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Mentalhealth & Communal Socie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연구과제번호 2018S1A3A2074955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채철균
연구수행기관 광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서현보(서울시립대학교)
이형철(광운대학교)
윤우용
성기창(한국복지대학교)
박훈(강원대학교)
이찬웅(이화여자대학교)
임은정(광운대학교)
박향경(동양대학교)
최명민(백석대학교)
이명수(용인병원유지재단)
신화경(상명대학교)
노재성(아주대학교)
주익현(고려대학교)
이해경(광운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연구단은 정신건강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에 대한 통합적 해결방안 도출 및 이를 토대로 하는 건강한 환경과 공동체사회 구현 및 지속적 유지를 위하여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있으며, 대형연구단계에서의 연구목적 및 목표는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 1.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의 환경적 패러다임 선도
    ▶ 연구목표 1. 건강복지서비스의 환경적 메커니즘 구현 및 대응전략 제시
    - 계획 1.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서비스 변화 및 대응
    - 계획 2.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 및 근린환경의 건강복지서비스 지원방안 모색
    - 계획 3. 생애주기별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메커니즘 제안

    ▶ 연구목표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킹 구현 및 지속전략 제시
    - 계획 1.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측정 지표의 타당성 검토
    - 계획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현
    - 계획3.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네트워킹 구축방안 모색

    연구목적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수립
    ▶ 연구목표 1.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스펙트럼의 제시 및 적용방안 구현
    - 계획 1.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의 사회적·물리적 환경요인 역학조사
    - 계획 2.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환경적 스펙트럼 분석
    - 계획 3.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요인 도출 및 지역특성별 스펙트럼 제시

    ▶ 연구목표 2. 정신건강회복과 지원을 위한 치유환경의 통섭적 방안 제시
    - 계획 1. 다양한 환경 스펙트럼별 적용 가능한 치유환경 가이드라인(안) 마련
    - 계획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정신건강도시지표(안) 제안
    - 계획 3. 지역중심의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제시


    연구목적 3. 첨단기술 융합과 개입을 통한 정신건강지원 환경 모델 제시
    ▶ 연구목표 1.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정신건강증진환경의 데이터베이스(DB)구축
    - 계획 1. 개인의 정신건강에 최적화된 서비스 정보 및 접근의 용이성 제공을 위 한 지역사회기반 정신건강관련 시설 및 서비스 맵 구축
    - 계획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환경정보 및 관련 서비스의 편의성 확보방안 연구
    연계망 구축 및 시스템 개발 연구
    - 계획 3.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정신건강증진 공간특성 DB구축

