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보육 담론 분석
Discourse Analysis of Teacher-Caregiver Work in Child Ca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27886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임민정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신문기사의 논점 및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담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담론분석은 영유아, 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한 균형 있는 보육공동체 형성을 도모한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와 부모의 권리와 역할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애초기 경험을 제공하는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량이 핵심적인 요소를 차지한다(Urban, 2008). 보육교사의 일은 보호와 양육, 교육으로 규정되며,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돌봄을 포함한다. 현대가정의 교육기능이 약화되고 양육이 사회화되면서 보육교사들은 더 많은 돌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전문성을 갖추도록 요구받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사랑, 열정 등 정서적인 요인들이 배제되거나 누구나 할 수 있는 쉬운 일로 보육 전문성이 과소평가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특히 보육의 국가책임이 강조되면서 부모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이 약화되고 기관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자녀양육 행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 부모, 교사 모두가 만족하는 보육 현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부모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서로의 권리와 역할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2)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담론분석의 필요성
    보육교사가 수행하는 교사-양육자 일은 전문성의 입증인 동시에 어머니 역할을 대행하는 돌봄을 포함한다. 여성주의 연구들은 가부장적 모성규범이 여성의 일을 하는 보육교사와 어머니, 영유아 모두를 주변화 시키고 있음을 비판한다(곽윤숙, 2008; 김미애, 2011; 임부연, 최혜림, 2006; Sisson & Iverson, 2014).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개인의 사회적 교류와 거시적 사회문화 사이에 중재되는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 미흡한 점을 보인다. 담론분석은 “상징적 매개를 통한 사회적 행위와 그것의 물질화된 산물인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사회구조의 질서와 변동을 이해하려는 접근법”을 말한다(신진욱, 2011, p. 11).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우리사회 관점을 파악하고 보육기관과 가정 간 신뢰와 균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담론분석을 통해 미시와 거시구조 관계를 중재하는 상호작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부터 도출된 본 연구의 목적은 Gee(2014/2017)의 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사회적 논점과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신문기사에 나타난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거대 담화는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2) 보육교사와 어머니들의 언어에서 나타난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거대 담론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3) 교사-양육자 일에 반영된 형상화된 세계는 무엇이며, 보육 담론의 형성과 변형에 어떻게 연관되는가?
  • 기대효과
  • (1) 보육교사의 일에 대한 재개념화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보육교사 일에 대한 재개념화는 교사, 부모, 영유아 모두가 행복한 균형 있는 보육공동체의 조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2) 부모역량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어머니들의 담론은 부모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정책 수립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3) 안심보육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사-부모 간 협력과 균형을 위한 신뢰구축방안은 안심보육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여 실행을 강화할 것이다.

    (4)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교육의 콘텐츠 제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보육 담론은 보육교사의 인성교육, 학부모 의사소통 등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것이다.

    (5) 담론분석에 관한 연구방법론적 이해 제공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와 논의는 담론분석을 적용한 후속 연구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방법론적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신문기사의 논점 및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담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중점 내용과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내용
    가. 신문기사의 논점 분석
    보육교사의 교사-양육자 역할수행과 관련한 신문기사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적 논점을 의미하는 거대 담화(Big C Conversations)를 도출할 것이다.

    나.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담론 분석
    보육교사(기관장 포함)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여 텍스트에서 사용된 거대 담론들을 살펴볼 것이다. 거대 담론(Big D Discourses)이란 사회적으로 승인되는 특정 정체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와 행동을 말한다. 또한 신문기사 비평을 통해 거대 담화에 대한 참여자들의 의견과 평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 중재 작용 분석
    교사-양육자 일에 투사된 형상화된 세계를 파악하고, 보육 담론의 형성과 변형에 어떻게 연관되는지 중재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는 개인이 세상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전형된 방식을 반영하며 특정 사회에서 작동하는 정치학과 연관된다.

    라. 보육공동체를 위한 시사점 도출
    담론분석을 통해 얻어진 지식과 개념을 토대로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하고, 교사-부모 간 협력과 균형을 제고하는 신뢰구축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2) 연구방법
    가. 문헌 연구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보육체계에 대한 정책 내용 및 변화 추이를 수집할 것이다.

    나. 신문기사 분석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논점, 즉 거대 담화를 분석하기 위해 4종의 일간지를 선정하여 관련 기사를 검색할 것이다. 수집된 기사는 주제별로 분류된 후 연관된 상위주제로 범주화하여 거대 담화 목록으로 도출될 것이다.

    다. 개인 면담
    ① 연구 참여자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보육 담론을 분석하기 위해 보육교사 5~10명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낸 경험이 있는 어머니 5~10명, 보육기관 원장 2~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할 것이다.
    ② 심층 면담
    반구조적인 면담 질문을 기초로 하여 개인별 2~3회의 심층 면담을 실시할 것이다. 심층 면담 초기에는 배경, 어린이집 경험, 업무 및 양육에 대한 생각을 묻는 일반적인 질문을 제시하고, 점차 구체적인 사례와 의미를 파악하는 면담을 진행할 것이다.
    ③ 기사 비평
    거대 담화가 포함된 교사-양육자 일에 관한 기사를 선정하여 참여자들의 생각을 묻는 기사 비평을 실시할 것이다.

