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술과 관계 맺기: 지능형 가상비서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연구
Longitudinal chang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onsumer response to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27974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6 개월 (2018년 05월 01일 ~ 2021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진명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의 배경
    지능형 가상비서(Intelligent Virtual Assistant, 이하 IVA)는 인공지능 기술의 플랫폼으로서 소비자가전, 상거래, 자동차, 로봇, 의료, 교육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우리의 생활 속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Santos et al., 2016). 2017년 기준 미국 가정의 15.3%가 아마존 알렉사를 탑재한 에코,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구글홈 등 스마트홈 IVA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가정 보유율이 절반가량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Forrest, 2017. 10. 23). 우리나라에서도 2016년 하반기부터 SK텔레콤의 누구(Nugu), KT의 기가지니(Giga Genie) 등 IPTV 업체의 셋톱박스형 IVA와 네이버 프렌즈, 카카오미니 등 IT 업체의 스피커형 IVA가 출시되어 스마트홈 허브로서 검색, 쇼핑, 금융, 엔터테인먼트 등의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IVA가 진화하며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소비자학 관점의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진정한 의미의 혁신은 기술이 소비자에게 수용된 후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 만족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때 실현될 수 있다(Lee et al., 2015). 그러한 측면에서 현재 산업계 및 사회 전반에 최대 화두인 IVA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이해하는 것은 기술과 소비자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기술개발, 마케팅 등 관련 산업계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양극화, 보안과 프라이버시 위험, 통제권 상실, 인간가치 훼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IVA가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Easwara Moorthy & Vu, 2015; Parnas, 2017).

    -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술과의 ‘관계 맺기’에 초점을 두고 IVA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인공지능 기술과 소비자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 그러한 관계가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IVA의 연결성에 초점을 맞춰, IVA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탐색하고 본질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이 IVA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둘째, IVA의 음성구동에 초점을 맞춰, IVA 사용 맥락과 소비자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IVA 사용이 소비자의 내적상태를 매개로 확산되는 경로를 파악한다.
    셋째, IVA의 지능성에 초점을 맞춰, 공동체성과 대리성의 차원에서 소비자와 IVA 간 관계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 및 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한다.
    넷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IVA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계열의 정성적, 정량적 자료를 분석하여 종단적으로 확인한다.

    - 연구의 독창성
    본 연구는 (1) 소비대상물로서 IVA가 갖는 독특한 특성들에 주목하여 소비자의사결정 및 경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 (2) 기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의 부정적 요인 중 일부만을, 주로 수용 단계에서 살펴본 것과 달리 수용, 사용, 확산 및 소비자 소외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 관점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역기능을 총체적으로 탐색한다는 점, (3) 학제적 접근을 통해 소비자학, 커뮤니케이션, 경영정보,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이론들을 통합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실증한다는 점, (4) 심층면접, 내러티브 분석 등의 정성분석방법과 설문조사, 텍스트 마이닝 등의 정량분석방법을 결합하여 연구주제에 접근한다는 점, (5) 시장 초기 단계부터 IVA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종단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증진한다는 점에서 연구주제 및 방법론적 독창성과 차별성을 확보한다.
