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면주전 《別出次知盟文謄錄》 역주 및 한말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 연구
A Translation of 《別出次知盟文謄錄》and a Study on the Human and Finacial Resourses of Myeonjujeon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1029040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미성
연구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는 1888~1892년과 1898~1913년 면주전 都中의 회의록에 해당하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일본 京都대학 河合文庫 소장)을 譯註함으로써 해체 직전 면주전의 구체적 실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에 있다. 그 분석을 토대로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의 추이를 검토함으로써,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업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전통적 특권상인조직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이후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밝히는데 본 연구의 이차적인 목표가 있다. 이를 통해 개항 전후 상업사에서의 연결성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조선후기 시전상인은 ‘특권어용상인’의 대표주자로 여겨졌고, 개항 이후 상업체제의 격변 속에서 필연적으로 몰락할 수밖에 없는 존재로 서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 속에서 시전의 변화상은 거시적 관점 속에서 파악될 수는 있었으나, 그 구체적인 내부의 운영시스템이나 네트워크는 주목되지 못했다. 한편, 개항 이전과 이후의 상인들을 단절적으로 바라볼 수 없고 전후의 연결성을 고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됨에 따라 개항 전후의 연결고리로서 시전상인이 주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근대적 회사․조합으로 전환되지 못한 시전의 경우 연구에서 배제되는 경향이 있었고, 면주전 역시 몰락한 시전 사례로만 언급될 뿐이었다.
    최근 교토대학 河合文庫에 소장되어 있던 방대한 양의 면주전 문서를 비롯한 각종 시전 자료의 발굴과 활용을 통해서 시전의 대체적인 조직 구성을 드러내는 연구 성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면주전 문서는 그 자료적 특징이 재정리될 필요가 있다. 현전하는 면주전 자료는 조합 중심부[都中]에서 남긴 자료가 대부분이다. 시전 都中은 그 구성원들을 대변하여 進排와 國役을 수행하고 조합 자금과 조직을 관리․운영하는 역할을 하였다. 면주전 문서에서 국가와의 관계가 두드러지고, 민간 대상의 실질적인 거래실태가 잘 드러나지 않는 이유는, 현전 자료의 작성 주체가 주로 都中조직이었기 때문이다. 시전이 민간 대상의 거래를 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던 일부 연구는 면주전 문서의 자료적 특징을 간과하여 오해를 만들게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면주전 都中 문서의 성격을 재정립한 가운데 그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 각 시전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해제작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확한 의미가 밝혀지지 못한 조직명이나 용어들도 많은 상황이므로 각각의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상호 대조․비교작업도 필요하다.
    본 연구과제는 지금껏 검토되지 못했던 면주전 都中 내부의 회의록 자료인 《別出次知盟文謄錄》를 검토하고, 면주전 문서의 분석을 통해 면주전의 인적․물적 구성과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내부의 시선으로 한말 시전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이로써 선행 연구를 보완하여 한말 시전의 구체적 실상을 밝히고 개항 전후 상업의 변화상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년차 연구결과물로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의 역주본과 함께 <한말 면주전 都中의 현안과 대응>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나올 수 있을 것이며, 2년차 연구결과물로는 한말 면주전의 인적․물적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와 함께 <한말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과 추이>라는 제목의 논문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상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학계에서 활용되지 못했던 《別出次知盟文謄錄》의 자료적 가치를 소개하고 자료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래 河合文庫 소장본에 포함되어 있었던 낱장으로 된 몇몇의 <別出次知盟文立章>들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일본소재한국고문서》에서도 원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도 온라인으로 원문 이미지와 해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別出次知盟文立章>들을 모두 모아 시기순으로 정리한 《別出次知盟文謄錄》의 존재는 널리 알려지지 못한 채 국립중앙도서관 해외유출자료영인본으로서 제한적으로 열람이 되고 있다. 