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셜 빅데이터 중심의 위치기반 여행서비스 수요예측과 수요결정 연구
Prediction and Estimation in Location-based Travel Service using Social Big Dat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1-2018S1A5A2A0103739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해영
연구수행기관 경성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여행 서비스의 전 영역이 모바일 환경으로 확대됨에 따라,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가 여행자를 자극하고 있다.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여러 유형의 여행정보는 개인별 맞춤정보로서 여행자 편의를 높이고 한층 업그레이드된 모바일 쇼핑을 경험하게 한다.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는 여행자들의 정보검색 방식과 예약구매 시점 등에 변화를 초래하는데, 개별 여행자들은 더 이상 여행정보를 필요 이상으로 미리 검색하거나 예약할 필요가 없어졌다. 여행에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와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그것도 본인의 위치와 상황을 고려해 전달되기 때문이다. 여행업 역시 모바일 커머스 또는 소셜 미디어와 연계하여 다양한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단순한 푸쉬형태의 정보제공이 아닌 여행자 개인의 니즈(needs)를 고려한 상황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여행자를 만족시키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위치기반 여행서비스가 인기를 얻어감에 따라 빅데이터(big data)와 이에 대한 활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위치기반 여행서비스가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작용함에 따라 여행자들이 만들어내는 상호작용(interaction) 정보가 점점 중요해 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모바일과 SNS 등을 통해 축적되는 다량의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는 여행자들의 감성, 인식, 또는 행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함축하고 있어 관련된 사회현상과 트렌드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빅데이터 속에 존재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는 감추어진 정보의 가치가 매우 높고 분석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활용 가능성도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소셜 빅데이터의 활용은 여행시장의 실제 상황을 그대로 반영함으로 인해 여행자의 욕구와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새로운 기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가 시대의 감성과 정서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여행업계의 소셜 빅데이터의 활용수준이나 기반은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빅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기대에 비해 국내 여행업계는 기업차원의 체계적인 관리나 분석의 청사진을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기반의 정교한 예측모델을 효과적으로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트립어드바이저(TripAdvisor), 카약(Kayak), 익스피디아(Expedia), 사우스웨스트항공(Southwest airline) 등과 같은 외국의 대표적 여행항공 기업들이 소셜 미디어가 담고 있는 다양한 비정형의 데이터를 활용해 여행자 스타일을 파악하고 분류하여 개인 맞춤형 위치기반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비교할 때 매우 아쉬운 대목이라 할 수 있다. 학문적으로도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행동패턴 등을 살핌으로 트렌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기술적 동향이나 이를 활용한 성공사례 등을 주로 다룸으로써 해당 주제를 매우 제한적인 측면에서 다루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를 살펴봄으로써, 여행업계의 위치기반 서비스 활용에 필요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페이스북, 메신저, 블로그, 카페 등의 다양한 소셜 미디어에 흩어져 있는 비정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들의 인식이나 정서 또는 행동패턴을 분석하고 해당 현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설명하는 예측모형(predictive model)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제시된 예측모형을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linkage)를 통해 여행자의 실제 수요예측(demand estimation)에 적용함으로써 예측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위치기반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모바일 중심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여행자의 소셜 미디어 활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데, 이로 인해 소셜 미디어 속에 흩어져 있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들의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소셜 빅데이터는 여행자의 취향이 직접적이고 즉시적으로 반영되어 있어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높고, 네트워크적인 측면에서 정보 확산의 속도 역시 매우 빠르다. 따라서 소셜 빅데이터를 기초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다양한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으로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정보로서의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의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주제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의 니즈를 좀 더 실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성공적인 위치기반 서비스 전략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가치에 비해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밝히고 관련된 통계자료를 연계하여 수요예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분석의 패러다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참고할 수 있는 예측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여행기업과 여행 관련 공공기관들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무자들의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제한된 인식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여행자 중심으로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활용 목적을 명확히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하여, 종합적인 분석 솔루션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심의 기업 및 조직 문화 형성에도 도움을 주어 더 합리적이고 위험성 낮은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데, 결과적으로 여행기업들은 고객 관계관리의 변화, 내부 프로세스 개선, 새로운 가치 창출 등의 다양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도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해 예측모형을 제시하고 실제 여행수요를 검증함으로써, 소셜 빅데이터 기반의 위치기반 여행서비스 플랫폼의 개발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부나 여행 관련 공공기관들은 소셜 빅데이터에 기반을 둔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여행자 니즈와 수요를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성향 분석, 행동 패턴, 추천 알고리즘의 개발 등을 통해 인바운드 여행객들에게 국적별, 개인별 맞춤 정보를 제공함으로 여행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새로운 관광수요를 촉진시킬 수 있다. 