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북한의 노동시장화 및 노동통제 법제 현황에 대한 종합 분석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marketization and labor regulation Legal system in North Ko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1-2018S1A5B5A0103805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송현욱
연구수행기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배경

    남한은 시장경제체제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결합이 사용자와 근로자의 자유로운 거래에 의하여 개별적인 근로계약이나 집단적 단체협약을 통하여 실현되기 때문에 노동력의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의해 노동시장이 존재한다. 이에 비해 북한의 노동정책의 이념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하에서 근로권과 노동3권 등 노동관련 기본권의 보장의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은 데로부터 노동력의 상품성도 부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동안 북한은 경제난의 타개를 위하여 2002년 7.1경제관리개선 조치와 2003년 종합시장의 허용을 통해 국가기업소들의 운용의 자율성과 개인의 상업적 경제활동을 보장하여 주기에 이르렀다. 김정은 집권시기에 들어서 북한은 2014년 「기업소법」에서 처음으로 경영권(재정관리권, 노력조절권, 인재개발권 등)관련 규정들을 대거 보충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걸쳐 개정을 하면서 ‘경영 자율성의 확대’를 구체화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형법」, 「행정처벌법」 등 여러 법들에서 노동통제 규제를 점차 완화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북한에서 노동력의 통제는 체제유지와 밀접히 관계된다. 그래서 북한 당국은 노동력을 이데올로기적 통제, 조직적 통제, 법적 통제의 방식으로 철저하게 통제한다. 그런데 시장화의 진전과 더불어 이러한 통제적 기능들이 점차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엿보인다. 특히 공식적인 노동계획에 의한 인력 배치 제도가 변화되고, 이에 공식적 노동, 비공식적 노동, 이중적 노동이 함께 공존하는 특이한 노동시장화 형태가 중첩적으로 분화ㆍ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2. 연구 필요성

    이러한 관점에서 노동시장화 현상은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국가 기업소에서 노동시장화와 관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경제활동에서 자생적 노동시장화와 관련되는 것이며, 또 하나는 각 개인 주체별 노동시장화와 관련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생적 노동시장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이에 대한 당국의 통제가 동시에 어떻게 작동되고, 이것이 노동관련 법제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작동되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동시장화의 측면에서 기업소와 개인경제활동으로 구분하여 노동시장화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시장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북한 노동관련 법제의 변화를 분석ㆍ평가 하여, 북한 당국의 노동력 통제에 대한 정책적 기조의 방향과 향후 노동시장화의 전망과 과제를 모색할 필요성에 기초한다.
    노동시장화의 측면에서나 노동법제적인 측면에서나, 북한 당국이 노동력의 관리ㆍ통제에 대한 정책적 기조의 방향을 기본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북한의 노동시장화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려는 사례는 거의 논의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노동통제관련 법제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명확하게 파악하려는 것도 논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3. 연구목표

