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같이 경쟁적인 시장에서 가격 차별화나 상대적 시장 점유율은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이라는 개념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런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수익성이나 브랜드 충성도를 유발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학계나 실무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인 ...
오늘과 같이 경쟁적인 시장에서 가격 차별화나 상대적 시장 점유율은 브랜드 자산(brand equity)이라는 개념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런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수익성이나 브랜드 충성도를 유발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학계나 실무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다. Sirianni et al (2013)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광고나 홍보와 같은 대중매체를 통한 마케팅 전략과 같은 비인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방법보다는 인적 접촉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더 잘 설득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판매접점에서 판매원의 행동이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Wallace and De Chernatony, 2009). 세일즈를 위한 내부 브랜드 관리 (internal brand management)는 브랜드 약속 (brand promise)를 실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내부브랜드 관리는 판매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판매원들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유발하고 결국 브랜드 지향성 (brand orientation), 브랜드 몰입, 긍정적 구전 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매원-브랜드 관계(브랜드에 대한 감정, 브랜드에 대한 신뢰, 브랜드로 인한 소비자의 인정)가 소비자의 지각된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을 양자적 자료를 근거로 검증하고자 한다. 먼저 판매원의 관점에서는 판매원-브랜드 관계가 판매원에게 어떻게 인식되는지 그리고 자신의 판매 업무에 동기를 유발하는지, 그리고 세일즈의 대상이 되는 고객에게 중점을 둔 고객지향성을 고취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판매원-브랜드 관계가 판매원의 직무열의를 고취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판매원-회사와의 관계를 반영하는 내부서비스 품질 (internal service quality)를 조절변수로 제시하여, 판매원-브랜드 관계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이 판매원-회사 관계인 내부서비스 품질인식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로는 판매원의 세일즈업무에 대한 열의가 종업원의 고객지향성를 강화시키는 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넷째, 고객의 관점에서 실제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이 소비자의 고객지향성 지각에 유의적인 연결고리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이들 판매원-소비자의 연결고리에 있어 고객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제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고객들의 관여도가 높은 제품의 경우,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이 소비자들의 지각된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직무자원-요구(job demand and resource)이론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기존의 직무자원-욕구이론에서는 제시하지 않았던 판매원-브랜드 관계를 세일즈상황에서만 발생하는 독특한 직무자원으로 제시하여 설명한다는 점에 다른 연구와의 차별점이 있다. 그리고 실제 판매현장에서 발생하는 세일즈의 양자적(dyadic) 상황을 반영하기 위하여, 각 판매원과 이들과 거래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결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많이 발생하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해 판매원-브랜드 관계가 판매원의 세일즈 업무에 관한 열의를 높이는 동기유발의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판매원의 고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판매원-브랜드 관계는 브랜드에 대한 감정, 브 ...
본 연구를 통해 판매원-브랜드 관계가 판매원의 세일즈 업무에 관한 열의를 높이는 동기유발의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판매원의 고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판매원-브랜드 관계는 브랜드에 대한 감정, 브랜드에 대한 신뢰, 브랜드로 인한 소비자의 인정이라는 세 가지 하부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또한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업원의 동기유발은 매출이나 기업이 성공을 예측하는 중요 영향요인(Churchill et al., 1985; Steenburgh and Ahearne 2012)으로, 기업이 자사의 판매원들이 매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판매원의 브랜드에 대한 감정, 브랜드에 대한 신뢰, 브랜드로 인한 소비자의 인정이라는 부분을 기업이 직접 관리, 감독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판매 전략을 세울 수 있다.
