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영어 명사 파생동사의 동의어 저지 규칙에 대한 의미 분석
A semantic study of synonymy blocking in English denominal verb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B5A07065027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민현석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품사전환을 거쳐 형성된 명사파생 동사들이 동의어 저지 원칙을 적용받지 않는 이유를 다의적 분석을 통해 고찰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어-형성 수단인 품사전환을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신조어의 무분별한 생성을 막는 저지 규칙의 적용에 대해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영어 신조어 창출 과정에 대한 생산성과 제약이라 두 가지 상반된 복합적 특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모든 어휘가 품사전환을 거쳐 신규 어휘로 창출되지 않는다는 점은 신조어 생성에 특정한 제약이 부과되는 양상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점은 결국 동일한 뜻의 단어가 해당 언어 안에 있을 경우, 품사전환을 통한 신규 어휘 파생이 저지되는 이른바 동의어 저지(synonymy blocking) 규칙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실제 용례들을 살펴보면, 그 의미가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단어 형성이 저지되지 않은 사례들이 포착되고 있다. 필자는 이처럼 저지 규칙을 넘어서, 품사전환을 통해 신규 어휘가 파생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이에 품사전환 사례중에서 가장 생산적인 도출형을 생성해내는 명사 파생동사(denominal verb)들을 중심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품사전환과 저지 규칙이 주로 형태론 분야에서 다루어져왔지만, 이를 의미론적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해본 다는 점에서 여타 다른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물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품사전환을 거치면서 기존의 어휘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신규 어휘가 파생되는 이유를 단순히 예외적인 사례로 간주하기 보다는 어떠한 개념 차이에서 신규 어휘가 등장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설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저지 규칙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영어 학습자가 어휘를 단순히 자의적 의미를 지닌 암기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신조어 창출 과정에 나타나는 어휘간의 의미 확장성 그로인한 의미 명세들 간의 관련성을 이해시키는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대표적인 품사전환(conversion) 사례인 명사파생 동사를 연구 주제로 삼은 목적은 품사전환은 기존 어휘의 형태를 변화를 시키지 않은 채, 신규 의미를 생성해 낸다는 점에서 보다 경제적인 어-형성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 예문을 보자.

    (1) a. I serarched it on Google.
    b. I googled it.

    예문 (1)은 명사 Google이 외현적 표지없이 동사 google로 전한되어 '검색하다‘라는 의미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품사전환은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른 어휘적 수요에 보다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구축 수단이다.
    두 번째, 품사전환이 효과적인 어형성-수단이라면, 무분별한 어휘의 생성을 막을 수 있는 기제로 저지(blocking) 규칙을 살펴볼 수 있다. 저지란 기존 어휘가 그것과 중복되는 의미를 지닌 신규 어휘의 생성을 저지하는 일종의 언어 규칙이다. 이러한 동의어 제약은 Arnoff(1976: 43-45)에 의해 제안되어 형태론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2) a. He had to stay in a hospital for a few days
    b. He was sent to prison for burglary.
    c. *He had to be hospitaled for a few days.
    d. *He was prisoned for burglary.

    Clark and Clark (1979: 798-799)에 따르면, 저지 현상은 파생을 통한 신규 어휘뿐만 아니라 품사전환을 통한 어휘 또한 적용을 받는다고 한다. 예문 (2a)와 (2b)의 명사 hospital과 prison은 (2c)와(2d)에서 보듯이 동사로 파생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미 어휘부에 동일한 의미를 지닌 hospitalize와 imprison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2)의 hospital과 prison이라는 품사전환을 통한 신규 어휘 생성이 저지된다.
    하지만 동의어 저지 제약은 몇 가지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3) a. He promised to sweep the floor.
    b. He promised to broom the floor.

    (3b)의 명사에서 동사로 전환된 broom은 ‘청소하다’의 의미로 신규 파생되었다. 저지의 원칙에 따르면, 기존의 어휘부에 존재하는 (3a)의 sweep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며 파생된 (3b)의 동사 broom의 생성을 저지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처럼 동의어 저지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사례들은 품사전환을 거친 명사 파생동사들 간에도 포착되고 있다.

    (4) a. He brushed his hair.
    b. He combed his hair.