    라. 자료 분석
    담론분석은 언어를 통해 구성되는 현실세계에 주목하고, 이러한 만들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맥락에서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거대 담화, 거대 담론, 형상화된 세계에 기초한 분석 작업이 수행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확대되면서 영유아 및 가정을 위한 보육 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하여 신문기사와 TV뉴스에서 보도된 담론을 살펴보고,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통해 텍스트의 언어 작용과 보육교사 담론이 구성하는 이념과 실제를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보육교사(기관장 포함)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여 텍스트에서 사용된 거대 담론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보육교사에 대한 담론은 “보육교사, 보육서비스, 아동학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보육교사에 대한 우리사회의 논점을 반영하는 거대담화로 간주되었다. 보육교사 담론으로 분류된 70편의 보도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들은 지도관리가 필요한 규제의 대상으로 승인되어 영아보육에 대한 전문성을 배제 받고 있었다. 보육교사 담론에서는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처우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았으나 노동자로서의 권리 보장과 교사로서의 책무 간에 이중 잣대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와 어머니 면담을 통해 전문성 수행에 대한 거대담론을 분석한 결과 '승인, 거부, 협상'되는 정체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모성, 돌봄, 여성노동'의 형상화된 세계와 연관된 보육교사 전문성과의 중재작용이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는 양육자 정체성을 지니고 모성을 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교사-양육자로서 중첩된 전문성을 요구받으며 이중으로 소외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 영문
  • The pro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and families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in Korean society, as women laborers are necessarily required in sustaining the economy. This study examined how childcare teachers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Korean news by utilizing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news. The study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nursery teachers (including heads of institutions) and mothers to examine their perspectives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child care. Gee’s approach was adopted as a tool of inquiry into the details of language used in the texts and into what the discourses intend to accomplish in the world by the way in which they have used language. First, the results from the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news identified three major big C conversations focused on “childcare teacher, childcare service, and child abuse.” The detailed analysis on language used in the texts revealed disciplined, marginalized, and self-sacrificial discourses of childcare teachers, being conceptualized as subcontracted mothers. A double standard was at work between laborer wellbeing and teacher accountability in the discourses of wage and working conditions for childcare teachers. Second, after analyzing the big C discourses about professional performance through interviews with the nursery teacher and mothers, three identity formation of 'approval, rejection, negotiation' were recognized.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childcare teacher professionalism related to three types of figured worlds 'maternal, caring and female labor' were identified. These discourses may contribute to the childcare teachers’ ambiguous professionalism complicated by teaching and caring, consequently imposing a normalized assumption that their professional alienation taken for gran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신문기사의 논점 및 보육교사와 어머니의 담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와 관련된 70편의 신문기사와 TV뉴스보도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교사-양육자 역할수행과 관련한 거대 담화(Big C Conversations)를 도출하였다. 또한 9명의 보육교사 및 9명의 어머니들과 면담을 수행하여 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거대담론과 형상화된 세계를 분석하였다. 거대 담론(Big D Discourses)이란 “특별한 종류의 정체성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언어, 행동, 상호작용, 신념, 가치판단, 다양한 상징과 도구, 대상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Gee, 2014/2017, p. 77). 거대 담론의 핵심은 승(recognition)이며, 보육교사와 어머니들의 면담 텍스트를 중심으로 맥락화된 정체성과 활동들을 수행하고 승인받는 방식이 분석되었다. 형상화된 세계(figured worlds)는 “사람, 활동, 사물, 상호작용에 있어서 무엇이 전형적이거나 정상적인가의 생각이 반영된 단순화된 세계 이론”을 뜻한다(Gee, 2014/2017, p. 336). 형상화된 세계는 특정한 역할, 행위자, 행동을 승인하고 의의를 부여하는 사회문화적인 방식을 드러낸다(Holland, Lachiocotte, Skinner, & Cain, 1998). 이러한 형상화된 세계는 적절한 태도, 관점, 믿음 등에 관한 가치판단의 전제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특정 사회에서 작동하는 포함과 배제의 정치학과 연관된다. 이와 같은 이론적 전제 하에 신문기사 및 TV뉴스 보도에서 나타난 사회적 논점을 분석하고, 보육교사와 어머니 면담을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수행에 관한 거대담론 및 형상화된 세계의 중재작용을 살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신문기사 및 TV뉴스 논점 분석
    보육교사와 관련하여 신문기사와 TV뉴스에서 보도된 기사내용을 주제에 따라 범주화하여 분류한 결과, 보육교사, 보육서비스, 아동학대의 3 가지 담론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같은 거대담화에 내재된 이념적 가정은 전문성 담론에서의 영아보육 소외 및 보육노동에 대한 이중잣대의 전제로 분석되었다.

    (2) 보육교사와 어머니 담론 분석
    보육교사와 어머니 면담을 통해 전문성 수행에 대한 거대담론을 분석한 결과 '승인, 거부, 협상'되는 정체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모성, 돌봄, 여성노동'의 형상화된 세계와 연관된 보육교사 전문성과의 중재작용이 분석되었다.

    2. 활용방안
    (1) 보육교사의 일에 대한 재개념화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담론분석은 기관보육에 대한 우리사회의 전제, 가치판단, 믿음, 정치학적 맥락을 드러내어 새로운 개념정립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보육교사 일에 대한 재개념화는 교사, 부모, 영유아 모두가 행복한 균형 있는 보육공동체의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2) 부모역량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교사-양육자 일에 대한 보육 담론은 부모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어머니들의 담론은 부모지원 정책 수립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요구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3) 담론분석에 관한 연구방법론적 이해 제공
    담론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는 교육학 및 미디어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보육 및 유아교육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와 논의는 담론분석을 적용한 후속 연구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방법론적 이해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보육교사, 교사 전문성, 담론 분석, 보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