판매원-브랜드 관계란 개념은 실무자들에게 1) 자사의 직원들이 자신들의 브랜드와 얼마나 강하게 연계되어 있는 가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2) 자신들의 브랜드 관계를 강화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도구나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3) 이러한 도구와 프로그램의과 실제 판매원의 성과간의 관계를 검증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기대효과로는 기존의 직무자원-요구이론에서는 대부분 관리자-종업원, 회사-종업원, 그리고 종업원-종업원간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직무자원(job resource)요인과 직무요구(job demand)요인을 제시하여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원의 범주를 판매원-브랜드 관계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는 단순히 본 연구뿐만 아니라 향후에도 판매원-브랜드 범주에 다양한 영향요인을 포함하여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판매원이 지각하는 브랜드 자산 또는 브랜드파워, 브랜드 개성 (brand personality)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등을 새로운 형태의 판매원의 직무자원 또는 직무 요구로 제시하여 판매원들의 동기유발 및 감정고갈 등과의 관계를 검증할 수 있다.
또 본 연구를 통해 판매원-브랜드 관계뿐만 아니라 판매원과 회사 간의 관계를 내부서비스 품질이란 개념을 통해 통합적으로 검증한다는 점에 매우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판매상황이란 단순히 판매원-브랜드 관계뿐만이 아닌 매우 복합적인 환경으로 이러한 현실적인 요인을 반영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내부 서비스 품질이란 고객만족이라는 외부 마케팅(external marketing)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개념으로 외부마케팅 믹스와 유사한 요인을 내부적 환경에 적용하여 고객만족과 같은 내부고객인 판매원이 만족이라는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Anosike and Eid,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사와 내부고객의 관계의 질이 외부고객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진행된 가장 큰 배경은 판매원 차원에서의 고객지향성과 소비자차원에서 고객지향성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유의적인 연관성이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고객지향적 행동보다는 고객지향성이라는 태도 측면에 중점을 둔 이유는 고객지향적 행동이란 단순히 피상적이고 가시적인 고객 중심적 행동으로 실제 감정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Stock and Hoyer, 2005). 진정성 있는 고객지향성의 실행이란 고객지향적 태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태도가 행동보다는 훨씬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William and Wiener, 1996). 하지만 고객의 입장에서는 고객지향적 행동이 훨씬 더 가시적이기에 이런 특징은 결국 판매원의 진정한 고객지향성을 촉발하는데 저해요인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들은 피상적인 고객지향성이 아닌 진정성 있는 고객지향적 태도 또한 인식할 수 있다면 이는 관리자들의 입장에서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고객지향성을 흉내 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진정성 있는 고객지향성이 장기적으로도 고객과의 관계형성에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연구요약
본 연구에서는 판매직원과 고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양자적 자료(dyadic data)를 이용하여 분석을 할 예정이며, 추가로 각 판매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까지 조사의 영역을 확대하여 향후 추가연구로 반영할 예정이다. 따라서 자료의 수집원천은 크게 관리자, 판매 ...
본 연구에서는 판매직원과 고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양자적 자료(dyadic data)를 이용하여 분석을 할 예정이며, 추가로 각 판매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까지 조사의 영역을 확대하여 향후 추가연구로 반영할 예정이다. 따라서 자료의 수집원천은 크게 관리자, 판매원, 소비자로 삼원 자료(triadic data)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먼저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백화점이나 소매점과의 상호 협조가 전제조건이다. 현재 서울에 여러 개의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백화점과는 협의가 끝난 상태이며, 대형 소매점과의 협업도 진행 중이다. 설문조사는 3원 자료라는 특성으로 개인이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자료 수집을 전담할 수 있는 조사업체를 이용할 예정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비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SSCI 레벨의 저널을 목표로 개발된 모델로 세일즈 분야에서는 흥미로운 주제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의 Todd A. Arnold교수와의 미팅을 통해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고 이와 연관된 추가적인 연구모델을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이 또한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시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항목이외에 추가적인 구성개념까지도 반영(관리자: 시장지향성, 내부고객지향성, 판매지향성, 리더십, 그리고 윤리적 문화, 판매원: 업무관련 동기, 적응판매행동, 혁신적 판매, LMX, 서비스 지향성, 혁신적 판매, 교차판매 등, 고객: 판매원 이미지, 브랜드 이미지, 판매원의 신뢰성, 브랜드 자산, 브랜드 친숙성 등)하여 수집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내부고객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면 이것이 판매원들의 통제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동기가 어떻게 변화하여, 혁신적 판매방식이나 교차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그리고 고객의 입장에서는 이런 판매방식에 노출되었을 때 과연 어떤 심리적 반응을 보일 것인가 등을 하나의 연구모델에 포함하여 진행한다면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앞서 설명처럼 초기 분석이 끝난 후 2019년 1~2월에는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발표함으로 좀 더 모델을 개발시킬 수 있는 기회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술대회에서 참가자들의 조언 및 코멘트를 통해 추가적인 모델의 개선 또한 가능하며 이는 SSCI 저널에 게재된 확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판매원-브랜드관계(Salesperson-brand relationship)는 판매원의 직무열의(work engagement)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판매원의 내부서비스 품질인식(internal service quality)은 판매원-브랜드관계와 판매원의 직무열의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강화할 것이다. 