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통약자 유형별 교통인프라 만족도 및 개선욕구 분석 연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Analyz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Improvement Needs: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29096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윤대식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유형별 교통인프라에 대한 만족도와 불편사항을 분석하고, 아울러 교통약자의 유형별 교통인프라 개선욕구를 분석하여 향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시설 확충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가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교통약자들의 교통인프라 만족도와 불편사항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만을 활용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교통약자의 유형(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임산부, 장애인)별 교통인프라(보행시설, 여객시설, 교통수단)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욕구를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로 명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매우 부진했던 교통약자의 통행특성, 교통인프라 만족도, 교통인프라 개선욕구 등의 분석에서 새로운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아울러 선행연구들보다 더욱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의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특히 대도시의 정책당국자들이 교통약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유형별 교통인프라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욕구를 분석하여 향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시설 확충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유형(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임산부, 장애인)별 교통인프라(보행시설, 여객시설, 교통수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어떤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며, 순위형 프로빗모형(ordered probit model)을 활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유형(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임산부, 장애인)별 교통인프라(보행시설, 여객시설, 교통수단)의 개선욕구를 분석하기 위해 어떤 요인이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며,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활용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교통약자(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동반자)의 교통수단(시내버스, 도시철도, 일반택시, 특별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일반인과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내에 거주하는 교통약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내버스, 도시철도, 일반택시, 특별교통수단의 4가지 선택 가능한 대안을 가지는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연령, 성별, 직업 유무, 차량 소유 여부, 신체 상태, 교통약자 유형 등)은 설명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임산부 및 영유아동반자의 경우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교통약자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시내버스, 도시철도, 특별교통수단의 세 가지 교통수단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된 반면, 일반인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도시철도에 대한 개선욕구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일반인의 경우, 가구 내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된 반면, 교통약자의 경우,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개선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도 제시하였다.
  • 영문
  • This paper analyze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vel mode. The paper uses transportation handicapped’s survey data collected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Up to now,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vel mode.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Moreover, some empirical multinomi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vel mode. The empirical multinomial logit models were also estimated with non-transportation handicapped’s samples, and taste variations between transportation handicapped and non-transportation handicapped were compared.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교통약자(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동반자)의 교통수단(시내버스, 도시철도, 일반택시, 특별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일반인과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내에 거주하는 교통약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시내버스, 도시철도, 일반택시, 특별교통수단의 4가지 선택 가능한 대안을 가지는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연령, 성별, 직업 유무, 차량 소유 여부, 신체 상태, 교통약자 유형 등)은 설명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임산부 및 영유아동반자의 경우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교통약자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시내버스, 도시철도, 특별교통수단의 세 가지 교통수단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된 반면, 일반인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도시철도에 대한 개선욕구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일반인의 경우, 가구 내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큰 것으로 확인된 반면, 교통약자의 경우,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개선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교통수단(시내버스, 도시철도, 일반택시, 특별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일반인과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구광역시 행정구역 내에 거주하는 교통약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총 635부(장애인 95부, 고령자 107부, 임산부 109부, 영유아동반자 123부, 일반인 201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교통약자와 일반인의 교통수단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경제적 특성)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약자의 경우, 직장인은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클 것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임산부 및 영유아동반자의 경우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클 것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임산부와 영유아동반자를 비롯한 직장을 가진 교통약자들을 대상으로 시내버스 이용의 편리성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교통약자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시내버스, 도시철도, 특별교통수단의 세 가지 교통수단에 대한 개선욕구가 클 것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일반인의 경우, 신체적 어려움이 있으면 도시철도에 대한 개선욕구만 클 것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교통약자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여건이 열악하여 공공교통(public transportation)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시내버스, 도시철도, 특별교통수단 모두에 대한 개선욕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교통약자들을 위해서는 일반인들과는 달리 도시철도뿐만 아니라, 시내버스와 특별교통수단에 대해서도 불편사항을 면밀하게 확인하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철도의 경우에는 도시철도역의 계단 이용 및 환승 등의 불편 해소를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고, 시내버스와 특별교통수단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개선대안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인의 경우, 가구 내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 시내버스에 대한 개선욕구가 클 것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교통약자의 경우,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다. 교통약자의 경우에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일반적으로 교통약자들은 가구 내 차량 소유 여부와 무관하게 교통수단을 선택하고, 비록 가구 내 차량을 소유하더라도 그들 자신들이 직접 운전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교통약자는 가구 내 차량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공공교통에 주로 의존하고 공공교통에 대한 개선욕구가 높은 만큼, 교통약자를 위한 공공교통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색인어
  • 교통약자, 교통수단, 사회경제적 특성, 개선욕구, 다항로짓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