고도화된 빅데이터 분석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데, 여행 트렌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여행자 행동을 바르게 예측하며 보다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위치와 상황을 고려해 맞춤형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는 여행자들의 다양한 소비욕구를 만족시키고 기업의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율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위치기반 여행서비스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여행자를 자극함에 따라 여행자들이 창출해내는 소셜 정보의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텍스트, 이미지, 음성메시지 등의 비정형 데이터는 분석방법의 발전으로 인해 활용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데, 과거에 쓸모없다고 여겨지던 데이터들이 문제해결의 핵심 열쇠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소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를 살펴봄으로써, 위치기반 여행정보를 모바일 커머스에 반영하려는 여행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는데, 먼저 첫 번째 목표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소셜 미디어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는 빅데이터 처리 솔루션인 텍스톰(TEXTTOM)을 활용해 수집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7월 1일 ~ 2018년 9월 30일 까지 3개월 예정하고 있으며, 자료의 수집 범위는 모바일 SNS(블로그, 카페, 페이스북, 메신저 등)로 설정한 후 ‘여행 위치서비스’ ‘위치기반 추천’ ‘위치기반 여행’ 등의 핵심 키워드와 연관그룹 키워드를 지정하고자 한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우선 UCINET과 연결프로그램인 NetDraw를 사용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감성분석인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을 실시하고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과 데이터 시각화(data visualization)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최적화된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병행하고자 하는데, 통계 프로그램 R을 사용하여 연관규칙(association analysis)과 의사결정나무 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함께 실시하려 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표는 개발된 소셜 빅데이터 중심의 위치기반 여행서비스 예측모형을 오프라인 통계자료와 연계(linkage)하여 여행자들의 실제 수요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는 비정형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파악된 예측모형은 정형 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해 소비자의 실생활에서 검증될 필요가 있다는 다수의 연구를 참조한 결과이다. 비정형 데이터 분석은 위치기반 여행서비스라는 사회적 트렌드를 바르게 인식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정형 데이터와의 보완적 연결을 통해 여행자 수요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최적화된 개인 맞춤형 여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요추정에는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와 기존의 오프라인 조사자료를 연계한 통합 데이터가 사용된다. 오프라인 조사자료는 공공기관, 언론사, 여행업체 등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료 중에서 소셜 빅데이터의 불충분성을 극복해 줄 적절한 대상을 선정하고자 한다. 자료의 연계방법으로는 식별 가능 자료가 없을 때 공통 요소들을 기본으로 유사한 개체를 찾아 상호데이터를 결합시키는 통계적 매칭(statistical matching) 방법을 사용하고, 통계적 매칭을 위한 알고리즘은 단계적 매칭, k-최근접이웃 매칭, 회귀분석 매칭, 회귀분석과 k-최근접이웃의 결합 매칭, 랜덤 핫덱(random hot deck) 방법 중 예측력과 대표성의 측면에서 매칭결과가 좋은 평가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관한 소셜 빅데이터 예측모형을 기초로 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가산자료 수요추정 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환된 정형 빅데이터의 편의추정 문제를 피함으로써 가산자료(count data)의 수요추정에 보다 적합한 절단된 포아송(truncated poisson; TP) 모형을 활용하고 통계 프로그램은 LIMDEP을 사용한다. 다만 포아송 모형 추정량에 신뢰성의 문제를 야기해 절단된 포아송 모형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과산포(over-dispersion)가 존재할 경우를 고려하여 대체모형인 절단된 음이항(truncated negative binomial; TNB) 모형도 함께 적용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TP 모형을 기본으로 여행자 수요를 추정하되, TP 모형에 과산포의 문제가 있을 경우 TNB 모형을 통해 수요결정요인을 재추정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위치기반 여행서비스(location-based travel service)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모바일을 통한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여행경험을 창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위치기반 여행서비스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 활용됨에 따라 이용자가 만들어 내는 다양한 소셜 데이터의 활용에 여행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를 중심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들의 생각, 관심, 감정, 태도 등의 다양한 반응을 살피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행자 감정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행자를 분류하고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텍스트 자료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수집이 되었고, 총 95,704개의 블로그 중 27,644개의 블로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총 72개의 중요키워드가 추출이 되었는데, 숙박, 예약, 여행, 가격, 사진 등이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가격, 기능, 정보, 위치, 부가서비스 등이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 영문
  • As the location-based travel service stimulates travelers in terms of mobile communication,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big data and its us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d the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diverse responses of travelers on location-based travel service, focusing on social big data. Based on unstructured social data scattered on blog sites,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predict travelers emotions, classify travelers, and estimate demand for location-based travel services. Textual data was gathered from Naver blog and 27,644 blogs out of a total of 95,704 blogs were secured further analysis. Seventy- two important keywords were extracted, including accommodation, reservation, tour, price, and photo. Also, price, function, information, location and transportation, and supplementary service were classified as critical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 travelers’ emotions about location-based travel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ified