이 자료를 열람한다고 하더라도 그 속에 나오는 용어들이 일반적이지 않고 상당 부분 초서로 흘려쓴 경우가 있어 내용 파악이 쉽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역주본을 만들 수 있다면 이 자료에 대한 자료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전 都中의 회의결과보고서’로서 지니는《別出次知盟文謄錄》의 자료적 가치가 학계에 소개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외부적 요인으로 단순 쇠퇴․소멸된 것으로 이해되었던 한말의 시전을 내부의 시선으로도 접근함으로써 구체적인 시전 내부의 운영시스템과 네트워크, 그리고 시기별 변화 양상을 밝힐 수 있다. 그동안 시전에 대한 연구는 자료의 한계로 대부분 정부측 기록, 회사․조합 자료, 신문자료 등 외부 자료를 근거로 분석될 수밖에 없었다. 이를 통해 거시적인 상업질서의 변화 속에서 시전의 입지 변화는 밝혀졌으나 실제 시전의 내부 사정을 미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직접적 사료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시전 내부의 구체적 변화상과 외부의 거시적 변화상이 함께 설명될 수 있다면 시전 연구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셋째, 해체 직전 면주전 도중 산하조직의 인적 구성과 보유 자금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전통 상인의 인적․물적 자산이 근대적 상업질서 속에 어떻게 녹아들어갔는지 추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역사의 연속성을 생각해 볼 때, 시전이라는 상업기구는 쇠퇴․몰락하였다 하더라도 그 속에 존재하였던 사람과 자산은 어디로든 연결되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근대적 회사․조합으로의 전환에 성공했느냐 여부를 떠나 시전 도중의 인적․물적 자산의 변화 추이를 추적하여 그 명단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한국근현대회사조합자료처럼 기초적인 연구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한말 시전 내 산하조직들의 보유자금의 현황도 일찍이 정리되지 못한 부분이므로, 이 부분을 밝혀낸다면 향후 연구의 근거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1년차: 《別出次知盟文謄錄》의 내용을 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한말 면주전 도중이 당면했던 현안과 그에 대한 대응 양상을 정리하고자 한다.
    (1)《別出次知盟文謄錄》을 탈초, 번역하고 주석을 다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시전 자료 또는 면주전 문서에서만 등장하는 특수 용어들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함께 이루어질 것이다.
    (2)《別出次知盟文謄錄》의 내용을 면주전 도원들의 가입․탈퇴․재가입․권리․의무 등과 관련된 문제들, 각종 진배용 명주의 마련과정과 관련된 문제들, 자금의 융통․대출․상환과 관련된 문제 등의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3) 한말 면주전이 당면했던 현안이 무엇이었는지, 그에 대한 대응책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여 <한말 면주전 都中의 현안과 대응>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작성한다.

    2년차: 면주전 문서 전체에서 추출해낼 수 있는 인적․물적 정보들을 정리하고 그 변화 추이를 분석한다.
    (1) 면주전 문서에 기록된 인적 정보를 정리한다. 면주전 문서의 각 장부들은 각 시기별 기록 말미에 당시 간부․임원진 명단을 기입하고 있다. 또 면주전 산하의 각 계․소들이 남긴 각각의 ≪傳掌謄錄≫들에는 族仍留人, 都仍留人, 時摓授人, 稍實人, 私貸秩 등의 명목 아래 해당자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1916년까지도 면주전 都中의 구성원은 130명에 이르렀던 것으로 확인되는 만큼, 그 인적 정보를 시기별․직급별․유형별로 정리함으로써 한말 상인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면주전 산하 조직들 각각의 자금 사정과 그 추이를 분석한다. 면주전 산하 각 契․所들의 ≪傳掌謄錄≫들을 분석함으로써, 각 조직 간의 자금 규모 차이가 어떠하였으며, 시기에 따라 자금 사정이 어떠한 추이를 보였는지 분석할 것이다. 또 각 契․所 상호간에 移來․移去한 자금, 정부로부터의 散貸錢이나 외부 대출금에 대한 이자 지출 내역들을 분석함으로써 면주전 내 자금의 흐름과 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族仍留人, 都仍留人, 時摓授人, 稍實人, 私貸秩 등의 명목으로 관리되었던 각 금액들의 성격과 이동 경로도 함께 분석할 것이다.