    ▶ 연구목표 2.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정신건강지원 리좀서비스 모델 제시
    - 계획 1. 개인 컨버전스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활용한 효율적 치료환경서비스 개선연구
    - 계획 2. 지속가능한 정신건강 생태계 리좀 플랫폼 마련
    - 계획 3. 종합적인 정신건강도시 프로파일(Mental Health City Profile) 개발
  • 기대효과
  • 본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연구단은 정신건강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에 대한 통합적 해결방안 도출 및 이를 토대로 하는 건강한 환경과 공동체사회 구현 및 지속적 유지를 위하여 정신건강 인식의 사회적 개방, 정신건강중심의 학제 간 융합, 치유의 개념적 확장, 학문의 실효적 구축, 체계의 지속적 운용, 실현의 보편적 적용 등을 연구철학으로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대형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주요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기반의 정신건강증진환경 플랫폼 구축
    - 자살, 고령화, 저출산, 재난, 남북교류, 도시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등 사회적 위기와 변화에 따라 새로이 등장하는 개인 또는 집단 그리고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지속가능한 건강커뮤니티와 환경의 구동방식 및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앞서 기술한 사회적 위기 및 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모델을 제시한다.
    -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구성원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상호연결 및 통섭을 통하여 정신건강증진환경 플랫폼을 제시함으로서 도시재생 등을 통한 건강한 환경구축의 위한 기반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사회기반의 정신건강증진환경 플랫폼은 개인 또는 집단뿐만 아니라 관련 기관이 함께하는 건강한 환경과 공동체 사회의 기반을 형성할 수 있는 자생적인 사회공유구조망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치유환경 마스터플랜의 사회적 보편화 실현
    - 행복한 삶이 가장 중요한 가치인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담론은 ‘인간중심 사회로의 회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이는 동시에 개체 또는 공동체간의 상호인정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평등에 대한 새로운 의미부여의 계기를 제공한다.
    - 이러한 담론을 바탕으로 정신건강과 치유환경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방과 더불어 지역적, 국가적 차원의 확대 재생산 및 지속적 운용이 가능하도록 치유환경 마스터플랜의 사회적 보편화를 단계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이를 통해 인간중심 사회로의 회복과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소인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행복한 삶의 영위를 위한 전제조건중의 하나인 사회적, 물리적 환경 속에서의 가치평등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미래 혁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건강한 공동체 사회 구현
    -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 모두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정신건강증진은 하나의 분야에서 담당할 수 없는 커다란 과제이며 초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거시적 시각이 우선 마련되어야 한다. 본 대형연구를 통하여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확대와 건강하고 열린 사회적 함의를 위한 초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진 이외에 학문과 실무를 아우르는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관련 전문가 집단과 온오프라인의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보편화 과정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문 사회적 연구기반에 미래의 혁신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정보과학부문과의 융합을 더하여 정신건강도시 환경 데이터베이스 및 맵을 구축하고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을 확장하는 등 일상 속에서의 건강한 공동체 사회 구현에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학술적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개선 및 생활치유를 통한 회복된 삶의 가능성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건강 패러다임의 기틀 마련
    둘째, ‘정신건강과 지역사회’을 중심으로 한 초학제적인 교류로 새로운 학문적 지평 확립
    셋째, 생애주기별 정신건강증진프로그램을 통한 삶의 질이 향상된 건강한 지역사회의 환경적 비전 제시
    넷째,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기반으로 하는 보건복지서비스에 대한 자생적 네트워킹 콘텐츠 개발
    다섯째, 보건복지의 선도적 국가기관과의 협약체결 및 적극적인 공동연구 활동 그리고 국가적인 연구센터로의 육성을 통한 국제적인 학문적 위상의 달성
    여섯째, ‘정신건강증진 마스터플랜’에 따른 공공의 컨트롤타워 역량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학문의 시도를 통해 복지후진국, 자살공화국의 오명 탈피
  • 연구요약
  • 본 연구단이 대형단계 진입 후 진행할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사회가 겪고 있는 정신건강의 문제는 그 원인과 결과 모두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고위험군 중심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정책은 한정된 재원과 인력부족으로 일반인의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고위험군의 전문적인 관리에도 비효율과 비효과성을 나타내고 있다. 탈 시설화와 정상화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적, 사회 제도적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해온 정신건강증진 정책과 전략이 보다 다변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정신건강 패러다임과 지역사회 대응전략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을 극복하고 정신건강증진 전략의 사회적 보편성을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단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1) 첫 번째 연구목적인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의 환경적 패러다임 선도‘를 위해 건강복지서비스의 환경적 메커니즘과 지역사회 네트워킹을 구현하고 지속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6년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이후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의료 및 정주환경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의 전체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서비스 메커니즘을 건축, 도시, 사회, 철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2) 두 번째 연구목적인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해 정신건강과 연계된 다양한 환경적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단이 중형단계까지 도출한 정시건강도시지표의 부문별 검토 및 타당성 검증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보편적 치유환경 가이드라인을 구축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신축 또는 증·개축된 정신건강관련시설 유형별 거주 후 평가(POE) 분석을 통한 근거 중심의 환경요인 도출 및 공공시설과 정신보건 관련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치유환경 가이드라인 제시 및 정신건강도시인증제 시범사업 제안서 작성을 통해 국가의 정신건강도시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세 번째 연구목적인 “첨단기술 융합과 개입을 통한 정신건강지원 환경 모델 제시”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개인의 정신건강에 최적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감정기반 공간특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근거로 지역사회의 환경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이다. 대형센터에서는 특히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기술들은 사회의 정책과 가치 및 생활환경과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가정하는 리좀서비스 모델에 따라 지속가능한 정신건강 생태계 리좀 플랫폼을 마련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신사회적 위기와 더불어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하여 대두되고 있는 개인과 집단 그리고 공동체사회에서의 문제점들을 직시하고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환경구축을 위하여 학제간 융합연구를 토대로 통합적 관점에서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신건강과 지역사회』를 주제로 하는 대형단계에서의 연구의 목적과 본 연구센터가 달성하고자 했던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 1.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의 환경적 패러다임 선도
    - 건강복지서비스의 환경적 메커니즘 구현 및 대응전략 제시
    -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킹 구현 및 지속전략 제시
    연구목적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수립
    -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스펙트럼의 제시 및 적용방안 구현
    - 정신건강회복과 지원을 위한 치유환경의 통섭적 방안 제시
    연구목적 3. 첨단기술 융합과 개입을 통한 정신건강지원 환경 모델 제시
    -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정신건강증진환경의 데이터베이스(DB)구축
    -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정신건강지원 리좀서비스 모델 제시

