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제품 구매는 더 이상 미덕이 아니다:
친환경 제품의 구매동기와 구매 결정요인 연구 It is no longer a virtue for consumers to buy eco-friendly products.:
A study on motivation and decision factors influenced in purchasing eco-friendly products
첫째,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동기를 확인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미덕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와 달리 소비자의 이기적인 동기에 초점을 두어 친환경 제품의 구매 동기를 탐색한다. 소비자의 구체적인 욕구에 따라 이기적인 동기를 구체화하고 각각의 욕구에 따른 동기들 ...
첫째,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동기를 확인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미덕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와 달리 소비자의 이기적인 동기에 초점을 두어 친환경 제품의 구매 동기를 탐색한다. 소비자의 구체적인 욕구에 따라 이기적인 동기를 구체화하고 각각의 욕구에 따른 동기들을 탐색하여 이러한 동기들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한다. 둘째, 친환경 제품 구매 시 고려되는 요인이 구매동기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친환경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탐색하고, 구매 동기에 따라 결정요인들의 중요도가 달라지는 지를 확인한다. 셋째, 제품과 구매상황에 따른 친환경 제품의 구매동기를 확인하고자 한다. 제품의 특징을 관여도에 따라 고관여와 저관여, 사용목적에 따라 실용재와 사치재로 구분하고 제품 구매 시 중요한 구매 동기와 심리적인 특성을 탐색한다. 또한 주로 개인적 상황에서 소비되는 경우와 사회적 상황에서 소비되는 경우로 지각된 소비 상황을 나누어 상황적인 요인이 친환경 제품 구매 동기와 심리적인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친환경 소비자연구의 영역을 확대시켜줄 수 있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동기를 개인의 이타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이기적인 동기를 탐색함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친환경 소비자연구의 영역을 확대시켜줄 수 있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동기를 개인의 이타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이기적인 동기를 탐색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이 개인의 이기적인 동기역시 충족시켜줄 수 있음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동기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들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친환경 제품의 구매에 대한 태도와 실제 행동의 괴리를 설명하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친환경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는 많다. 하지만 실제로 친환경 제품의 판매성과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중요하게 되는 제품요인과 상황요인을 실제 검증함으로써 단순히 친환경 제품이라는 이유만으로 소비자들에게 구매될 수 없는 이유들을 심도있게 다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과 상황요인에 따른 구매 동기와 결정요인을 통합적으로 연구에 반영하여 현장검증을 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실무적인 시사점도 줄 수 있다. 첫째, 기업의 친환경 전략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타적인 목적보다 자신의 혜택을 추구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한다면 기업들이 훨씬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개인의 동기와 그에 따른 결정요인을 알 수 있다면 기업차원에서 소비자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지 실무적으로 유용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조사의 보고에서와 같이 적극적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할수록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의사가 높아질 수 있다(Nielson 2015).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친환경 마크를 부착하는 것과 같은 소극적인 커뮤니케이션도 구매성과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동기와 결정요인을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함으로써 기업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마케팅, 지속가능성 마케팅, 환경 경영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윤리적 소비 등 다양한 연구와 교육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윤리적 소비 중 특히 친환경 소비는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는 분야이다. 많은 연구들이 당위적인 입장에서 지속가능성을 이야기하고 환경친화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제적으로 소비자가 이를 공감하고 이행하지 않으면 이러한 전략은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실제적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게 하는가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관점을 바꿈으로써 더 실효성이 높은 전략을 추구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환경친화적인 의식이 당연시 될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동기를 탐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언급되고 있는 소비자의 미덕이나 죄의식에 초점을 두기보다 소비자의 이기적인 동기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다. 따라서 자기보고식의 정량연구 ...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동기를 탐색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언급되고 있는 소비자의 미덕이나 죄의식에 초점을 두기보다 소비자의 이기적인 동기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다. 따라서 자기보고식의 정량연구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심리적인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친환경 제품 구매 시 고려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타적인 동기에 초점을 둔 연구에서는 이타성을 반영하는 요인과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비자가 어떠한 장애 요인들을 고려하는지가 주로 연구되었다. 구매의 동기가 다르다면 구매를 하는데 있어 다른 요인들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 동기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구매상황에 따라 친환경 제품의 구매동기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의 특성보다 구매하는 제품과 상황에 따라 구매 동기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비롯한 기업의 친환경 제품 전략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친환경 제품 구매 동기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는 정량적인 연구방법보다 정성적인 연구방법이 더 적절하다. 마찬가지로 구매를 결정하는 요인 역시 정성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탐색을 하여 기존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결정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친환경 제품의 이기적 동기와 결정요인의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가 많지 않고 명확한 기준들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서 본 연구는 탐색적인 연구방법으로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과 심층면접법(depth interview)을 채택하고자 한다. 심층면접은 Spradley(1979)가 제시한 정성연구 방법을 따라 진행한다. 두 번째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첫 번째 정성 조사를 통하여 정립된 친환경 제품의 구매 동기와 결정요인을 바탕으로 정량연구를 진행한다. 정성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가 일반화가 가능한지 살펴보고 친환경 제품의 구매에 여러 가지 이기적인 동기들이 이타적인 동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다. 또한 동기에 따라 결정요인이 달라질 수 있는 지를 확인하고, 각각의 동기에 따라 중요한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두 번째 연구목적을 확인하고 세 번째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번의 실험을 진행한다. 첫 번째 실험은 고관여와 저관여 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동기와 결정요인을 확인한다. 두 번째 실험은 실용재와 사치재를 구매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동기와 결정요인을 확인한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개인적 상황에서 소비될 것이라 지각되는 경우와 사회적 상황에서 보시될 것이라 지각되는 경우에 소비자의 동기와 결정요인이 달라질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설문과 실험실 실험의 단점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는 확인할 수 있으나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특정 제품과 상황에서 실제 구매가 일어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친환경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기업의 제품들이 실제로 구매가 이루어지는 지의 현장 실험을 통해서 연구 1, 2, 3에서 주장한 바를 증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친환경 제품이 특정 소비상황(지각된 개인적 소비상황 vs. 사회적 소비상황)에서 특정 제품(고관여 vs. 저관여, 실용재 vs. 사치재)이 더 많이 구매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동기와 결정요인에 따라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212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모두 환경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212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모두 환경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기대와 다르게 이타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기적 동기는 이타적 동기보다 가격공정성 지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환경에 대한 태도와 가격공정성 지각은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문
