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우리나라의 경우 최대 수출국이다. 그 다음으로 미국, 홍콩, 베트남, 일본 순이다. 또한, 최대 수입국도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순으로 전체적인 교역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미국과 함께 3대 교역국에 속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다.
최근 ...
중국은 우리나라의 경우 최대 수출국이다. 그 다음으로 미국, 홍콩, 베트남, 일본 순이다. 또한, 최대 수입국도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순으로 전체적인 교역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미국과 함께 3대 교역국에 속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다.
최근 무역원활화와 관련하여 AEO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AEO 관련 연구 논문은 많이 다루어졌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파트너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조금 미흡하고 실태조사 방법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한국, 중국, 일본과의 관계에서 AEO 제도가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먼저 연구를 하고, 그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통해 AEO 제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 관계에서 AEO의 실효성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진행을 할 것이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의 AEO 제도에 대한 문헌을 참고한다. 중국과 일본의 관세청 사이트를 먼저 활용하여 AEO 관련 제도의 구체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또한, WCO 사이트에 기술되어 있는 무역원활화의 각종 제도와 AEO의 활용 사안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이와 같은 AEO의 구체적인 이론 사항을 통해 향후 인터뷰, 실태 조사의 근거로 삼는다.
둘째, 각 관련 분야별 전문가의 활용이다. 중국과 일본의 무역, 통관, AEO 등과 같은 제도의 문제는 그 특성상 여러 가지 분야가 동시에 복합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국제법과 국내법의 해석 등을 위해 법률 및 관세전문가를 적극 활용할 것이다.
셋째, 상기에서의 AEO 제도 이론 연구,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및 실태 조사를 근거로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한국, 중국, 일본의 AEO 제도 연구와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AEO 정책과 활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