    대형단계 2년동안 본 연구센터에서는 상기 기술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련 학문분야 (사회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철학, 보건학, 정신의학, 정보과학, 건축학, 도시학 등)를 기반으로 통합연구체계를 구축하여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실증연구를 수행, 적용 및 확산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정책적 제안, 전문서적 출간, 연구논문 발표, 심포지엄 및 세미나 개최 등 사회구성원 상호공감프로그램, 연구결과의 적용 및 확산프로그램과 더불어 수행한 주요 연구실적 및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서비스 변화 및 대응,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 및 근린환경의 건강복지서비스 지원방안 모색, 생애주기별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메커니즘 제안,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측정 지표의 타당성 검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단 마련,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네트워킹 구축방안 모색,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의 사회적·물리적 환경요인 역학조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환경적 스펙트럼 분석,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요인 도출, 다양한 환경 스펙트럼별 적용 가능한 치유환경 가이드라인(안) 마련, 지역사회기반 정신건강관련 시설 및 서비스 맵 구축,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환경정보 및 관련 서비스프로그램 분석,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정신건강증진 공간특성 DB 체계구성, 지속가능한 정신건강 생태계 리좀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반구성 등.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연구센터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에 대한 통합적 해결방안 도출 및 건강한 환경과 공동체 사회 구현을 위하여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형단계에서 진행한 주요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정신건강을 둘러싼 환경적, 제도적 패러다임 선도
    -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대응전략 제안
    - 정신건강증진환경의 패러다임 전환과 대응
    - 커뮤니티의 지원적 역할 제안
    - 지역사회 통합적 돌봄을 위한 서비스 스펙트럼 구축 방안 제시
    2) 지역사회 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의 통섭적 방안제시
    - 치유환경 개념적용을 고려한 지역사회 재생환경 조사 및 분석
    - 지역사회기반 의료·복지서비스환경 및 지원기관 데이터베이스(DB)구축
    - 정신건강 관련 지표통합 및 타당성 검증
    - 건강취약자 집단의 치유와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 체계분석
    3) 지역사회 구성원중심의 정신건강 지원환경 구축을 위한 실증적 연구 기틀 마련
    - 국내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서비스 정보 공유
    - 지방도시내 주요 공공이용시설 대상 접근성 기반의 사회적 활동 분석 기반의 물리적 환경 관련 법제도 수립 및 유지관리기준 제시
    - 정신건강 서비스의 효율적 간편이용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
    - 정신건강 측면에서 지역사회 환경과 단독 거주자와의 관계적 특성 및 요인 제시
    4) 근거 중심의 환경요인 및 모델의 통섭적 구축
    - 융합적 과정을 통한 지속 가능한 근거 마련
    - 근거 중심의 치유환경 구축 및 데이터베이스의 최적화
    -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 및 구성원 중심의 지역사회 통섭프로젝트 시도
    - 지역사회 집단주거환경의 치유적 접근 및 계획

    향후 연구체계 및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건강한 공동체사회와 정주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 영문
  • In addition to new social crises the Korean society is currently facing, issues are emerging in individuals, groups, and communal society due to the rapidly changing socio-cultural environment. Thus, to confront these issues, this study seeks to propose solution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based on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a community environment for promoting mental health.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under the subject of “Mental Health and Communal Society” at the macroscopic stage and the detailed objectives that there search center pursued are as follows.