    (4a)와 (4b)의 경우 각각 명사 brush와 comb에서 도출된 이른 명사 파생동사(denominal verb)로써, ‘(머리를) 빗다’라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둘 중 어느 어휘가 먼저 파생되어 어휘부에 자리잡았다면, 나머지 다른 어휘에 대한 파생을 저지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동의어 저지 제약을 보이지 않는다면, 저지 규칙의 전제 조건이 되는 대상이 되는 어휘들 간의 완벽한 동의성(complete synonym)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Plag(2003: 63-65)는 저지를 일으키는 기존의 어휘와 저지를 받는 신규 단어 간의 완벽한 동의성이 충족되지 않으면, 저지가 일어나지 않아 서로 다른 어휘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3)의 broom과 sweep의 사례에서 저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해석의 과정에서 보이는 사전적 의미들 간의 동의성은 저지를 일으킬만한 완벽한 동의성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해야 될지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이들에게 저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의미 차이는 무엇에 기인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명사 파생동사들이 갖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서 이들 사례가 표방하는 다양한 개념들에 대한 논의로 이끌리게 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가 대표적인 품사전환(conversion) 사례인 명사파생 동사를 연구 주제로 삼은 목적은 품사전환은 기존 어휘의 형태를 변화를 시키지 않은 채, 신규 의미를 생성해 낸다는 점에서 보다 경제적인 어-형성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 예문을 보자.

    (1) a. I serarched it on Google.
    b. I googled it.

    예문 (1)은 명사 Google이 외현적 표지없이 동사 google로 전한되어 '검색하다‘라는 의미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품사전환은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른 어휘적 수요에 보다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구축 수단이다.
    두 번째, 품사전환이 효과적인 어형성-수단이라면, 무분별한 어휘의 생성을 막을 수 있는 기제로 저지(blocking) 규칙을 살펴볼 수 있다. 저지란 기존 어휘가 그것과 중복되는 신규 어휘의 생성을 저지하는 일종의 언어 규칙이다. 이러한 동의어 제약은 Arnoff(1976: 43-45)에 의해 제안되어 형태론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2) a. He had to stay in a hospital for a few days
    b. He was sent to prison for burglary.
    c. *He had to be hospitaled for a few days.
    d. *He was prisoned for burglary.

    Clark and Clark (1979: 798-799)에 따르면, 저지 현상은 파생을 통한 신규 어휘뿐만 아니라 품사전환을 통한 어휘 또한 적용을 받는다고 한다. 예문 (2a)와 (2b)의 명사 hospital과 prison은 (2c)와(2d)에서 보듯이 동사로 파생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미 어휘부에 동일한 의미를 지닌 hospitalize와 imprison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2)의 hospital과 prison이라는 품사전환을 통한 신규 어휘 생성이 저지된다.
    하지만 동의어 저지 제약은 몇 가지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3) a. He promised to sweep the floor.
    b. He promised to broom the floor.

    (3b)의 명사에서 동사로 전환된 broom은 명사에서 동사로 전화되며 ‘청소하다’의 의미로 신규 파생되었다. 저지의 원칙에 따르면, 기존의 어휘부에 존재하는 (3a)의 sweep는 동일한 의미를 지니며 파생된 (3b)의 동사 broom의 생성을 저지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처럼 동의어 저지 규칙 적용되지 않는 사례들은 품사전환을 거친 명사 파생동사들 간에도 포착되고 있다.

    (4) a. He brushed his hair.
    b. He combed his hair.

