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관광레저분야 사업자협동조합의 특성과 성공요인 연구
Cooperatives in Tourism: An Exploratory Study of Operational Models and Success Facto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3038534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2 년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권유홍
연구수행기관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허문경(전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에 대한 실태와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레저분야 사업자협동조합의 성공적인 안착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요인을 찾아 국내 실정에 적합한 육성시스템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250여 개에 이르는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의 설립 및 운영 현황과 구조적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관광레저산업 및 국내 협동조합 운영현실에 적합한 유형화를 시도한다. 셋째,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과 관련된 사회적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넷째, 공동체적 기업인 협동조합의 초기 안착과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한다. 다섯째, 최근 사업자협동조합의 변화 추세를 반영하여 관광레저분야 사업자협동조합 육성방안을 제시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으로는 국내에서 관광레저분야 사업자협동조합이 최근 급속하게 증가한 배경과 협동조합의 설립목적, 사업모델 등 그 구조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협동조합의 발전단계에 있어서 성공요인 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일반 관광사업체 협동조합과 지역관광공동체 협동조합을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은 관광레저분야에서 사업자협동조합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 분야 후속연구의 토대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실용적으로는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함은 물론 협동조합 성공요인을 발전단계 및 사업유형, 적합도와 결정도로 나누어 파악하고, 협동조합의 세계적 변화추세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육성전략을 제시하여 관광레저분야 사업자협동조합의 발전은 물론 사회적경제 전반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다른 연구방법과 함께 사용하는 통합방법연구를 수행한다.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의 성공과 실패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사례연구가 주요 연구방법이지만, 더욱 포괄적이면서 하위 분석단위에 대한 자료까지 수집하기 위하여 심층인터뷰나 FGI, 그리고 설문조사나 다른 양적 기법을 함께 사용하는 주-부 패러다임 혼합설계를 실시한다. 또한 협동조합과 관련한 사회적 현상을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론에 의한 분석을 함께 실시한다.
    사례연구는 일반 관광사업체 협동조합과 지역관광공동체 협동조합으로 구분하여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다중사례연구를 채택한다. 국내에는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을 상세히 다룬 자료가 없으므로 먼저 일본과 캐나다, 유럽 등에서 각각 3∼4개 업체를 선정하여 문헌 및 현지방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2회에 걸쳐 국내에서 실시할 계획이다. 1차 조사에서는 약 250여개에 이르는 전체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2차 조사에서는 경영성과 추이는 물론 협동조합 성공요인에 대한 단계별 구분 및 성공요인의 적합도-결정도 분석(RDA)을 위한 자료를 수집할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의 특성을 파악하고 공통적인 성공요인을 찾아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협동조합 명 검색 등을 통해 선정한 375개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57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은 주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들이 수익 및 일자리 창출과 같은 경제적 필요에 따라 설립하지만 지역사회 공헌과 같은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도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숙박업과 여행업을 많이 운영하지만, 하나의 업종에 집중하기 보다는 수익창출을 위해 평균 세 종류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조합원 수 및 재무상태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열악한 상태에 있었으며, 판로 개척 및 사업공간 지원 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인적 결사체라는 협동조합의 본질적 특성에 주목하여 협동조합 성과 창출과정을 정리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협동의 장점이 잘 발휘되면서 조합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업종 또는 사업 분야에서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조직역량에서는 인적자원 가운데 특히 리더의 헌신과 능력, 그리고 조합원 간 신뢰와 협동이 중요하며, 협동조합의 부족한 경쟁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 간 및 외부 기관과의 적극적인 연대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협동조합 설립초기에는 ‘리더의 역량과 헌신’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나, 이후 성장단계에서는 ‘조합원 간 신뢰와 협동’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협동조합에 적합한 업종과 사업의 선정 또는 전환’은 사업이 진행되면서 중요성이 다소 감소하지만, ‘협동조합 간 협력 및 외부기관과의 연대’는 점차 중요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외 심층 사례조사는 일본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보고서와 협동조합 홈페이지, 페이스북 등의 문헌자료와 관계자 인터뷰를 토대로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의 성공요인은 1) 리더십에 기반을 둔 협력시스템의 구축, 2) 대도시에서의 경험으로부터 비롯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능력, 3) 경관조성 등 가시적인 협력사업, 4) 노천온천과 노천온천 공동이용권 등 차별화된 콘텐츠, 5) 접근성의 개선과 국제관광지 육성을 위한 행정사업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은 ‘사업자협동조합’이면서 ‘지역공동체협동조합’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19년에 이어 2020년 봄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에 대한 2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협동조합 설립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 년 말 기준 관광레저분야에 일반협동조합이 500개 이상 설립된 것을 알 수 있었고, 60부의 설문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1차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은 주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들이 설립하고 있으며, 국내 협동조합 전체 평균보다 조합원 수와 투자 규모 측면 등에서 매우 영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설립 목적에 있어서는 오히려 지역사회에 공헌한다는 사회적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관광레저분야에 적합한 협동조합 