가설 3: 판매원의 직무열의는 판매원의 고객지향성(customer orienta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판매원의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고객의 제품관여도 (product involvement)는 판매원의 고객지향성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의 관계를 강화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내부 브랜딩이란 기업이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접점직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반영하는 중요한 전략적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전의 내부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 (consumer-brand relatio ...
내부 브랜딩이란 기업이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접점직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반영하는 중요한 전략적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전의 내부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ory)을 이론적 근거로 제시되었으며, 조직 내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내부브랜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점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내부브랜딩이 종업원의 심리적 반응 및 고객의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 and resource theory)을 바탕으로 판매원이 인식하는 자신과 브랜드와 관계 (brand relationship) 및 지각된 내부서비스 품질 (internal service quality)을 직무자원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판매원의 직무열의(work engagement)와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 판매원의 행동의 변화가 고객의 반응에 미치는 서비스 가치사슬효과(service value chain effect)를 검증하기 위하여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상황요인으로 고객의 제품관여도(product involvement)를 제시하여 판매원의 고객지향성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제시하여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매점의 판매원을 표본으로 설정하고 1) 종업원의 브랜드 관계 및 내부서비스 품질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2) 직무열의가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3)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간의 관계 및 이 관계를 조절하는 고객의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영문
Internal branding represents an important managerial tool in directing the frontline employees for desir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majority of prior research on internal branding is based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ory and has ...
Internal branding represents an important managerial tool in directing the frontline employees for desir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majority of prior research on internal branding is based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ory and has focused on effects of human resource practices without explicitly considering employee’s psychological intervening process and customer responses. Based on the job demand and resource theory the authors theorized interactive effect of employee brand relationship and internal service quality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nd subsequen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 To examine the chain effect of employee’s behavioral change on customer’s response, this study has empirically connected the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as a context-specific factor, customer product involvement may enhance the importance of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in customer’s evaluation. Empirical results using a sample of retail salespeople find that (1) employee brand relationship and internal service quality have positive interac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2) work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and (3)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product involvement have a positive interactive effect on customer’s perceived customer orie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ternal branding researchers can benefit from considering the complex interactive effects of internal brand management as well as service focused organizational climate, which provide a more refined understanding of this important managerial tool.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내부 브랜딩이란 기업이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접점직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반영하는 중요한 전략적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전의 내부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 (consumer-brand relatio ...