    (4b)와 (4c)의 경우 각각 명사 brush와 comb에서 도출된 이른 명사 파생동사(denominal verb)로써, ‘(머리를) 빗다’라는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이 둘 중 어느 어휘가 먼저 파생되어 어휘부에 자리잡았다면, 나머지 다른 어휘에 대한 파생을 저지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동의어 저지 제약을 보이지 않는다면, 저지 규칙의 전제 조건이 되는 대상이 되는 어휘들 간의 완벽한 동의성(complete synonym)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Plag(2003: 63-65)는 저지를 일으키는 기존의 어휘와 저지를 받는 신규 단어 간의 완벽한 동의성이 충족되지 않으면, 저지가 일어나지 않아 서로 다른 어휘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3)의 broom과 sweep의 사례에서 저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해석의 과정에서 보이는 사전적 의미들 간의 동의성은 저지를 일으킬만한 완벽한 동의성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간주해야 될지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이들에게 저지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의미 차이는 무엇에 기인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며, 명사 파생동사들이 갖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서 이들 사례가 표방하는 다양한 개념들에 대한 논의로 이끌리게 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r is to reveal why synonymy blocking is not applied to some denominal verbs such as brush and comb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noun-to-verb conversion pairs. In this respect, this paper deals with two issues: conversion, one of the economical and productive word-formation rules for the creation of new words and synonymous blocking, restraint on generating redundant words. Blocking occurs when an existing word can only block a newly derived one if they are completely synonymous. Classical examples for blocking are the blocking of *stealer because of existence of thief. There are, however, some cases where blocking does not occur in noun-to-verb conversion pairs. Although a word sweep is a well-established word in the lexicon, a verb broom is derived from its parent noun form through conversion. Likewise, converted verbs brush and comb appearing to be synonymous do not block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anings of noun-to-verb conversion pairs in order to reveal the reason that synonymy blocking is overridden in denominal verbs. As an attempt to identify complete synonymy between existing words and derived words, this paper looks into three respects: how to capture conceptual contiguity between parent nouns and its derived verbs,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existing verbs and denominal verbs, and why conversion pairs like brush and comb appear to be synonymou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품사전환을 거쳐 형성된 명사파생 동사들이 동의어 저지 원칙을 적용받지 않는 이유를 다의적 분석을 통해 고찰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어-형성 수단인 품사전환을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신조어의 무분별한 생성을 막는 저지 규칙의 적용에 대해 논의를 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영어 신조어 창출 과정에 대한 생산성과 제약이라 두 가지 상반된 복합적 특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모든 어휘가 품사전환을 거쳐 신규 어휘로 창출되지 않는 점은 신조어 생성에 특정한 제약이 부과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점은 결국 동일한 뜻의 단어가 해당 언어 안에 있을 경우, 품사전환을 통한 신규 어휘 파생이 저지되는 이른바 동의어 저지 규칙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실제 용례들을 살펴보면, 그 의미가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단어 형성이 저지되지 않은 사례들이 포착되고 있다. 필자는 이처럼 저지 규칙을 넘어서, 품사전환을 통해 신규 어휘가 파생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이에 품사전환 사례중에서 가장 생산적인 도출형을 생성해내는 명사 파생동사(denominal verb)들을 중심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생산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어-형성 수단인 품사전환을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신조어의 무분별한 생성을 막는 저지 규칙의 적용에 대해 논의를 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영어 신조어 창출 과정에 대한 생산성과 제약이라 두 가지 상반된 복합적 특징을 다루고 있다.
    모든 어휘가 품사전환을 거쳐 신규 어휘로 창출되지 않는 점은 신조어 생성에 특정한 제약이 부과된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고, 이점은 결국 동일한 뜻의 단어가 해당 언어 안에 있을 경우, 품사전환을 통한 신규 어휘 파생이 저지되는 이른바 동의어 저지 규칙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실제 용례들을 살펴보면, 그 의미가 동일한데도 불구하고 단어 형성이 저지되지 않은 사례들이 포착되고 있다. 필자는 이처럼 저지 규칙을 넘어서, 품사전환을 통해 신규 어휘가 파생되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각의 단계에서 드러난 의문들에 대한 실마리를 풀어나감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어-형성 원리를 규명하는데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 나아가 품사전환과 저지 규칙이라는 조합의 연구는 주로 형태론 분야에서 다루어왔지만, 이에 대해 의미론적 분석을 시도해본 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물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품사전환을 거치면서 기존의 어휘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신규 어휘가 파생되는 이유를 단순히 예외적인 사례로 간주하기 보다는 어떠한 개념 차이에서 신규 어휘가 등장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 보다 근본적인 설명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저지 규칙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영어 학습자가 어휘를 단순히 자의적 의미를 지닌 암기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신조어 창출 과정에 나타나는 어휘간의 의미 확장성 그로인한 의미 명세들 간의 관련성을 이해시키는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동의어 저지, 명사 파생동사, 품사전환, 개념적 인접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