    Research Objective1. Leading the environmental paradigm of promoting mental health for a happy lif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mechanisms of health welfare service and presentation of response strategies
    -Implementation of communal society networking and presentation of sustainable strategie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Research Objective2. Establishment of a master plan for an environment of healing and support for promoting mental health
    -Presentation of an environmental spectrum linked to mental health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s for application
    -Proposal of a consolidated plan for a healing environment for mental health recovery and support
    Research Objective 3. Presentation of an environmental model for mental health support through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and intervention
    -Establishment of a database (DB) of environment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Presentation of mental health support rhizome service model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two years at the macroscopic stage, the research center has established an integrated research system based on related fields of study (social science, social welfare, psychology, philosophy, health science, psychiatry, information science, architecture, urban science, etc.) to pursue the above-described research objectives, and in doing so endeavored to conduct, apply, and promote empirical research for promoting mental health. The following list presents major achievements and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along with programs of mutual sympathy by members of society, such as policy proposals, publication of specialized books, presentation of research papers, hosting symposiums and seminars, and programs for apply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results.
    Changes in services and responses thereto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exploration of measures to support health welfare services in residential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to improve quality of life; proposals for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romotion service mechanisms by life cycle; review of the validity of indicators for measuring social capita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ies; establishing a community network foundation for promoting mental health; exploration of ways to establish sustainable community network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conducting epidemiological surveys of community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analysis of various environmental spectrums in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deriving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preparing guidelines (proposals) for healing environments applicable to various environmental spectrums; establishing community-based mental health-related facilities and service maps; analysis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relevant service program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establishing a database (DB) system of mental health-promoting spatial characteristics to utiliz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nstruct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mental health rhizome platform ecosystem, etc.

    The Research Center for Mental Health and Communal Society conducted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research in order to derive integrated solutions for issues in the social and physical community environment and to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and communal society.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at the macroscopic stage and corresponding plans for utilization areas follows.

    1) Leading the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paradigm surrounding mental health
    -Propose respon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re 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Respond to the paradigm shift of environments for promoting mental health
    -Propose supportive roles for the community
    - Present plans to build a service spectrum for integrated care for local communities
    2) Proposal of consolidated plans to improve mental health through analysis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nvestigate and analyze regenerative environments in local communiti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ceptual application of healing environments
    -Establish a database (DB) of community-based medical and welfare service environments and support institutions
    -Integrate mental health-related indicators and verify their validity
    -Analyze community systems for the healing and rehabilitation of health-vulnerable groups
    3) Establishment of a framework for empirical research to build a mental health support environment centered on community members
    -Share information on mental health-related institutions and services in Korea
    -Establish a physical environment-related legal system based on analysis of social activities regarding accessibility to major public facilities in local cities, and present maintenance standards
    -Implement a pilot project for effective and simple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Present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each resident in terms of mental health
    4) Consolidated building of basis-oriented environmental factors and models
    -Establish a sustainable basis through an integrated process
    -Build a basis-oriented healing environment and optimize database
    -Attempt community consolidation projects oriented towar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mbers of the community
    -Follow a therapeutic approach and plan the community collective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esearch system and results, related research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o promot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groups, and communal society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upon which continuous efforts will be made to create a healthy communal socie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신사회적 위기와 더불어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하여 대두되고 있는 개인과 집단 그리고 공동체사회에서의 문제점들을 직시하고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환경구축을 위하여 통합적 시각으로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신건강과 지역사회』를 주제로 하는 대형단계에서의 연구의 목적과 본 연구센터가 달성하고자 했던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 1. 행복한 삶을 위한 정신건강증진의 환경적 패러다임 선도
    - 건강복지서비스의 환경적 메커니즘 구현 및 대응전략 제시
    -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킹 구현 및 지속전략 제시
    연구목적 2.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지원환경 마스터플랜 수립
    -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스펙트럼의 제시 및 적용방안 구현
    - 정신건강회복과 지원을 위한 치유환경의 통섭적 방안 제시
    연구목적 3. 첨단기술 융합과 개입을 통한 정신건강지원 환경 모델 제시
    -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정신건강증진환경의 데이터베이스(DB)구축
    -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하는 정신건강지원 리좀서비스 모델 제시