내부 브랜딩이란 기업이 조직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 접점직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를 반영하는 중요한 전략적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전의 내부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ory)을 이론적 근거로 제시되었으며, 조직 내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내부브랜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중점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내부브랜딩이 종업원의 심리적 반응 및 고객의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이론(Job demand and resource theory)을 바탕으로 판매원이 인식하는 자신과 브랜드와 관계 (brand relationship) 및 지각된 내부서비스 품질 (internal service quality)을 직무자원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판매원의 직무열의(work engagement)와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 판매원의 행동의 변화가 고객의 반응에 미치는 서비스 가치사슬효과(service value chain effect)를 검증하기 위하여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상황요인으로 고객의 제품관여도(product involvement)를 제시하여 판매원의 고객지향성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로 제시하여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매점의 판매원을 표본으로 설정하고 1) 종업원의 브랜드 관계 및 내부서비스 품질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2) 직무열의가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 3) 판매원의 고객지향적 행동과 고객의 지각된 고객지향성간의 관계 및 이 관계를 조절하는 고객의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내부 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이나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판매 직원들과 브랜드 관계 및 내부서비스 품질을 일종의 조직 자 ...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내부 브랜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고객-브랜드 관계이론이나 사회적 교환이론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판매 직원들과 브랜드 관계 및 내부서비스 품질을 일종의 조직 자원의 한 형태로 제시하고, 이것이 과연 판매 직원들의 직무열의를 고취시키는 가를 직무 자원 및 요구의 이론을 통해 검증한다는 것이 의의가 있다. 기업이 판매원을 통해 지속적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판매 직원들이 이상적인 브랜드 이미지에 대하여 이해를 하고 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기를 확보해야 한다(King & Grace, 2009). 본 연구에서도 판매 직원과 브랜드의 관계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자원으로 이를 통해 동기를 유발한다는 직무 자원이론의 동기적 절차 (motivational process)에 근거하여 판매 직원의 직무열의를 고취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내부 마케팅이론에서 제시된 지각된 내부 서비스 품질의 또 다른 형태의 조직 자원으로 가정하고 이를 통해 직무에 대한 동기가 유발되어 판매 직원들의 직무열의가 강화된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와 예측하기 힘든 욕구들에 노출된 판매 환경에서 판매 직원들의 감정 소진이나 감정 고갈의 수준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조직 자원으로 직원들에 대한 내부 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셋째, 판매 직원의 직무 열의는 고객들에게 이상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 할 수 있는 고객지향적 행동으로 유발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와 직원간의 관계가 고객들에게 전달되는 과정인 서비스 가치사슬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다양한 직무 자원으로 인해 형성된 직무 열의는 업무상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자신의 직무에 더욱 몰입하게 하여 직원들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고객 중심적 영업활동을 제시하게 된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직원과 브랜드의 관계 또는 내부서비스 품질이 직접적으로 고객지향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직무 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매 직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이 실제 소비자들의 지각된 고객지향성과 연결될 수 있는 가를 판매 직원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단일 정보 원천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소비자의 만족을 판매 직원에게 물어보는 가하면, 또는 판매 직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의 수준을 소비자에게 평가하는 경우 평가의 정확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판매원과 거래를 경험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고객지향적 행동과 지각된 고객지향성을 조사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관여도를 조절 변수로 제시하여 제품에 관여가 높은 고객일수록 판매 상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판매 직원의 고객지향적 행동을 더욱 인지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것 바와 같이 판매 관리자나 회사에서는 고객들에게 자사가 원하는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자사 판매 직원과 브랜드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면밀한 통찰이 필요하다. 특히 자사 브랜드가 없는 유통업체의 경우에는 자사의 판매 직원들과 브랜드간의 결속력을 구축하는데 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자사의 브랜드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를 소비자가 아닌 판매 직원들을 대상으로 먼저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고취하기 위해서는 인적자원 시스템의 기준 및 평가 부분에 브랜드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교육이나 보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직원들의 브랜드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내부서비스품질 또한 판매 직원과 브랜드 관계가 직무 열의라는 판매원의 동기를 강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사의 브랜드와 좋은 관계를 형성한 판매 직원이 높은 내부 서비스 품질이라는 조직 차원의 지원을 혜택으로 인식하고 더욱 업무고취에 대한 동기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판매 직원과 브랜드라는 이성적 차원뿐만 아니라 내부 서비스 품질이라는 감성적 차원까지 동시에 제공한다며, 판매 직원의 역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