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마을 만들기 사업의 주요 행위자간 상호작용의 특성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Stakeholder involv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8518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남재걸
연구수행기관 단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마을 만들기 정책사업이 ‘어느 일방의 주도에 의해 추진되는지?’, ‘행위주체들 간 상호작용의 정도는 마을 만들기의 성공적 추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1단계로 마을 만들기와 관련된 주요 행위자 그룹인 ‘정부’, ‘마을 주민 공동체’, ‘중간지원기관’들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개념적 분석틀은 트리플 힐릭스 모형(Triple Helix Model)을 활용하여 삼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1단계에서 확인된 상호작용의 특성이 마을 만들기의 성공적 추진과 어떤 관계가 있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총 6개 이상의 마을을 비교 분석하여, 주요행위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이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적 추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마을 만들기 정책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제공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마을 만들기 정책을 기획 및 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각 정책들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현장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전개되므로 마을 만들기 정책에 대한 분석·평가의 효과를 거둘 수 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트리플 힐릭스 모형의 발전적 제시
    국외의 많은 연구에 비하여 트리플 힐릭스 모형을 활용한 국내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트리플힐릭스 모형은 정부-기업-대학간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발전되었으며, 이러한 마을 만들기 관련 행위자에 대한 적용은 본 모형의 새로운 확장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본 모형의 다른 분야에 대한 적용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라는 측면에서도 발전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마을 만들기 추진과정의 변화를 설명
    본 연구는 마을 만들기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마을 만들기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는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을 만들기 사업을 주체간 상호작용성이라는 과점에서 정책적 시사점 제공
    기존의 관련 연구는 주민의 참여나 정부의 의지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주체들 상호간의 관계성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연구요약
  •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마을 만들기 사업의 주요 행위자인 ‘정부’, ‘주민공동체’, ‘중간지원기간’ 상호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개 마을 만들기 사업지역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주요 행위자간 상호작용의 특성이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사례 연구
    - 6개 이상 마을 만들기 사업지역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 1차 년도에 2-3개, 2차 년도에 3-4개지역을 조사할 예정임
    ■ 연구문제
    ◈ 1년차 연구
    <연구문제 1> 마을 만들기와 관련된 주요 행위자 그룹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1-1> 마을 만들기와 관련된 주요 행위자 그룹인 ‘정부(중앙 및 지방)’, ‘중간지원기관’, ‘마을 주민공동체’들 상호간의 갈등과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1-2> 세 행위자 상호간 갈등과 협력 요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
    ◈ 2년차 연구
    <연구문제 2> 사례 마을별로 <연구문제 1>은 어떠한 차별성을 나타내는가?
    <연구문제 2-1> 주요 행위자 그룹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마을 만들기의 성공적 추진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2>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과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정부, 지역공동체, 중간지원조직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6개의 지역공동체와 3개의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면대면 인터뷰를 통하여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2년간의 연구동안 정부와 지역공동체, 지역공동체와 중간지원조직, 중간지원조직과 정부간의 관계 뿐 아니라 지역공동체 조직 자체의 활동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analyse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regional communities, government officials and Intermediary Organisations. Six cases of regional commuties and three Intermediary Organisations were studied for emperical data, and the main methodology was qualatitive interview. For two years, this research studied not only the relationships amost the three stakeholders, but also reational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마을 만들기 사업이 ‘어느 일방의 주도에 의해 추진되는지?’, ‘행위주체들간 상호작용의 정도는 마을 만들기의 성공적 추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주요 행위주체를 식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마을 만들기 사업에서는 정부, 중간지원기관, 마을 주민공동체를 주요 행위자로 설정할 수 있다. 상호작용의 핵심을 갈등과 협력으로 조작화하여 세 행위자간 갈등과 협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어느 집단들 상호간의 어떠한 갈등이 존재하고 협력이 존재하느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게되면 그 상호작용의 배경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의 주요 행위자 집단을 정부·지역공동체·중간지원조직으로 식별하였고, 6곳의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 과정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공동체와 정부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그 바탕에서 상호간의 정보의 교류, 의사소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례에서는 공동체 사업의 비전을 분명히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의 자금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은 결과 수익 구조의 점진적 개선이 가능하였다. 다음으로는 지역공동체와 중간지원조직의 관계에서 중간지원조직은 일방적인 지원프로그램 보다는 지역공동체의 수요에 따른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단기적인 지원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역 주민의 역량에 따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와 중간지원조직은 지역공동체를 지원 하는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원은 행위자 상호간의 소통을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호작용을 증대하는 것이 일차적인 요건으로 보인다. 또한 사업초기 중간지원조직은 지역공동체 발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지원조직의 더욱 효율적인 업무 체계를 구축해야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지원적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더불어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상호교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마케팅·홍보·컨설팅·판로 등의 다양한 방면으로 지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지역공동체 사업의 성패는 관련 행위자간 소통의 장이 어느 정도 마련되느냐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없는 상태에서 만들어진 정부의 정책은 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공동체와 관련된 적절한 거버넌스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판매처 유지와 컨텐츠 개발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조사·연구·홍보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공동체 관계자의 역량 강화를 통한 자생능력 배양에 힘써야 하며, 지속가능한 공동체 실현을 위해 홍보 및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삼자가 서로 파트너십을 갖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셋째, 중간지원조직의 전문성을 높이거나 전문기관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공동체 운영 대상과 사업성격에 적절한 전문 인력 확충과 동원이 요구된다.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의 배양, 지속가능한 인력배치, 공동체 사업에 강력한 의지와 일에 대한 열성을 갖춘 인력의 충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공동체가 정부와 협력하여 사업추진 방식 및 제도 개선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공동체 각각에 맞는 탄력적인 제도적 방안의 모색과 함께 주민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주민의 조직화에 필요한 행정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겪어 나가면서 비대면(untact)사회에서 주민들의 공동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련사업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관심이 절실하고 이것은 지역공동체가 포용사회로 가는 적극적인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역할 재정립 논의
    - 본 연구를 통하여 공동체, 정부, 중간지원기관 상호관의 관계에서 중간지원기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며,
    - 현재 각종 공동체 활성화 과정에서 중간지원기관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확인됨.

    ○ 본 연구는 연구자의 기존 연구와 연관된 것으로 정부의 각종 공동체 정책에서 행위자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음.

    ○ 연구과정에서 만난 중간지원조직, 공동체 대표들과의 인적 네트워크는 향후 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마을 만들기, 주요 행위자, 중간지원조직, 상호작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