    위에 기술한 세부목표에 따라 본 연구센터는 대형단계 연구 진행 2년 동안 사회복지부문, 심리철학부문, 보건학부문, 정신의학부문, 정보과학부문, 건축도시학부문 등의 전문분야를 기반으로 통합연구체계를 구축하여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실증연구를 수행, 적용 및 확산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정책적 제안, 전문서적 출간, 연구논문 발표, 심포지엄 및 세미나 개최 등 사회구성원 상호공감프로그램, 연구결과의 적용 및 확산프로그램과 더불어 수행한 주요 연구실적 및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서비스 변화 및 대응,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 및 근린환경의 건강복지서비스 지원방안 모색, 생애주기별 지역사회 기반 정신건강증진 서비스 메커니즘 제안,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측정 지표의 타당성 검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단 마련,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네트워킹 구축방안 모색,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의 사회적·물리적 환경요인 역학조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환경적 스펙트럼 분석, 정신건강과 연계된 환경적 요인 도출, 다양한 환경 스펙트럼별 적용 가능한 치유환경 가이드라인(안) 마련, 지역사회기반 정신건강관련 시설 및 서비스 맵 구축,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환경정보 및 관련 서비스프로그램 분석,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정신건강증진 공간특성 DB 체계구성, 지속가능한 정신건강 생태계 리좀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반구성 등.

    향후 연구체계 및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건강한 공동체사회와 정주환경의 구현을 위하여 노력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연구센터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문제점에 대한 통합적 해결방안 도출 및 건강한 환경과 공동체 사회 구현을 위하여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형단계에서 진행한 주요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정신건강을 둘러싼 환경적, 제도적 패러다임 선도
    -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대응전략 제안
    - 정신건강증진환경의 패러다임 전환과 대응
    - 커뮤니티의 지원적 역할 제안
    - 지역사회 통합적 돌봄을 위한 서비스 스펙트럼 구축 방안 제시
    2) 지역사회 환경요소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의 통섭적 방안제시
    - 치유환경 개념적용을 고려한 지역사회 재생환경 조사 및 분석
    - 지역사회기반 의료·복지서비스환경 및 지원기관 데이터베이스(DB)구축
    - 정신건강 관련 지표통합 및 타당성 검증
    - 건강취약자 집단의 치유와 재활을 위한 지역사회 체계분석
    3) 지역사회 구성원중심의 정신건강 지원환경 구축을 위한 실증적 연구 기틀 마련
    - 국내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서비스 정보 공유
    - 지방도시내 주요 공공이용시설 대상 접근성 기반의 사회적 활동 분석 기반의 물리적 환경 관련 법제도 수립 및 유지관리기준 제시
    - 정신건강 서비스의 효율적 간편이용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
    - 정신건강 측면에서 지역사회 환경과 단독 거주자와의 관계적 특성 및 요인 제시
    4) 근거 중심의 환경요인 및 모델의 통섭적 구축
    - 융합적 과정을 통한 지속 가능한 근거 마련
    - 근거 중심의 치유환경 구축 및 데이터베이스의 최적화
    -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 및 구성원 중심의 지역사회 통섭프로젝트 시도
    - 지역사회 집단주거환경의 치유적 접근 및 계획
  • 색인어
  • 정신건강, 지역사회, 치유환경,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삶의 질, 행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