    (3) 면주전 문서에 기록된 인적․물적 정보를 추출하여 정리한 후에는 <한말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과 추이>를 실증하여 논문을 작성할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는 1888~1892년과 1898~1913년 면주전 간부진의 회의록에 해당하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일본 京都대학 河合文庫 소장)을 번역·정리함으로써 해체 직전 면주전의 구체적 실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본 연구의 이차적인 목표는 면주전문서에서 추출될 수 있는 각종 인적․물적 정보들을 종합·검토함으로써,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업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전통적 특권상인조직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이후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있었다.
    1년차 연구기간에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을 통해 당시 면주전 도중의 현안과 그 대응 방식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째, 《別出次知盟文謄錄》의 탈초와 번역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면주전 次知들이 논의한 각 사안들을 목록화하였고, 유형별로 내용을 분류하였으며 특정 용어의 용례를 검색‧취합하였다.
    둘째, 위 자료를 토대로 19세기 말 20세기 초 면주전의 가장 큰 현안은 ‘接房人의 감소 문제의 해결’이었다는 점을 포착하였다. ‘接房人’은 시전의 실질적 영업 점포에 해당하는 각 房에 들어와 영업을 하던 사람을 일컬었다. ‘接房人 감소’의 문제는 시전의 전반적 운영에 연쇄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도중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직·간접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였다. 접방인에 대한 지불가격 인상, 인원 충원책, 간부진의 실무 투입 등이 그 예였다.
    면주전의 인원수는 다층적인 구조 속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면주전은 간부들의 모임인 大房과 일반 구성원들의 모임인 裨房으로 구성되었고, 각각 그 산하에 여러 세부 조직들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접방인 수의 추이를 좀 더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추가적 자료 분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면주전 문서 중 《房稅冊》, 《各房房稅冊》, 《外三房房稅輪回充定座目》 등도 추가적으로 분석·정리하였다. 또 1864~1906년 大房과 裨房의 元額 변화가 기록되어 있는 《朔饌分兒冊》도 참조하였다. 분석 결과, 면주전 조직의 와해 과정은 ‘各房(接房)-裨房-大房’의 순서로 진행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년차 연구기간에는 면주전문서 전체에서 추출해낼 수 있는 인적․물적 정보들을 종합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1861년부터 1913년까지 면주전 임원층의 명단을 정리하였다. 면주전문서의 여러 장부들은 각각의 기록 분기마다 당시의 임원진 명단을 기재하였는데, 이 부분들을 모두 종합하여 시간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 결과, 각 임원의 대체적인 교체 주기와 연임·중임·이동 양상과 예우 방식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면주전 산하의 각 契․所들이 남긴 각각의 《傳掌謄錄》에 기재되어 있는 族仍留人, 都仍留人, 時摓授人, 稍實人, 私貸秩, 權貸秩 등의 대출자 명단과 각 이름에 딸린 금액들을 모두 정리하였다. 모든 契·所의 항목별 명단을 시계열 순서대로 통합하여 정리함으로써, 항목별·인물별 대출 상황과 시기별 대출 상황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에 용이하도록 기초 작업을 해두었다. 각 명목들의 개념은 《別出次知盟文謄錄》의 문맥 속에서 구체적으로 추적·분석할 수 있었고, 《傳掌謄錄》이 지니는 대출 장부로서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각 계․소들의 《上下冊》·《上用冊》·《傳掌謄錄》들에 기록된 수입·지출 내역들을 정리하였다. 여러 조직들의 기록을 시계열에 따라 종합하여 정리하였더니, 특수 조직들을 제외한 여러 계․소들의 수입·지출 내역은 대부분 상호 일치되었다. 이를 토대로, 면주전 내부 조직들이 각각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고 있었는지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면주전 구성원들의 장례 부조에 관한 기록들을 모두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각 계․소들의 지출 내역의 상당수는 잿돈[齋錢] 또는 부의금(賻儀錢) 명목이었고 일정한 규칙성이 있었다. 이 부분은 면주전의 멤버십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는 주제에 해당되므로 면주전 문서 중 장례 부조와 관련된 장부들도 추가로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고, 《齋案冊》·《別賻儀冊》·《松炬上下冊》 등의 자료들을 추가로 정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그동안 외부적 요인으로 단순 쇠퇴․소멸된 것으로 이해되었던 한말의 시전을 내부의 시선으로도 접근함으로써 구체적인 시전 내부의 운영시스템과 네트워크, 시기별 변화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번역·정리된 면주전 자료들은, 조선후기의 시전 및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 상인의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확장해 나갈 때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 영문
  •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inal dismantling process of Myeonju-jeon(綿紬廛, Silk Shijeon), which was one of the traditional merchant organization, by translating and organizing the The Meeting Reports of Executives (別出次知盟文謄錄) of 1888-1892 and 1898-1913. The second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privileged merchant organization were inherited dur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ercial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by synthesizing the human and economic information of Myeonju-jeon Documents.