This study results based on survey method with 212 consumers present severing important findings. First, both egoistic and altruistic motiv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egoistic motiv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i ...
This study results based on survey method with 212 consumers present severing important findings. First, both egoistic and altruistic motiv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egoistic motiv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ice fairness perception, but contrary to expectations, altruistic motivations have a negative effect on price fairness perception. Also egoistic motives have a greater impact on price fairness perception than altruistic motives. Third, environmental attitudes toward the have a positive effect on price fairness percep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attitudes and perceived price fair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많은 사회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동기적 ...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많은 사회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의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친환경 연구, 더 나아가 윤리적 소비 연구 분야의 많은 연구들이 동기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나, 개인의 도덕성이나 윤리적 자아 정체성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착한 소비자들만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전제하고 이타적 동기뿐만 아니라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이기적 동기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모두 환경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예상과 다르게 이타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기적 동기는 이타적 동기보다 가격공정성 지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환경에 대한 태도와 가격공정성 지각은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 구매의 동기와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이기적 동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친환경 제품의 구매결정 과정을 거치면서 친환경 제품 구매에 대한 태도가 학습될 수 있음을 제시해볼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연구되었던 친환경 소비자의 특성을 밝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연구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소비자의 더 큰 동기가 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는 첫째,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모두 환경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예상과 다르게 이타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기적 ...
연구결과는 첫째,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 모두 환경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기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예상과 다르게 이타적 동기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기적 동기는 이타적 동기보다 가격공정성 지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는 가격공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환경에 대한 태도와 가격공정성 지각은 친환경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첫째, 친환경 소비자연구의 영역을 확대시켜줄 수 있다.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친환경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동기를 개인의 이타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타성을 발휘하는 소비자는 항상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며 항상 이타적인 동기만으로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 이기적인 동기를 탐색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이 개인의 이기적 동기 역시 충족시켜줄 수 있음을 확인하고, 향후 이들의 동기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들을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친환경 제품의 구매에 대한 태도와 실제 행동의 괴리를 설명하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친환경 제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는 많다. 하지만 실제로 친환경 제품의 판매성과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격공정성을 검증함으로써 단순히 친환경 제품이라는 이유만으로 소비자들에게 구매될 수 없는 이유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실무적인 시사점도 줄 수 있다. 첫째, 기업의 친환경 전략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이타심을 발휘하여 친환경 제품을 구매한다고 가정하면 기업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동정심을 유발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타적인 목적보다 자신의 혜택을 추구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을 구매한다면 기업들이 훨씬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건강을 위해 제품을 구매한다고 하면,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식과 실제로 그러한 제품이 자신의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지를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개인의 동기와 그에 따른 결정요인을 알 수 있다면 기업차원에서 소비자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인지 실무적으로 유용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조사의 보고에서와 같이 적극적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할수록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을 인지하고 구매의사가 높아질 수 있다(Nielsen 2015).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 뿐만 아니라 친환경 마크를 부착하는 것과 같은 소극적인 커뮤니케이션도 구매성과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동기와 결정요인을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함으로써 기업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을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마케팅, 지속가능성 마케팅, 환경 경영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윤리적 소비 등 다양한 연구와 교육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윤리적 소비 중 특히 친환경 소비는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는 분야이다. 많은 연구들이 당위적인 입장에서 지속가능성을 이야기하고 환경친화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제적으로 소비자가 이를 공감하고 이행하지 않으면 이러한 전략은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실제적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게 하는가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관점을 바꿈으로써 더 실효성이 높은 전략을 추구하고자 하며, 이를 기반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환경 친화적인 의식이 당연시 될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