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비판적 다문화교육담론으로서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관한 연구: ‘풍류도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Multiculturalism as a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Discourse Based on the 'Pungryudo' Model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6092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6 개월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손원영
연구수행기관 한경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신학(기독교교육, 문화신학 등)과 종교학 등의 영역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문화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적 다문화주의로서의 ‘풍류도모델’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오랫동안 한민족의 역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한국인의 얼로 불리는 ‘풍류도’는 새로운 다문화시대에 부응하여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한 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풍류도를 중심으로 하여 비판적 다문화교육담론으로서의 한국적 종교평화모델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발생하는 새로운 한국그리스도인들의 자아정체성의 위기 극복의 단서를 ‘풍류도’에서 찾고, 더 나아가 남북의 평화통일도 풍류도를 기반으로 한 한국적 다문화주의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의 연구목표를 갖고 있다. 첫째, 최근 미국 트럼프정부의 등장 이후 제기되는 자국민우선주의에 따른 다문화주의의 위기 속에서 한국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다문화주의의 대안을 찾는 것, 둘째,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델로서 풍류도모델을 개발하고 그 토대 위에서 한국인의 다문화 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교육모델을 제시하는 것, 그리고 셋째, 한국적 다문화주의모델인 풍류도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는 일종의 다문화교육이론에 관한 연구로써 다문화담론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종합학문적 접근으로 불리는 학문융합의 방법을 지향함으로써,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종교 간의 대화를 자극함으로써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소위 ‘재개념주의 접근’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독교교육학이 ‘다문화평화학’으로 새롭게 자리매김 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종교(문화신학)의 영역과 교육학의 영역 사이의 소통(communication)을 더욱 자극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사회발전에의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을 통하여 다문화시대에 요청되는 새로운 한국 그리스도인의 다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종교 간의 갈등으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 종교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데 의미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21세기를 일컬어 문화의 시대라고 한다면, 본 연구는 문화의 시대에 요청되는 다문화교육의 이론형성 및 실천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넷째, 본 연구는 남북의 이질적인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평화통일을 지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 가지이다. 그것은 ① 최근 국제적으로 불고 있는 자국민우선주의의 영향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다문화주의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대안적 다문화주의모델을 찾는 것, ② 다문화주의의 한 형태로써 풍류도의 개념을 토대로 ‘한국적 다문화주의’를 제시하는 것과 더불어,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다문화시대에 요청되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자아정체성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 그리고 ③ 다문화교육의 일환으로 수행되는 기독교통일교육의 한 모델로써 한국적 다문화주의모델인 풍류도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본 연구는 2년 연구계획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1년차 및 2년차의 각각 연구주제는 다음과 같다. 우선 1년차의 연구내용은 “비판적 다문화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관한 연구”로써 ‘풍류도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네 가지의 하위목표를 제시하면, 1. 다문화담론과 기독교교육담론 사이의 비판적 상관성 이해, 2. 한국적 다문화주의와 종교평화모델의 필요성 이해, 3. 한국적 다문화주의모델로써 풍류도모델, 그리고 4. 한국그리스도인들의 다문화적 자아정체성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2년차의 연구내용은 “기독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비판적 다문화교육담론으로서의 한국적 다문화주의”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 하위목표는 세 가지로써, 그것은 1. 다문화담론으로서 기독교통일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2. 풍류도에 기반한 한국적 다문화주의와 그에 따른 북한의 주체사상의 비판적 이해, 그리고 3. 기독교통일교육모델로써 종교평화교육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문헌분석방법과 현장조사방법을 병행한다. 우선 다양한 다문화이론에 근거하여 관련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동시에 다문화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관련 교육기관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다문화주의의 논의는 강대국들의 자국민 우선주의에 막혀 그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가 비록 빠른 속도로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가고는 있지만, 여전히 대한민국은 한민족 중심의 민족공동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심지어 이것은 통일한국을 앞둔 현실에서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와 같은 다문화주의의 위기 상황에서 그 대안으로 열린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한 ‘한국적 다문화주의’를 탐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한국적 다문화주의로써 ‘풍류도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한국 기독교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한 모델로서 풍류도 모델을 제안하면서, 그것을 세 가지의 주제로 더 세분하여 탐색하였다. 첫째, 한국인의 영성으로 불리는 풍류도를 ‘하늘’(天)신앙에 근거한 ‘하늘잔치와 예술의 어울림’으로 재개념화하였다. 둘째, ‘풍류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면서, 통일신라시대 최치원에 의해 소개된 ‘화랑풍류도’, 그리고 조선말 동학에 의해 소개된 ‘시천주풍류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다문화시대 및 통일한국사회에 요구되는 제3의 풍류도로서 ‘하늘풍류도’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셋째, ‘하늘풍류도모델’의 의미는 포함삼교적 하느님 신앙, 유무상자의 하늘잔치성, 그리고 풍류미학적 예술성을 함축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본 논문은 하늘풍류도의 심화된 이해를 이해 ‘하늘신학’의 논의가 시급히 활성화될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한 이론으로써 본 이론이 그 성과를 얻기 위해 다문화가정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 영문