    During the first year of this project, the urgent issues of the Myeonju-jeon leadership and its countermeasure were analyzed. To do so, decode and translation of The Meeting Reports of Myeonju-jeon were preceded. In addition, each issue discussed by the executives of Myeonju-jeon was listed, categorized by topic. Examples of unknown special terms were also searched and collected.
    Due to this work, it was captured that the biggest issue of the Myeonju-jeon Guil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as ‘solving the problem of decreasing number of Jeob’bang(接房, shop occupant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hop occupants caused a series of problems in the entire Shijeon guild's operating system. The guild executives were forced to come up with direct and indirect countermeasures, such as increasing payments which should be given to the occupants, or recruiting and mobilizing more members, or even having senior members engage in active duties, to solve this problem.
    The number of Myeonju-jeon members needs to be understoo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Because this organization is divided into Bibang(裨房, community of ordinary members) and Daebang(大房, community of senior members), and there are several detailed departments within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nt payment books were additionally reviewed to reveal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hop occupants, and the number of Bibang and Daebang members was analyzed with data that were recorded every ye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yeonju-jeon organization was dismantled in a certain order. First the respective shop occupants left, then the Bibang was broken up, and finally the Daebang circle was dismantled.
    We can see that the Shijeon’s downfall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not a simple process. When it became clear that the Myeonju-jeon marketplace would no longer guarantee a certain level of profit, the members of individual shops left the Shijeon marketplace. However, even after Bibang was finally abolished in 1905, Daebang was still left to attend to the marketplace’s remaining financial tasks and mutual aid efforts.
    During the second year of this project, human and economic information that could be extracted from the entire Myeonju-jeon Documents was comprehensively organized and analyzed.
    First, the list of executives from 1861 to 1913 was compiled. The lists of executives listed in most of the ledgers of Myeonju-jeon’s internal organizations were gathered and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eneral replacement cycle, the pattern of reappointment, retirement, change of position, and manners of courtesy for each executive.
    Second, the list of borrowers and the amount of loans listed in the ledgers of each internal organization in Myeonju-jeon were compiled. By integrating and organizing the list of loan items of all organizations in chronological order, basic work has been made so that it is easy to analyze not only the loan situation by item and person at the same time, but also the long-term loan situation. The definition of each loan title was also tracked and analyzed in detail through the contexts of the The Meeting Reports of Myeonju-jeon, which was translated during the first yea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ledger of each organization, called ‘Jeon-jang Deung-rok(傳掌謄錄)’, had a loan function.
    Third, the income and expenditures recorded in the ledgers of each organization were analyzed. When the records of various organizations were synthesized according to a time series, the contents of income and expenditure of several organizations except for some special organizations were mutually identical. Through this fact, it was also possible to see how the internal organizations in Myeonjujeon were sharing their roles.
    Fourth, all records on funeral aids for Myeonjujeon members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Much of the expenditure title of each organization was funeral subsidies and there were certain rules among them. Since this is an important topic to materialize the membership of the organization, I explored additional records related to funeral aids among the Myeonju-jeon Documents and organized them.
    Through the above studies, it was possible to clarify the internal operating system, network, and changes of Shijeon, which was understood to have simply declined or disappeared due to external factor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The comprehensive data of the Myeonjujeon Document translated and organized in this research project will also be used to continue and expand research on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merchants not only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also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는 1888~1892년과 1898~1913년 면주전 都中의 회의록에 해당하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일본 京都대학 河合文庫 소장)을 譯註함으로써 해체 직전 면주전의 구체적 실상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그 분석을 토대로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의 추이를 검토함으로써,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업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전통적 특권상인조직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이후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본 연구의 이차적인 목표가 있었다. 이를 통해 개항 전후 상업사에서의 연결성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1년차 연구기간에는 《別出次知盟文謄錄》을 통해 당시 면주전 도중의 현안과 그 대응 방식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첫째, 《別出次知盟文謄錄》의 탈초와 번역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면주전 次知들이 논의한 각 사안들을 목록화하였고, 유형별로 내용을 분류하였으며 특정 용어의 용례를 검색‧취합하였다.