  • 기대효과
  • - 소비자학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기여
    본 연구는 소비자와 IVA 간 관계의 형성, 발전, 결과, 변화 등을 총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소비자학의 이론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한다. 특히 연결성, 음성구동, 지능성 등 IVA의 독특한 특성들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반응을 탐색하고, 이론적 모형 및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새로운 소비자의사결정 및 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관련 연구의 확산을 꾀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IVA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변화추이와 그 영향요인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소비자와 기술 간 관계맺음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실증적 틀을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보다 풍부하고 명확하게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정보경영, 심리학 등의 이론을 융합하고, 정성적, 정량적 방법론들을 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기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이해하고 조사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정책개발 및 기업 전략수립에의 실무적 기여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소비자 후생이 극대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우려, 혼란,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감정과 격차, 통제 상실, 소외 등 여러 문제들을 파악하고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기술발전과 개인의 복지개선의 균형점을 찾고자 하는 정부의 시장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질 IVA의 편익과 위험요인, IVA 수용에의 촉진 및 저해 요인 등은 IVA 및 인공지능 기반 제품/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의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에도 실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소비자가 IVA를 얼마나 통제하고 싶어 하는지, IVA를 얼마나 신뢰하고 의존하고 싶어 하는지를 탐색한 연구결과는 소비자 지향적 인공지능 기술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와 기술의 장기적, 우호적 관계 정립에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적정 수준의 기술’, ‘이로운 기술’을 개념화하는데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산업계에 공헌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교육적 활용 및 인력양성에의 기여
    본 연구의 결과물은 기술 발전과 소비자 후생의 연관성에 대한 이론적 체계 정립 및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의성 높은 대학 및 기업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소비자와 기술의 관계는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주제를 토론, 문제해결학습, 종합설계 등의 창의수업에 접목시킬 것이며, 연구자는 소비자와 기술에 관한 학부 및 대학원 수준의 교과목 개발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자료는 소비자 교육 및 홍보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자는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과 더불어 연구보조원들과 정기적으로 모여 연구 아이디어와 수행결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회에서의 소비자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연구인력 및 실무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과제는 IVA의 빠른 발전과 확산 속에서 기술 사용자인 소비자의 후생 증진을 궁극적 목표로 인식하고, IVA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소비자와 IVA의 관계 맺기에 초점을 두고, ‘관계의 형성’을 탐구하는 <연구 1>, ‘관계의 발전’을 탐구하는 <연구 2>, ‘관계의 결과’를 탐구하는 <연구 3>, ‘관계의 변화’를 탐구하는 <연구 4>의 네 개 소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연구 1> IVA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수용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1차년도에는 IVA에 적용되는 규모의 경제와 네트워크 효과에 주목한다. 네트워크 외부성 이론과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혜택과 희생 차원에서의 IVA 본질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이 IVA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와 IVA 간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IVA 조기수용자와 잠재수용자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모집한 후, 심층면접을 통해 IVA의 혜택 및 희생 요인, IVA 수용에의 촉진 및 저해 요인 등을 탐색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연구 2> 소비자의 IVA 사용 맥락, 경험, 확산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2차년도에는 소비자들이 IVA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맥락과 수준, 구체적인 경험을 탐색한다. 자극-유기체-반응 모델(S-O-R)을 적용하여 IVA 사용 자극이 소비자 만족, 친밀감, 신뢰, 인지된 잠금 등의 내적상태 및 미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와 IVA 간 관계가 어떻게 지속되고 발전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1차년도와 동일한 연구대상과의 심층면접과 에세이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세부변인들을 확정할 것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연구 3> 소비자–IVA 관계 유형과 결과에 관한 연구
    - 연구내용: 3차년도에는 IVA가 지능을 갖추고 소통할 수 있는 대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Hoffman과 Novak(2017)의 소비자-대상(object) 관계 모형을 토대로 IVA와 소비자 간 관계를 정서적 공동체성과 기능적 대리성의 차원에서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 및 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규명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와 IVA 간 관계가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심층면접과 에세이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세부변인들을 확정할 것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연구 4> IVA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종단적 변화 연구
    - 연구내용: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술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활용의 변동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하여(Venkatesh & Davis, 2000), IVA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와 IVA 간 관계의 변화추이와 그 원인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1차년도의 조기수용자, 잠재수용자가 연구기간 동안 사용자, 사용중단자, 지속보류자로 변화한 과정을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웹상의 IVA 관련 소비자 게시글을 주요 시점별로 분석함으로써 이성과 감성의 측면, 긍정과 부정의 측면에서 IVA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변화추이를 큰 틀에서 파악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 활용, 만족 및 문제에 관한 이론적 깊이를 더하고, 기술의 진보가 소비자 후생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며, IVA 기술개발 및 마케팅 분야 실무자들에게 가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변화와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발전과 확산 속에서 기술 사용자인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소비자의 후생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 인식을 탐색하고, 인공지능 비서의 특성 변인과 네트워크 외부성 변인이 소비자의 인공지능 비서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비서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비서의 특성인 편리성, 지능성, 오락성, 공감성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인 사용자 수, 호환성 지각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긍부정적 반응을 양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출하고, 소비자 양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먼저, 심층면접을 통해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 기능적 양가성, 정서적 양가성의 세 가지 소비자 양가성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양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인공지능 비서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인공지능 비서를 사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소비자 집단이 도출되었고, 소비자 집단별로 인지된 혜택과 비용 요인들이 소비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수용 및 사용 행동에 관한 이론적 깊이를 더하고, 기술의 진보가 소비자 후생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며, 소비자 수용을 촉진하는 기술 관련 마케팅 전략 개발에 있어 가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s technology user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consumer welfare in the rapid development and spread of AI technology by identifying changes in consumer response to AI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factors.