factors and travelers’ emotions was verified through the association analysis, further classified by decision tree analysis. Also, the demand of travelers for location-based travel services was predicted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variables through the truncated Poisson model. Various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are further discussed based on the individual roles and the importance of keyword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위치기반 여행서비스(location-based travel service)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여행자를 자극함에 따라 빅데이터와 이에 대한 활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를 중심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살피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행자 감정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행자를 분류하고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텍스트 자료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수집이 되었고, 총 95,704개의 블로그 중 27,644개의 블로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총 72개의 중요키워드가 추출이 되었는데, 숙박, 예약, 여행, 가격, 사진 등이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가격, 기능, 정보, 위치, 부가서비스 등이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요인과 여행자 감정 간의 관계는 연관분석(association analysis)을 통해 검증되었고, 키워드 유형별 여행자 분류는 의사나무결정분석(decision tree analysis)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절단된 포아송 모형(truncated Poisson model)을 통해 개별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예측되었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관리방안이 단어들의 개별적 역할과 중요성을 토대로 좀 더 자세히 논의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위치기반 여행서비스(location-based travel service)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에서 여행자를 자극함에 따라 빅데이터와 이에 대한 활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를 중심으로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살피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과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텍스트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행자 감정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행자를 분류하고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텍스트 자료는 네이버 블로그에서 수집이 되었고, 총 95,704개의 블로그 중 27,644개의 블로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총 72개의 중요키워드가 추출이 되었는데, 숙박, 예약, 여행, 가격, 사진 등이었다. 또한 최종적으로 가격, 기능, 정보, 위치, 부가서비스 등이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 감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행자의 긍정적인 감정과 관련된 텍스트 키데이터는 '가격', '기능', '정보', '위치 및 운송' 및 '보조 서비스' 영역으로 그룹화 되었다. 세부적으로 ‘가격’ 카테고리에서는 ‘가격’, ‘구매’, ‘할인’ 및 ‘비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 카테고리에서는 '예약', '추천' 및 '모바일'이 중요한 단어군으로 드러났다. '정보' 영역에서는 '레스토랑', '목적지', '도시' 및 '날씨'가 여행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유의한 단어군으로 나타났고, '위치 및 운송' 카테고리에서는 '교통', '거리', '지도' 및 '비행기'가 중요한 텍스트 조합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보조 서비스' 영역에서는 '쇼핑'과 '가이드'가 여행자의 긍정적인 감정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텍스트 데이터가 위치기반 여행 서비스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 및 단어군을 중심으로 서비스 품질관리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해당 단어가 언급되는 맥락(context)을 파악하여 여행자가 실제 필요로 하는 서비스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단어가 여행자의 긍정적인 감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임에 따라 단어 주변의 상황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단어를 언급 할 가능성을 높이면 여행자의 정서적 반응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해 강화된 여행자의 긍정적인 감정 반응은 해당 서비스의 사용 및 수요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파생 단어를 자주 언급한 여행자들이 위치기반 여행 서비스를 사용하는 주요 고객이라는 점에서, 해당 단어를 주로 사용하는 여행자를 추적하여 개인별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세분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도 있다. 마찬가지로, 키워드는 여행자 분류를 위한 자원일 뿐만 아니라 여행자의 정서적 반응 및 행동 예측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한 정서적 반응이나 행동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노출된 단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데, 여행 비즈니스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여행자의 반응을 미리 예상하고 수요를 추정함으로써 기업이 의도한 대로 여행자를 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다양한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학문적으로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정보로서의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의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관련 주제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기반 여행서비스에 대한 여행자의 니즈를 좀 더 실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성공적인 위치기반 서비스 전략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가치에 비해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셜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밝히고 관련된 통계자료를 연계하여 수요예측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분석의 패러다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참고할 수 있는 적용 모델로서 여행기업과 여행 관련 공공기관들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의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무자들의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제한된 인식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여행자를 중심으로 소셜 빅데이터에 대한 활용 목적을 명확히 수립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하여, 종합적인 분석 솔루션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다(최재경, 2016). 또한 데이터 중심의 기업 및 조직 문화 형성에도 도움을 주어 더 합리적이고 위험성 낮은 의사결정을 가능케 하는데, 결과적으로 여행기업들은 고객 관계관리의 변화, 내부 프로세스 개선, 새로운 가치 창출 등의 다양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 색인어
  • 위치기반 여행서비스, 소셜 빅데이터, 연관분석, 의사나무결정분석, 수요예측결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