  • Recently, the discussion of multiculturalism has been losing its persuasiveness due to the preference of its own people like “American First!” Although Korea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at has not experienced in the past, South Korea is still strengthening the national community centered on the Korean people. Even this is expected to be further strengthened in the face of unified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Korean multiculturalism' based on open nationalism as an alternative in this crisis situation of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e researcher presented 'Pungryudo(風流道) model' as a Korean multiculturalism. The researchers proposed it as a model for multicultural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d it in more detail into three themes. First, author re-conceptualized Pungryudo, which is called spirituality of the Korean people, as "the feast of heaven and artistic togetherness" based on "Heavenly"(天) faith. Secondly, author also historically examined 'Hwarang(花郞) Pungryudo', which was introduced by Choi Chiwon(崔致遠) of Unified Silla Dynasty, and 'Sicheonju(侍天主) Pungryudo', introduced by Joseon Dynasty Donghak(東學).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Heavenly(天) Pungryudo' as a third kind of culture which is required for the multicultural era and unified Korean society has been examined. Third, the meaning of 'Heavenly Pungyudo model' implies the inclusion of the triune God faith, the feast of sharing products and life, and the aesthetic artistry of beauty. In addition, this pap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urging the discussion of 'theology of Heaven(天)' to understand the deepened understanding of the heavenly culture, and as a theory of Korean multiculturalism, this theory has developed a concret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necessity of pract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신학(기독교교육, 문화신학 등)과 종교학의 영역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문화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풍류도’(風流道)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주의 모델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오랫동안 한민족의 역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한국인의 얼로 불리는 ‘풍류도’는 새로운 다문화 시대에 부응하여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한 모델을 개발하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발생되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의 자아정체성의 위기를 ‘풍류도’에서 찾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남북한의 평화통일교육도 풍류도를 기반으로 한 한국적 다문화주의 교육에서 그 가능성의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구체적인 목적을 진술하면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진술될 수 있다. 1) 자국민 우선주의로 인한 다문화주의의 위기와 대안 찾기, 2) 한국적 다문화주의와 한국인의 다문화 정체성 교육, 3) 한국적 다문화주의 모델로서의 풍류도 모델와 기독교 평화통일 교육이 그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1년차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담론과 한국적 다문화주의에 관한 연구: 풍류도모델을 중심으로"으로 하여, 1. 다문화 담론과 기독교교육 담론 사이의 비판적 상관성, 2: 한국적 다문화주의와 종교평화교육 모델, 3. 종교평화 모델로서의 풍류도 모델, 4.한국 그리스도인의 다문화적 자아정체성 교육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2년차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 교육 담론으로서 기독교 통일 교육에 관한 연구"로서, 1.비판적 다문화 담론으로서의 기독교 통일 교육, 2. 한국적 다문화주의와 북한의 주체사상, 3. 기독교 평화통일 교육의 종교평화교육모델을 탐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네가지로 서술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종의 다문화교육 이론에 관한 연구로서 다문화 담론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소위 종합학문적 접근으로 불리는 학문융합의 방법을 지향함으로써,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종교 간의 대화를 자극함으로써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소위 ‘재개념주의 접근’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독교교육학이 ‘다문화평화학’으로 새롭게 자리매김 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종교의 영역과 교육학의 영역 사이의 소통(communication)을 더욱 자극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교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기독교를 포함하여 종립학교의 종교수업 및 공립학교의 다문화 관련 수업시간에 종교 간의 대화교육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다문화 이해를 통해 ‘홍익인간’이란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을 효과적으로 성취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한국교회(예: 교회학교, 평신도학교, 탈북자교육 등)에 보다 구체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사실 지금까지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현장에서는 종교 간의 대화모형이 거의 제시되지 않아 종교 간의 대화는 일종의 ‘영 교육과정’(null curriculum)처럼 되어 버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는 한국 실정에 맞는 종교 간의 대화교육 혹은 종교평화교육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한국적 다문화주의, 자국민우선주의, 풍류도, 화랑풍류도, 시천주풍류도, 하늘풍류도, 평화통일교육, 풍류도 모델, 종교평화교육, 평화교육, 통일교육, 범한국인, 영 교육과정, 교수-학습과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