    첫째, 국가 기업소에서 노동력 배치 및 노동시장화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둘째, 개인의 소규모 경제활동 영역에서 노동시장화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셋째, 각 개인 주체별 노동시장화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넷째, 노동통제관련 법제들을 위의 노동시장화 상황과 결부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위의 사회현상학적, 법제도적 관점에서 각 영역별로 분석한 것을 토대로 북한의 노동시장화를 총체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가 성공적으로 추진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의 시장화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폭을 한층 넓혔다는 데 있다. 지금까지 북한 시장화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미비했다. 노동시장화에 관한 세밀한 연구에 의한 자료의 집대성은 북한 시장화 연구의 질적, 양적 발전을 가속화하는데 기여 할 것이다. 또한 북한 노동시장화 상황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경제생활, 그리고 변화된 의식과 욕구를 파악할 수 있어 북한과 관련된 어떤 연구를 진행하든지 간에 이해도를 높이는 가장 기초적인 기반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북한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제시이다. 어떤 국가의 한 분야에 대한 변화 정도를 측정하려면, 정책ㆍ통계적 지표와 자료 등의 방법에 의한 분석도 있지만, 객관ㆍ실체적 면에서 볼 때 변화에 대한 가장 강력한 표현은 법제도 분야에서 나타난다. 지금까지 북한 연구가 정치, 경제, 사회 중심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져 개별 영역으로 한정되어 복합을 통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가 않은 편이다. 정보가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집단을 연구하는 것은 세분화된 학문체계를 기반으로는 가시적인 성과를 얻어내기가 어려운 것으로서 북한과 같은 사회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학제간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시장화 진행과정을 연구하면서 자생적 시장화와 당국의 법적 대응 등 기존에 논의되지 못했던 주제를 실질적으로 다룸으로써 그 성과는 향후 북한 연구의 매우 훌륭한 시금석이 될 수 있다.
    셋째, 대북정책, 남북경제교류, 북한연구, 통일교육 자료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 성과는 다양한 방법의 가공을 통하여 향후 대북한 정책 입안, 기업체의 북한 투자, 국민들에 대한 북한 이해 교육 등 자료로 활용을 할 수가 있다.
    넷째, 본 연구 과제의 성과물은 관련 학술대회를 통하여 발표하고 다른 국내·외 전문가들과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논문으로 완성할 계획이다. 그리고 학교 강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북한의 노동정책의 이념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체제하에서 근로권과 노동3권 등 노동관련 기본권의 보장의 필요성이 존재하지 않은 데로부터 노동력의 상품성도 부정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김정은 집권시기에 들어서 북한은 2014년 「기업소법」에서 처음으로 경영권(재정관리권, 노력조절권, 인재개발권 등)관련 규정들을 대거 보충하였고, 이후 여러 차례 걸쳐 개정을 하면서 ‘경영 자율성의 확대’를 구체화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특히 「형법」, 「행정처벌법」 등 여러 법들에서 노동통제 규제를 점차 완화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북한 당국은 노동력을 이데올로기적 통제, 조직적 통제, 법적 통제의 방식으로 통제하고 있으나, 시장화의 진전과 더불어 이러한 통제적 기능들이 점차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동시장화 현상은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국가 기업소에서 노동시장화와 관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경제활동에서 자생적 노동시장화와 관련되는 것이며, 또 하나는 각 개인 주체별 노동시장화와 관련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생적 노동시장화가 어떻게 진행되고, 이에 대한 당국의 통제가 동시에 어떻게 작동되고, 이것이 노동관련 법제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작동되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노동시장화의 측면에서 기업소와 개인경제활동으로 구분하여 노동시장화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시장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북한 노동통제관련 법제의 변화를 검토ㆍ평가하여, 북한 당국의 노동력 통제에 대한 정책적 기조의 방향과 향후 노동시장화의 전망과 과제를 모색할 필요성에 기초한다.

    2. 연구내용

    ◯ 1년차 연구 요약

    첫째, 북한의 사회주의 노동정책의 이념과 배경 등 기초적인 개념과 노동시장화에 대한 개념을 체제전환국가들(중국, 쿠바) 사례와 결부하여 개관하는 연구이다.
    둘째, 국가 기업소에서 노동력 배치 및 노동시장화의 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 기업소와 지방 기업소별로 노동력에 대한 전통적인 이데올로기적 통제, 조직적 통제의 제반 기능들이 시기별로 어떻게 약화 또는 완화되고 있는지, 그리고 배치제도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셋째, 개인의 소규모 경제활동 영역에서 노동시장화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용주의 사업유형과 채용인원, 그리고 이에 대한 당국의 통제와 묵인이 어떻게 행하여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넷째, 각 개인 주체별 노동시장화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직업선택의 자유’라는 측면에서 각 개인들의 당국에 의한 직업의 배치와 이를 회피하기 위한 행태들, 개인의 의지에 의한 직업의 이동 현상, 무직자들에 대한 당국의 통제, 출신성분이 직업의 선택에 미치는 변화 상황 등 제반 사항들에 대한 실태들을 파악하고 분석한다.