    In the first year, the general perception of consumers on the attributes of AI was explored, an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AI assistants and network externalities on consumers' intention to accept AI assistants was investigated.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non-users of AI assist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intelligence, entertainment, empathy, number of users, and compat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
    In the second year, consumers' responses to AI assistants were conceptualiz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ambivalence, the level of consumer ambivalence was identified, and the influence of consumer ambivalence on the intention to accept AI assistants was investigated.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ree consumer ambivalences were derived: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ambivalence, functional ambivalence, and emotional ambivalence for AI assistant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bivalence in using persona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whereas emotional ambivalence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third year, consumer group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AI assistants, an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I assistants were identifi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currently using AI assist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consumer groups were derived based on network exter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perceived benefits and cost factors on consumers' continued use intention were confirmed for each consumer group.
    This study adds theoretical depth to consum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of AI technology and seeks policy measures to advance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consumer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related marketing strategies that promote positive consumer respon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환경에서 소비생활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관한 학술적 접근이 주로 이공분야에서 수행되며 기술을 경험하는 소비자 관점에서의 연구가 제한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두고 3년에 걸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변화와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발전과 확산 속에서 기술 사용자인 소비자의 후생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 인식을 탐색하고, 인공지능 비서의 특성 변인과 네트워크 외부성 변인이 소비자의 인공지능 비서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비서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비서의 특성인 편리성, 지능성, 오락성, 공감성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인 사용자 수, 호환성 지각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소비자의 긍부정적 반응을 양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도출하고, 소비자 양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 양가성이 인공지능 비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먼저, 심층면접을 통해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 기능적 양가성, 정서적 양가성의 세 가지 소비자 양가성을 도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개인정보 활용 양가성은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서적 양가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년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비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인공지능 비서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인공지능 비서를 사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크 외부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소비자 집단이 도출되었고, 소비자 집단별로 인지된 혜택과 비용 요인들이 소비자의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독창성과 차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대상물로서 인공지능 기술이 갖는 독특한 특성들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해당 특성들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통합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술과 소비자 행동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였다. 둘째 네트워크 외부성 이론, 가치기반 수용이론, 사용-확산모형 등 기술과 소비자 행동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적용하여 인공지능 기술의 수용 및 사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실증하였다. 셋째, 지각된 위험 및 양가성(ambivalence) 이론을 적용하여 기존 연구에서는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인식을 균형 있게 고찰하고,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 저항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수용 및 사용 행동에 관한 이론적 깊이를 더하고, 기술의 진보가 소비자 후생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며, 소비자 수용을 촉진하는 기술 관련 마케팅 전략 개발에 있어 가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결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및 비사용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자유연상, 사용 경험 등을 탐색한 연구결과는 인공지능에 대한 소비자의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인식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소비자들은 인공지능이 편리하고, 재미있고, 공감이 가능한 기술로서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현재의 기술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호환성과 유용성이 낮고, 신뢰하기 어렵다고 인식하며, 소비선택에서의 주체성 상실을 우려하고 있었다. 이러한 질적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 관련 주요 변수의 척도개발 및 소비자 지향적인 기술개발 요건을 제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지능형 서비스의 수용/사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연구결과는 기술 관련 소비자 행동에 관한 후속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기 수행연구의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인공지능의 특성, 기술서비스 특성, 소비자 특성, 상황적 조건, 네트워크 외부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적 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비서를 비롯하여 금융서비스, 무인화 기기, 1인 미디어, 사물인터넷 등 지능형 서비스로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술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한 소비자 의사결정 모델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다.
    셋째, 지능형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감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인공지능을 수용 및 사용하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파악하고 잠재적 문제를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인공지능에 대해서 소비자는 낯설어 하고 변화하기보다는 현재를 고수하려는 관성이 강하게 작용한다. 또한, 지능형 서비스는 개인정보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관련 위험을 지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환경에서 지불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인공지능, 인공지능 비서, 인공지능 스피커, 지능형 가상비서, 네트워크 외부성, 기술수용, 소비자 양가성, 지각된 위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