유형화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연구를 살펴본 결과, 국내 분류에서 사용하는 소비자․사업자․직원협동조합은 공통적으로 발견되나,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은 대부분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현실에 맞도록 조합원 구성과 협동조합의 사업 기본방향(비즈니스 지향형-지역공동체 지향형)을 분류기준으로서 함께 고려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르면,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은 분류 유형에서 제외되고, 대신 프리랜서협동조합과 지역공동체협동조합이 추가된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관광레저분야 60개 일반협동조합에 적용한 결과, 사업자 26개, 프리랜서 17개, 직원협동조합 4개(이상 비즈니스 지향형), 소비자협동조합(혼합형) 2개, 그리고 지역공동체협동조합 11개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레저분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등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uccess factors of cooperatives in the tourism and leisure service sectors. As a first step in research, 375 cooperatives in these fields were selected. Data was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that surveyed 57 cooperatives. The results show that small entrepreneurs and freelancers launched cooperatives not only to create profit and employments, but also to realize social value. Their most representative business consists of lodging and travel. Most have made their greatest efforts into marketing and needed support related to securing a marketing channel and business space.
    Subsequently, in order to identify the common success factors of cooperatives in the tourism and leisure field, a wide range of literature on domestic and foreign cooperative success factors was reviewed. It was found that business models should be developed in the business sectors that can meet the needs of cooperative members while showing the benefits of collaboration. In organizational aspect, the dedication and competence of leaders, and the trust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t was also found that active solidarity between cooperativ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is necessary to complement competitiveness of cooperatives. The survey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Results from 157 surveys show that 'trust and cooperation among members' and 'competence and dedication of leaders' were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s.
    An in-depth overseas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Kurokawa Hot Spring Cooperative in Japan. The case analysis was based on bibliographic data(including existing research papers, the Cooperative's website and facebook page, three publicity and information materials acquired during the survey, five reports provided by the Cooperative secretariat), and interviews with appropriate parties. The interviews primarily addressed the success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v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ading success factors were 1)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based on the leadership; 2) the ability to identify the needs of customers and to lead the trend based on the experience earned in large cities; 3) visible cooperative projects such as landscaping; 4) unique features such as outdoor hot springs and tickets that can be used to enjoy any of the outdoor hot springs in the community; and 5) projects to improve the traffic accessibility and to foster international tourist attractions.
    As a result of looking at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ies to categorize cooperatives suitable for the field of tourism and leisure in Korea, consumer, business, and employee cooperatives used in domestic cooperative type classification are found in common, but multi-stakeholder cooperatives are not includ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position of members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ooperative's business(business-oriented and community-oriented) are useful as classification criteria tailored to the domestic situation. According to this, multi-stakeholder cooperatives are excluded from the classification type, and freelance cooperatives and local community cooperatives are included instead. However, even though the cooperative members have the same occupation, the motives for joining the cooperative 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could be different. Therefore, universal application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has limitation. Policy implications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공통적인 성공요인을 찾아 우리나라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협동조합 명 검색 등을 통해 선정한 375개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57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은 주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들이 수익 및 일자리 창출과 같은 경제적 필요에 따라 설립하지만 지역사회 공헌과 같은 사회적 가치 실현에도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운영 및 추진 중인 사업으로는 숙박업과 여행업이 대표적이지만, 하나의 업종에 집중하기 보다는 수익창출을 위해 평균 세 종류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조합원 수 및 재무상태 등 모든 조사항목에서 열악한 상태에 있으며, 지원방안으로는 판로 개척 및 사업공간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인적 결사체라는 협동조합의 본질적 특성에 주목하여 협동조합 성과 창출과정을 정리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협동의 장점이 잘 발휘되면서 