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중일 AEO 제도와 실효성 제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EO Regime and Effectiveness of Korea, China and Japa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8-2018S1A5A8029022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홍재성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에는 FTA가 다각도로 진행되었고 운송수단의 효율화와 다국적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급속도로 진전되었다. 이러한 환경은 세계 경제의 분업화를 가속시켰다. 분업화로 인해 일국의 상품이 타국의 국경을 넘는 횟수가 증대하였고 그러한 환경에서 무역원활화의 효율성이 부각되고 있다.
    무역원활화는 무역 전반의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부상하였고, 그에 대한 효율성이 일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거대하다.
    이와 같은 세계 경제 환경에서 본 연구는 무역원활화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AEO 활용 사례, 인식 등을 연구 하고자 한다. 또한, 대상은 한국과 문화의 괴리가 적고,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교역량이 매우 많은 중국과 일본에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과의 관계에서 AEO 제도가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먼저 연구를 하고, 그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통해 AEO 제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 및 경제적 기여도가 가장 크겠지만 학문적 기여도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2001년 미국의 테러를 기점으로 무역안전 강화를 목적으로 WCO, 미국, EU 등 각 국가들은 자국의 실정과 국제법에 부합되게 제도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국제 규범의 이해도 필요하지만 각국에 제정되어 있는 AEO 관련 안정화 제도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무역은 상대국의 문화, 정치, 경제 상황도 중요하지만 국내법의 체계도 명확하게 인지하여야만 수입되어 들어가는 과정에서 문제가 초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과 일본의 AEO, MRA 관련 규범의 구체적인 인지는 물론 현재 한국의 AEO 제도가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사례를 통해 비교 연구하기에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일조할 것이라 기대한다.

    2. 연구결과의 사회적(경제적) 기여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진행하지만 다른 연구들과 달리 사례연구와 기업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기에 향후 더욱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사회적 기여도는 클 것이다.
    중국과 일본은 한국과 가장 많은 교역을 하는 국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 일본은 물론 기타 다른 국가들도 자국의 안전을 위해 통관 절차를 까다롭게 하였다. 통관 절차는 각국의 국내법에 규정되어 있는 절차법으로 각 나라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엄격해 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자국은 물론 타국에서도 통관 절차를 이행하는데 애를 먹고 있는 실정이다.
    통관 절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로 본 연구에서는 AEO를 다각도로 연구한다. 특히 문헌 연구를 통해 한중일 AEO 제도를 비교한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기업들이 AEO 제도를 이용하면서 얻게 되는 이익과 비용의 차이를 연구한다. 사례 분석을 통해 불필요한 비용을 감경할 수 있다면 경제적으로 기여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EO 제도에 대한 인식(홍보) 조사를 통해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 또한 기업들이 AEO 사용에서 어려운 점이나 불편한 점 등을 개선하여 이용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기업들로 하여금 AEO 사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책은 통관상의 비용 경감으로 이어질 것이고 그로 인해 경제적으로 기여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중국은 우리나라의 경우 최대 수출국이다. 그 다음으로 미국, 홍콩, 베트남, 일본 순이다. 또한, 최대 수입국도 중국, 일본, 미국,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순으로 전체적인 교역에서도 중국과 일본은 미국과 함께 3대 교역국에 속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파트너이다.
    최근 무역원활화와 관련하여 AEO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AEO 관련 연구 논문은 많이 다루어졌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파트너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조금 미흡하고 실태조사 방법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한국, 중국, 일본과의 관계에서 AEO 제도가 얼마만큼의 실효성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먼저 연구를 하고, 그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통해 AEO 제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한중일 관계에서 AEO의 실효성 연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진행을 할 것이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의 AEO 제도에 대한 문헌을 참고한다. 중국과 일본의 관세청 사이트를 먼저 활용하여 AEO 관련 제도의 구체적인 사항을 이해한다. 또한, WCO 사이트에 기술되어 있는 무역원활화의 각종 제도와 AEO의 활용 사안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이와 같은 AEO의 구체적인 이론 사항을 통해 향후 인터뷰, 실태 조사의 근거로 삼는다.
    둘째, 각 관련 분야별 전문가의 활용이다. 중국과 일본의 무역, 통관, AEO 등과 같은 제도의 문제는 그 특성상 여러 가지 분야가 동시에 복합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다. 국제법과 국내법의 해석 등을 위해 법률 및 관세전문가를 적극 활용할 것이다.
    셋째, 상기에서의 AEO 제도 이론 연구, 기업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및 실태 조사를 근거로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한국, 중국, 일본의 AEO 제도 연구와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AEO 정책과 활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AEO 제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현재의 AEO 제도가 기업들에게 실효성이 있는지도 알아보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사례분석, 인터뷰 등을 실시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AEO 제도를 활용하는 업체들은 그렇지 않은 업체들 보다 통관 시간이 짧았다. 그리고 물류비도 감소하였다. 이것은 매출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한 결과 AEO 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비용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도를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AEO 제도의 장점과 보다 많은 혜택이 없다면 기업들은 AEO 제도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금보다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영문
  • This study studied the AEO system in Korea, China and Japan. It also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AEO system is effective for companies. In order to examine such effectiveness, a survey of companies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Case studies show that companies using the AEO system have shorter custom clearance times than those that do not. Logistics costs also decreased. This led to growth in sales. However, after interviewing SMEs, they were not aware of the AEO system and were not using the AEO system because of the cost. Without the advantages and more benefits of the AEO system, companies are not considered to have used the AEO system. Therefore, more concrete and realistic measures should be tak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AEO 제도의 비교와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분석을 하였다. 실태분석을 토대로 실효성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개선방안을 통해 AEO 제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사례분석, 인터뷰 등의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과 사례분석 결과 AEO 인증을 받은 업체들은 그렇지 않은 업체들 보다 화물의 통관에서 시간 단축과 물류비 절감 등으로 매출이 성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례 분석을 토대로 1차 실태분석을 중소기업과 영세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AEO 인증에 대한 인식 부족과 비용의 문제가 선결되지 않으면 인증을 받지 않겠다는 답변이 다수였다. AEO의 실효성은 있지만 인식의 전환과 직접적이고 보다 폭넓은 혜택이 없다면 구현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AEO 인증의 확산 방안은 더욱 구체적이며 많은 혜택의 고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과 일본의 AEO, MRA 관련 규범의 구체적인 인지는 물론 현재 한국의 AEO 제도가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업체들을 통한 실태조사를 통해 연구하였기에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학문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고 그에 대한 활용도도 높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지만 다른 연구들과 달리 사례연구와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도 진행하였기에 선행연구들보다 더욱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사회적 기여도는 클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물론 결과를 위한 자료들은 학부 수업은 물론 대학원 수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중국, 일본, 수출입안전관리우수공인업체, 통관, 중소기업, 무역원활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