    ◯ 2년차 연구 요약

    첫째, 북한에서 노동력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통제, 조직적 통제에 대해 연구한다. 북한에서 초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교시, 말씀, 당의 지시나 방침, 원칙 등이 실질적으로 입법 및 법의 집행을 지도하는 원리가 되고 법원으로 된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시기별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노동시장화 현상과 노동력 통제 현황 연구를 위한 중요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북한의 「헌법」상 노동의 권리와 의무가 갖는 규범원리를 분석하고, 북한의 「사회주의노동법」과 「노력배치에 관한 규정」 등 대내 노동기본법들의 내용을 연구한다.
    셋째, 북한의 「형법」과 「행정처벌법」 등 노동통제관련 법 조항들을 노동시장화 상황과 유기적으로 결부하여 시기별(김정일시대 후기, 김정은시대 초기 및 현재)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변화양상을 평가한다.
    넷째, 위의 사회현상학적, 법제도적 관점에서 각 영역별로 분석한 것을 토대로 북한의 노동시장화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한다. 북한 당국이 고민하는 노동시장화에 대한 정책ㆍ법적 통제의 시각과 그 함의를 평가하고, 향후 변화 전망과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3. 연구방법

    첫째, 북한 문헌과 북한관련 국내 연구문헌들에 대한 분석과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그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둘째, 김정은 체제 전후 북한 문헌과 북한관련 연구물들에 대한 분석과 북한의 노동통제관련 법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당국의 법제도적인 변화를 확인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90년대 중반 경제난이후 자생적으로 시작된 북한의 시장화는 그동안 당국의 통제와 허용이 반복되는 속에서 확대되어 왔다. 노동부문에서 시장화도 이 같은 행태로 진행돼 왔다.
    주민들의 시장을 통한 경제활동의 심화로 공식ㆍ비공식 노동이 공존하는 등 여러 형태의 노동시장화 현상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로부터 노동력에 대한 국가의 통제 기능과 노동계획에 의한 인력 배치ㆍ이동 질서가 변형되어 작동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북한 노동시장화 현상의 구조와 노동력 관리통제관련 법제도의 변화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 성격과 특징, 한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시장화 현상은 국영기업에서 노동시장화와 관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경제활동에서 자생적 노동시장화와 관련되는 것이다. 노동력의 경제활동 유형을 국가의 통제가 미치는 정도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첫째, 특급기업, 1급기업과 이외 중요시되는 군수, 수출목적 등의 기업으로서 생산가동이 비교적 원만하고 전통적 노동규범에 의한 통제ㆍ관리가 유지되는 영역이다.
    둘째, 지방기업들과 소규모 무역관련 기업들로서 생산이 멈췄거나 가동률이 낮아 전통적 노동규범에 의한 통제ㆍ관리 기능은 약화되어 비합법적 노동시장 요소가 혼합되어 작동되는 영역이다.
    기업은 편법적 혹은 불법적인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시장과 연계되는 생산활동을 하고 있다. 8.3노동자는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는 조건으로 출근하지 않는 것을 허락받고 시장을 통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한다.
    국영기업과 국영상업유통부문에서 임대경영과 위탁운영이 성행하면서 노동시장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금이 있는 개인은 국영기업의 건물, 설비 등을 임대받아 운영하기도 하고 상점, 식당의 운영을 위탁받아 운영하기도 한다. 이때 개인경영자는 외형상 그 기업의 소속 부서로서의 공식 직함을 갖고 기술자, 사업능력자 등 인재들과 권력기관과 관련된 사람을 직접 선발하여 고용한다.
    기업 내 일반 노동자들은 다른 기업으로 적을 옮겨가는 것이 쉬워졌으나, 거주이동의 제한이 엄격하다보니, 한정된 지역 내에서 노동시장화가 진행되고 있는 특성이 있다.
    셋째, 민간경제부문의 소비재유통ㆍ상업서비스 등 여성들 대부분 경제활동 공간으로서 일부 남성은 공식직업을 갖고 시장활동을 하며 국가의 노동통제가 미치지 않는 자생적인 노동시장화가 불완전한 행태로 진행되고 있는 영역이다.
    이 부문은 대부분 소비재시장이며, 이외 수공업이 있다. 규모가 작으며 대부분 가족 및 친인척끼리 자본과 노동이 결합된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특성상 품삯노동, 하루벌이노동 등 매우 단순한 주변부 노동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민간경제부문에서 노동시장화는 자생적이지만 불완전한 노동시장의 특질을 갖고 있으며, 노동관련 법제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북한에서 노동력의 관리ㆍ통제관련 법규범 체계는 두 가지로 분류된다. 노동력의 관리운용 법제에는 노동기본 법제로서 1978년 제정된 ‘사회주의노동법’, 1986년 제정된 ‘노력배치에 관한 규정’, 1987년 제정된 ‘노력배치에 관한 규정시행세칙’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기업소법에서 노동력관련 규정이 포함된다. 노동력 통제 법제에는 형법, 행정처벌법, 인민보안단속법이 포함되어 있다.
    김정은 체제에 들어와 기업에 대한 중앙정부 명령ㆍ통제의 경영간섭을 축소하고, 자율성의 확대 부여와 책임제를 강화했다. 합법과 비합법적 경영활동이 혼재되어 있는 국영기업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비합법적 시장연계 활동의 일부를 합법화하였다. 2015년 개정된 기업소법은 ‘경영권’를 구성하는 계획권, 생산권, 관리기구ㆍ노력조절권, 제품개발권, 인재관리권 등 9개의 권리의 부여를 새로이 규정했다. 노력조절권과 관련하여, 노동력의 이동수속 결정권한이 대부분 기업에 부여되는 것으로 간편화되었다. 기업경영관리 개선을 위해 인재들과도 노동보수 계약을 맺고 영입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종전에는 다른 기업에 이동하려면 사유가 매우 한정되어 있고 노동행정기관의 승인 등 관련 기관을 거쳐 8가지 이동수속을 거쳐야 하였다.
