효과를 논의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결선투표는 단순다수대표제와 마찬가지로 ‘승자독식’의 결과를 가져다주기에 위 제도와 유사한 측면이 있을 수 있지만 당선자가 민주적 정통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단순다수제의 문제를 극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는 제1차 투표에서 선거후보자가 절대 과반수의 표를 얻지 못할 경우 결선투표를 치르는데 일정한 기준의 표를 얻은 후보만이 결선투표에 진출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런 결과 당선자는 민주적 대표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투표제의 유용성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기존 결선다수투표제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대통령선거와 관련된 연구였다. 이를테면, 우리나라의 경우 결선투표는 대통령선거에서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이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소개하였고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는 주로 대통령선거에서 이 선거제도의 유용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의회수준에서의 결선투표 도입의 유용성과 정치적 효과 분석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진 않은 것 같다. 특히 결선투표의 정치적 효과로 이루어진 의회의 정당체계 균열에 관한 경험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며, 위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는 프랑스 제5공화정 의회 구성을 위해 치르는 결선투표의 제도적 성격과 제도의 정치적 함의를 구명하려는 데에 연구의 목표를 두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의 목표를 원활히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수행 기간 동안 자비부담으로 프랑스 현지 조사(1회)할 계획이며, 현지 조사과정을 통하여 정당 관계자와의 인터뷰 및 자료 수집을 통해 생산적인 연구결과를 얻고자 노력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과제수행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프랑스 결선투표제에 대한 조사연구가 드문 학계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자에게 선거연구 영역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본 연구는 프랑스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연구 활성화를 위한 학술적인 함의를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두 번째로는, 우리나라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하여 현재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개선 방향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논의의 폭과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차원에서 프랑스 사례 연구는 정책적 함의를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기대효과 중 가장 커다란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은 대학의 강의에서 비교정치의 교육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본다. 비교정치의 강의가 제도와 시스템 소개에만 국한되지 않고 경험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학부 및 대학원생에게 구체적으로 소개될 때 교육내용의 질 적인 수준제고는 물론이거니와 다양한 관점의 토론을 유도하여 내실을 기할 수 있는 비교정치 강의를 진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프랑스 총선결과(1986~2017)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결선투표의 정치적 효과를 설명하려는 데에 연구의 함의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결선투표의 일반 제도적 특징을 살펴보면서 1986년부터 2017년까지 치러진 총 8회에 거친 결선투표의 결과가 프랑스 정당시스템의 재편에 어떠한 효과를 주었는지를 검토한다. 물론 정당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선거 때마다 영향을 준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논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이 글은 결선투표와 정당시스템의 상호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려는 데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일찍이 듀베르제(M.Duverger)의 선거제 이론, 결선투표는 “다당제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연하고 종속적인 정당체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연구의 가설로 설정하여 결선투표와 정당체계의 분석, 그리고 이 선거제의 정치적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테면 결선투표는 정당연합을 촉진하는 기계적인 효과가 있으며, 군소정당은 대정당과 연합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하였는데 프랑스 사례에서는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지를 검토하려 한다. 그런데 이 연구에서는 선거제가 정당시스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락소․타게파라(Laakso and Taagepera)가 제안한 분파지수(index of party system fractionalization)의 산식을 활용하려 한다. 즉 락소․타게파라의 분파지수는 정당시스템에서 나타난 실효적 정당의 수를 구체적인 지표로 설명하는 것인데 이는 어떤 정당이 어떻게 다수의석을 차지하며 어떻게 정당권력을 획득하는가를 추론할 수 있는 좌표이기에 이를 통해 정당체계의 다당성 정도, 정당체계의 성격, 그리고 더 나아가 결선투표의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이용하려 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한 조사활동으로 본 연구는 프랑스 총선 결선투표의 정치적 함의를 구명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해외 주요 선진국 가운데 유일하게 결선투표로 총선을 치르고 있는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결선투표의 정치적 효과를 설명하려는 것이 주된 연구내용이다. 이를 위해 선거분석은 결선투표가 도입된 프랑스 5공화국 출범 첫 선거(1958년)부터 최근 2017년 엠마뉴엘 마크롱(E. Macron) 정부구성 후 치러지는 총선 결과(1958~2017)까지 포함하는, 총 15회의 선거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결선투표 결과가 프랑스 정당시스템의 재편에 어떠한 효과를 주었고 이에 따른 정치적 효과는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물론 정당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선거 때마다 영향을 준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논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결선투표와 정당시스템의 상호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려는 데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일찍이 모리스 듀베르제(M. Duverger)는 선거제 이론을 설명하면서 결선투표제는“다당제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연하고 종속적인 정당체계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테면 결선투표는 정당연합을 촉진하는 기계적인 효과가 있으며, 군소정당은 대정당과 연합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 후 많은 경험적인 연구에 의해 듀베르제의 이론은 보완되었다. 