    둘째, 19세기 말 20세기 초 면주전 都中의 가장 큰 현안은 ‘接房人의 감소 문제의 해결’이었다는 점을 포착하였다. ‘接房人’은 시전의 실질적 영업 점포에 해당하는 각 房에 들어와 영업을 하던 사람을 일컬었다. ‘接房人 감소’의 문제는 시전의 전반적 운영에 연쇄적인 문제를 야기했다. 도중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직·간접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였다.
    접방인 수의 추이를 좀 더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추가적 자료 분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면주전 문서 중 《房稅冊》, 《各房房稅冊》, 《外三房房稅輪回充定座目》 등도 추가적으로 분석·정리하였다. 또 1864~1906년 大房과 裨房의 元額 변화가 기록되어 있는 《朔饌分兒冊》도 참조하였다. 분석 결과, 면주전 조직의 와해 과정은 ‘各房(接房)-裨房-大房’의 순서로 진행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년차 연구기간에는 면주전문서 전체에서 추출해낼 수 있는 인적․물적 정보들을 종합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1861년부터 1913년까지 면주전 임원층의 명단을 정리하였다. 면주전문서의 여러 장부들은 각각의 기록 분기마다 당시의 임원진 명단을 기재하였는데, 이 부분들을 모두 종합하여 시간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그 결과, 각 임원의 대체적인 교체 주기와 연임·중임·이동 양상과 예우 방식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면주전 산하의 각 계․소들이 남긴 각각의 《傳掌謄錄》에 기재되어 있는 族仍留人, 都仍留人, 時摓授人, 稍實人, 私貸秩, 權貸秩의 명단과 각 이름에 딸린 금액들을 모두 정리하였다. 모든 契·所의 항목별 명단을 시계열 순서대로 통합하여 정리함으로써, 같은 시기 각 항목별 인물들의 자금 사정과 시기별 변화 과정을 분석하기에 용이하도록 기초 작업을 해두었다. 각 명목들의 개념은 《別出次知盟文謄錄》의 문맥 속에서 구체적으로 추적·분석하였고, 《傳掌謄錄》의 관리 방식도 분석하였다.
    셋째, 각 계․소들의 《上下冊》·《上用冊》·《傳掌謄錄》들에 기록된 上下·上用 내역들을 정리하였다. 여러 조직들의 기록을 시계열에 따라 종합하여 정리하였더니, 특수 조직들을 제외한 여러 계․소들의 上下·上用 내역은 대부분 상호 일치되었다. 이를 토대로, 면주전 내부 조직들이 각각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고 있었는지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면주전 구성원들의 장례 부조에 관한 기록들을 모두 취합하여 정리하였다. 각 계․소들의 上用[지출] 내역의 상당수는 齋錢 또는 賻儀錢 명목이었고 일정한 규칙성이 있었다. 면주전 문서 중 장례 부조와 관련된 장부들도 추가로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고, 《齋案冊》·《別賻儀冊》·《松炬上下冊》 등의 자료도 정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그동안 외부적 요인으로 단순 쇠퇴․소멸된 것으로 이해되었던 한말의 시전을 내부의 시선으로도 접근함으로써 구체적인 시전 내부의 운영시스템과 네트워크, 시기별 변화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번역·정리된 면주전 자료들은, 조선후기의 시전 및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 상인의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를 지속·확장해 나갈 때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년차 연구결과물은 먼저 2019년 6월 27일 한국역사연구회 중세2분과 월례발표회에서 “19세기 말 면주전 접방(接房)의 감소와 도중(都中)의 대응 -《별출차지맹문등록(別出次知盟文謄錄)》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다. 당초 연구계획서에서 예정하였던 논문 제목은 〈한말 면주전 都中의 현안과 대응〉이었지만, ‘현안’ 중 핵심 사안으로 여겨지는 ‘접방인의 감소’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두고 발표문을 작성하였다. 학계의 의견을 청취한 후 발표문을 수정·보완하였고, 〈19세기 말 면주전 접방(接房)의 감소와 도중(都中)의 대응〉을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인 《역사와 현실》 114호에 2019년 12월 31일자로 게재 완료하였다.