    형법에서 사적고용, 노동행정질서 위반과 무직자에 대한 형법적 통제 조항을 없애거나 처벌수위를 대폭 낮아졌고, 대신 행정처벌법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볼 때, 현 김정은 체제하에서 개혁의 수준은 2000년대의 여러 개혁조치들보다 획기적으로 더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노동력에 대한 관리ㆍ통제 주체와 기능 일부 변화가 있는 것일 뿐, 사회주의적 노동정책의 근본 기조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 영문
  • The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which started spontaneously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mid-1990s, has been expanded amid repeated control and permission of the authorities.
    As residents' economic activities through the market are intensifying, formal and informal labor coexist.
    From this, the state's control function over the labor force and the order of manpower allocation and movement according to the labor plan were transform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the North Korean labor marketization phenomenon and the changes in the legal system related to labor force management and control.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evaluate the characte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The phenomenon of labor marketization is related to labor marketization in state-owned enterprises. The other is related to spontaneous labor marketization in individual economic activities. The types of economic activity of the labor for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ate control.
    First, special companies, first-class companies and other military and export-related companies. It is an area domain production operation is relatively smooth and control and management by traditional labor norms are maintained.
    Second, as local companies and small-scale trade-related companies, production has stopped or the utilization rate is low. Accordingly, the control and management functions by traditional labor norms are weakened, and illegal labor market elements are mixed and operated.
    Companies are engaged in production activities linked to the market in various forms and methods, which are illegal or illegal. 8.3 workers are allowed not to go to work on the condition of paying a certain amount and engage in free economic activities through the market.
    Labor marketization is progressing as rental and consignment operations are popular in state-owned enterprises and commercial sectors.
    The wealthy people rent and operate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of state-owned enterprises, and entrust stores and restaurants to operate. At this time, the individual manager has the official title as the department to which the company belongs, and the person is selected and hired.
    This made it easier for workers to move to other companies. However, as restrictions on movement of residence are strict, labor marketization is underway within a limited area.
    Third, this includes consumer goods distribution, commerce, and service industries as the private economy sector. As a space for economic activity for most women, it is an area in which the self-sustaining labor marketization, which the national labor system does not reach, is proceeding with incomplete behavior. Some male workers do market activities while holding official jobs.
    This sector is mostly a consumer goods market, and there is a handicraft industry. Most families and relatives engage in small-scale economic activities that combine capital and labor.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it is limited to very simple peripheral labor such as labour, daily wage labor, and so on.