결국 듀베르제는 선거제와 정당체계의 관계를“제동기능(brake)과 가속기능(accelerator)”으로 비유하면서 선거제와 정당체계의 관계는 상호적 유연성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즉 동일한 성격의 선거제도라 할지라도 어떠한 규칙과 투표절차를 적용하였는가에 따라 정당체계의 다당성의 정도가 제한되거나 가속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선거제와 정당체계의 상호성을 분석하는 듀베르제의 이 이론은 선거제의 연구과정에서 경험 연구의 가설로 설정되어 다양한 논점과 이론을 만들어내었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조루즈 라보(G. LAVAU)는 다른 가설을 제안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정당체계는 역사적인 맥락과 사회·경제적인 맥락에서 형성되어지므로 선거제도는 그다지 연관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수의 선행연구가 이를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정당체계란 사회경제 균열구조를 반영하는 결과인데, 유권자는 자신이 속한 정체성에 따라 지지 정당을 선택하거나 이와는 다른 정당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결과로 정치구조가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정리하면, 상반되지만 유사성이 있는 뒤베르제와 라보의 이론은 선거제와 정당시스템 변화에 대한 풍성한 사유의 폭을 넓혀 주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위 두 이론을 선거제와 정당시스템 변화에 대한 유용한 이론적 가설로 설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랑스 총선 결과(총 15회)를 조사한 후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 영문
  • This article focuses on two fact analyzing the results of french house elections held in France from 1958 to 2017. First, It analyzes the political effects on the reseults of the elections gy two round runoff system. That is, it describes how the election rule effects the oarty system. Second, This paper speaks to the theory of Marice Duverger and Gorges Lavau, it have indicated the electoral system in relation to the party system is likely to be same as that of break and an accelerlator. It means because an electoral system tends to be a brake and accelerator according to some electoral apply. In this point, I propose that the rule of the electoral syse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s to the party system of french Parliament is explained by the biplolar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해외 주요 선진국 가운데 유일하게 결선투표로 총선을 치르고 있는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결선투표의 정치적 효과를 설명하려는 것이 주된 연구내용이다. 이를 위해 선거분석은 결선투표가 도입된 프랑스 5공화국 출범 첫 선거(1958년)부터 최근 2017년 엠마뉴엘 마크롱(E. Macron) 정부구성 후 치러지는 총선 결과(1958~2017)까지 포함하는, 총 15회의 선거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결선투표가 프랑스 정당시스템의 재편에 어떠한 효과를 주었고 이에 따른 정치적 효과는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물론 정당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선거 때마다 영향을 준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논점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결선투표와 정당시스템의 상호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적 효과를 분석하려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일찍이 모리스 듀베르제(M. Duverger)는 선거제 이론을 설명하면서 결선투표제는“다당제를 촉진하는 경향이 있으며 유연하고 종속적인 정당체계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테면 결선투표는 정당연합을 촉진하는 기계적인 효과가 있으며, 군소정당은 대정당과 연합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 후 많은 경험적인 연구에 의해 듀베르제의 이론은 보완되었다. 결국 듀베르제는 선거제와 정당체계의 관계를“제동기능(brake)과 가속기능(accelerator)”으로 비유하면서 선거제와 정당체계의 관계는 상호적 유연성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즉 동일한 성격의 선거제도라 할지라도 어떠한 규칙과 투표절차를 적용하였는가에 따라 정당체계의 다당성의 정도가 제한되거나 가속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조루즈 라보(G. LAVAU)는 다른 가설을 제안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정당체계는 역사적인 맥락과 사회·경제적인 맥락에서 형성되어지므로 선거제도는 그다지 연관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수의 선행연구가 이를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정당체계란 사회경제 균열구조를 반영하는 결과인데, 유권자는 자신이 속한 정체성에 따라 지지 정당을 선택하거나 이와는 다른 정당을 배제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결과로 정치구조가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과제는 위 두 이론을 선거제와 정당시스템 변화에 대한 이론적 가설로 설정하여 프랑스 결선투표제와 정당체계 재편의 변화 요인을 구명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과제수행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총선에 적용되고 있는 결선투표제에 대한 조사연구가 드문 학계의 현실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자에게 선거연구 영역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선거연구의 대상이 종종 영𐤟미 선거에 국한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본 연구는 프랑스 지역연구를 통해 선거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학술적인 함의를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두 번째로는, 우리나라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하여 현재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개선 방향으로써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논의의 폭과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차원에서 프랑스 사례 연구는 정책적 함의를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기대효과 중 가장 커다란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은 대학 강의에서 비교정치의 교육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본다. 즉 비교정치의 강의가 제도와 시스템의 소개에만 국한되지 않고 경험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학부 및 대학원생에게 구체적으로 소개될 때 교육내용의 질 적인 수준제고는 물론이거니와 다양한 관점의 토론을 유도하여 내실을 기하는 비교정치 강의를 진행할 수 있으리라 본다.
  • 색인어
  • 프랑스 총선, 결선투표제, 선거제와 정당시스템 재편, 영국화 다당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