    1년차 연구 과정에서 번역한 《別出次知盟文謄錄》의 역주본은 좀 더 시간적 여유를 두고 꼼꼼히 여러 차례 검토한 후 마무리를 할 계획이다. 자료 전체의 목록화와 내용 유형별 분류 작업은 해두었고 탈초와 번역도 상당 부분 진행하였으나, 시전 자료에서만 나타나는 특수한 용어와 개념들에 대해서는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2년차 연구 수행 결과들을 참고하여 번역문을 다시 한 번 훑으면서 오류를 바로 잡고 미처 해석하지 못했던 부분들도 채워나갈 계획이다. 역주본을 펴낼 수 있다면 이 자료에 대한 자료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당초 2년차 연구결과물로 계획했던 것은 ‘한말 면주전의 인적․물적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와 〈한말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과 추이〉라는 제목의 논문이었다. 면주전의 인적·물적 정보에 대한 기초자료는, 여러 면주전 자료들이 담고 있는 정보들을 종합정리함으로써 마련할 수 있었다. 이 기초자료는 본 연구의 분석을 용이하게 해주었고 추후 연구를 확장해 나갈 때에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또 여기서 정리된 인적 정보들이 한국근현대회사조합자료처럼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여러 연구자들에게도 공유될 수 있다면, 조선시대와 근대의 상업사 연구를 발전적으로 연결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편, 〈한말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과 추이〉라는 논문은, 좀 더 세분화된 소주제로 나누어 여러 편의 논문으로 변경하여 작성할 계획이다. 앞서 연구 수행과정에서 자료 속 각종 용어들을 정확한 의미와 용례를 추적하는 작업, 각 회계장부들 간의 상호관계성을 밝히는 작업, 추가적인 자료들을 발굴하여 학계에 소개하는 작업, 면주전 내부 조직의 각 층위별로 운영방식을 구체화하는 작업, 면주전의 금융 기능과 구성원들의 대출관계를 규명하는 작업, 면주전의 상부상조 문화의 구체상을 규명하는 작업 등이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먼저, 〈19세기 후반 면주전 契·所 단위 회계장부류의 양식과 상호관계성〉(가제)라는 논문을 작성하여, 활용 자료의 성격을 명확히 한 토대 위에서 각 契·所들의 운영 방식과 상호관계를 밝혀낼 계획이다. 이 논문은 2020년 9월 12일 한국고문서학회 제226회 연구발표회에서 “19세기 후반 면주전 契·所 단위 회계장부류의 양식과 상호관계성”이라는 제목으로 이미 발표하였고, 학계의 조언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발표문은 수정·보완 후 동일 학회의 학술지인 《고문서연구》에 투고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면주전 都中의 인적․물적 구성이 윤곽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2년차 연구 과정에서 확인된 면주전 구성원에 대한 각 契·所의 장례 부조 내용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면주전의 장례 부조 방식〉(가제)라는 논문을 작성할 때에 활용할 계획이다. 또 2년차 연구에서 마련된 1861년부터 1913년까지 면주전 임원층의 명단과 기타 여러 인적 정보들을 토대로, 〈조선후기 면주전의 임원층 구성과 그 예우 방식〉(가제)이라는 논문을 작성할 계획이다. 그 밖에도 면주전 내에서 별도의 貢人契로서 결성된 歲幣契에 주목하여 〈조선후기 市廛의 貢人契 결성 사례 연구 - 면주전 내 歲幣契의 독립적 운영-〉(가제)라는 논문도 계획하고 있다.
  • 색인어
  • 면주전, 육의전, 시전, 도중(都中), 별출차지맹문등록(別出次知盟文謄錄), 각방(各房), 접방(接房), 비방(裨房), 대방(大房), 전장등록(傳掌謄錄), 대출 장부, 회계 장부, 상부상조, 재전(齋錢), 부의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