    In North Korea, the system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labor force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labor force management and operation legislation includes the 'Socialist Labor Act' enacted in 1978, the 'Regulations on Effort Allocation' enacted in 1986, and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n Effort Allocation' enacted in 1987.
    After entering the Kim Jong-un regime, it accepted the reality of state-owned enterprises where legal and illegal business activities were mixed, and legalized some of the illegal market linkage activities. Specifically, the central government's management interference and control over enterprises was reduced, and instead, increased autonomy and accountability were strengthened.
    The Enterprise Act, revised in 2015, newly stipulated the granting of nine rights, including planning rights, production rights, organization management rights, effort management rights, and product development rights that constitute “management rights”.
    Regarding the right to manage efforts, it is observed that enterprises are given the right to decide on the procedure for moving labor.
    In order to improve corporate management, it is ordered to sign and recruit labor remuneration contracts with talented people for effective use.
    In the Criminal Law, the provisions for private employment, violation of labor administration, and punishment for the not employed were abolished or the level of punishment was significantly lowered. Instead, it is applied in the Administrative Penalty Act.
    In view of this, the level of reform in the current Kim Jong-un regime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ly more advanced than the various reform measures in the 2000s.
    However, there are only some changes in functions in charge of management and control. In other words, there is an unchanging limit in the fundamental basis of socialist labor poli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북한 노동시장화 현상의 구조와 노동력 관리통제관련 법제 변화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 성격과 특징, 한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에서 그동안 자생적인 시장화와 함께 당국의 2002년 7ㆍ1조치를 비롯하여 일련의 경제개선조치의 영향으로 국영기업의 노동부문에도 공식ㆍ비공식적인 이중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북한에서 노동력의 경제활동 유형을 국가의 통제가 미치는 정도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①유형은 특급기업, 1급기업과 이외 중요시되는 군수, 수출목적 등의 기업으로서 생산가동이 비교적 원만하고 전통적 노동규범에 의한 관리통제가 유지되는 영역이다. ②유형은 생산이 멈췄거나 가동률이 낮은 지방기업들과 소규모 무역관련 기업들로서 전통적 노동규범에 의한 관리통제 기능은 약화되고 비합법적 노동시장적 행태가 혼합되어 작동되는 영역이다. ③유형은 대부분 여성이고 일부 남성은 이중직업의 시장활동 공간인 소비재유통ㆍ상업서비스 등 민간경제부문으로서 국가의 노동통제가 미치지 않는 자생적인 노동시장화가 불완전한 행태로 진행되고 있는 영역이다.
    김정은 집권이후 기업소법을 통해 국영기업에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로서 ‘실제적인 경영권’을 부여하는 조치를 하였다. 그 중 노동력 관리운영에서 자율성 확대, 민간자금 활용의 허용 등은 같은 취지이다. 이는 국영기업에서 시장과 연계된 비합적인 경영 및 생산활동을 일부 합법화하고 기업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에 맞게 형법에서 사적고용, 무직자, 노동행정위반 등 관련 조항들이 삭제되거나 처벌수위도 대폭 낮아졌다. 그러나 행정처벌법에서 관련 조항들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현재 김정은 체제에서 개혁의 수준은 2000년대의 여러 조치들보다 더 진전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사회주의노동법은 변화가 없는 것을 볼 때 사회주의적 노동정책의 기조는 변함없는 한계를 갖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북한 노동시장화의 구조적 현상과 노동력 관리통제관련 법제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ㆍ파악하였다. 북한의 노동부문에 관한 다양하고 세부적인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연구경험을 토대로 미시적 측면에서 좀 더 세부화 된 주제를 갖고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북한 경제와 사회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자는 목적에서의 교재용으로 “북한의 노동경제사회와 법제도”라는 주제로 책자 발행을 위한 집필을 하고 있다.
  • 색인어
  • 북한, 노동시장화, 노동통제, 노동관리, 노동법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