조합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업종 또는 사업 분야에서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조직역량에서는 인적자원 가운데 특히 리더의 헌신과 능력, 그리고 조합원 간 신뢰와 협동이 중요하며, 협동조합의 부족한 경쟁력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협동조합 간 및 외부 기관과의 적극적인 연대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해 수집한 157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합원 간 신뢰와 협동’, ‘리더의 역량과 헌신’이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나타났고, 협동조합 설립초기에는 ‘리더의 역량과 헌신’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나, 이후 성장단계에서는 ‘조합원 간 신뢰와 협동’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협동조합에 적합한 업종과 사업의 선정 또는 전환’은 사업이 진행되면서 중요성이 다소 감소하지만, ‘협동조합 간 협력 및 외부기관과의 연대’는 점차 중요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외 심층 사례조사는 일본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보고서와 협동조합 홈페이지, 페이스북, 현지조사 당시 입수한 홍보 및 안내자료, 협동조합 사무국으로부터 제공받은 보고서 등의 문헌자료와 관계자 인터뷰를 토대로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의 성공요인은 1) 리더십에 기반을 둔 협력시스템의 구축, 2) 대도시에서의 경험으로부터 비롯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능력, 3) 경관조성 등 가시적인 협력사업, 4) 노천온천과 노천온천 공동이용권 등 차별화된 콘텐츠, 5) 접근성의 개선과 국제관광지 육성을 위한 행정사업 등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쿠로카와온천관광여관협동조합은 ‘사업자협동조합’이면서 ‘지역공동체협동조합’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19년에 이어 2020년 봄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에 대한 2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협동조합 설립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9 년 말 기준 관광레저분야에 일반협동조합이 500개 이상 설립된 것을 알 수 있었고, 60부의 설문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1차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은 주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들이 설립하고 있으며, 국내 협동조합 전체 평균보다 조합원 수와 투자 규모 측면 등에서 매우 영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설립 목적에 있어서는 오히려 지역사회에 공헌한다는 사회적 가치를 보다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관광레저분야에 적합한 협동조합 유형화를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연구를 살펴본 결과, 국내 분류에서 사용하는 소비자․사업자․직원협동조합은 공통적으로 발견되나,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은 대부분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현실에 맞도록 조합원 구성과 협동조합의 사업 기본방향(비즈니스 지향형-지역공동체 지향형)을 분류기준으로서 함께 고려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르면, 다중이해관계자협동조합은 분류 유형에서 제외되고, 대신 프리랜서협동조합과 지역공동체협동조합이 추가된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관광레저분야 60개 일반협동조합에 적용한 결과, 사업자 26개, 프리랜서 17개, 직원협동조합 4개(이상 비즈니스 지향형), 소비자협동조합(혼합형) 2개, 그리고 지역공동체협동조합 11개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협동조합 분류 시 정량적 기준의 엄격한 적용이 어려운 등 분류체계의 보편적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레저분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등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로는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의 실태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한 것은 물론, 협동조합의 성과창출과정 규명 및 국내 현실에 적합한 새로운 협동조합 유형화 제시로 협동조합 육성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의 직접적인 성과는 현재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5편(게재 확정 논문 1편 포함; 사사 표기[예정]된 논문 5편; 등재지 4편)이며, 투고 전 4편의 논문은 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다. 그리고 이미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관광레저분야 일반협동조합의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논문은 해외 문헌 고찰 등을 보완하여 등재지에 게재하는 작업을 우선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핵심 관계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해당 협동조합에서 시행하는 해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활동내용을 관찰한 경기도 시흥시 소재 ‘공정여행동네봄협동조합’과 ‘화성시생태관광협동조합’에 대한 사례연구 논문도 준비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외 현장조사를 실시한 이탈리아와 스페인, 프랑스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에 대해서도 보완 조사를 통해 자료를 추가 수집하여 국가 간 비교를 중심으로 논문을 작성하고, 2021년 12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33차 세계협동조합대회’ 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관광레저 관련 사회적경제 분야에는 일반협동조합 이외에 사회적협동조합은 물론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관광두레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체가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에는 일반협동조합으로 한정한 연구에서 벗어나 연구의 범위를 ‘관광레저산업
    사회적경제 전반에 대한 활성화방안 연구’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국내 관광레저분야 사회적경제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 파악은 물론 관광레저분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특히 도시와 농촌 협동조합
    간 연대 프로그램 개발 등 관광레저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관광레저 관련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칭)관광·레저·외식 사회적경제 포럼‘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포럼은 관광·레저·외식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며, 주요 사업은 관광·레저·외식산업 내 사회적경제 주체 간 연대 촉진, 관광·레저·외식산업 내 창업 활성화 및 프리랜서 활동 편의 증진, 관광·레저·외식산업 내 사회적프랜차이징 활성화, 관광·레저·외식산업 내 사회적경제 사업체 교육 및 컨설팅 등이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레저분야 협동조합에 대한 본격적인 최초의 연구로서 관광학연구가 한국사회의 당면과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응용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역할을 다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관광레저분야에서 일반협동조합은 물론 사회적경제 전반에 걸친 육성시스템의 마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관광, 레저, 협동조합, 특성, 유형, 성공요인, 지역공동체, 프리랜서, 설문조사, 사례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