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4차 산업혁명대응 혁신적 사회시스템 구축 : 인간중심의 고령자 기술개발·활용(Senior Technology Adoption)의 사회과학 모델
Development of Innovative Social System for Person-centered "Senior Technology Adop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연구과제번호 2018S1A3A2075402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2018년 09월 01일 ~ 202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영선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40;국제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 희윤(Univ. of Alabama )
신혜리(경희대학교)
신원철(강동경희대학교병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 목표(p1~4 참조)
    ◈ [4차산업혁명의 사회적 가치] 4차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인간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관점(Social Point)으로서 과학기술 개발의 가치-방향-윤리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혁신적 사회시스템 구축

    ◈ [4차산업혁명의 사회문제 해결 : R&SD] 노인인구가 총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2025년)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민의 관심과 수요가 크면서도 시장미성숙으로 공공이 해결해야 하는 분야로서, 고령자의 기술 활용의 사회적 불평등(소득・건강 등 격차) 문제에 대한 종합 솔루션 제시

    □ 연구 추진원칙(p1 참조)
    ○ 사람중심적 관점 (Person-centered)
    - 고령자 욕구와 기술의 지혜로운 융합을 위한 사회적 관점(Social Point) 제시
    ○ 생태계적 관점 (Comprehensive : Ecosystem)
    - 고령자의 기술활용증진을 위해 ‘기술+데이터+인프라+확산+제도개선 등’을 연계하여 혁신적 사회시스템 제시

    □ 4대 추진전략(p1 참조)
    ① (연구대상 기술) 사람 중심의 접근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첨단기술(high-end technology) 뿐만 아니라 낮은 수준의 기술(low-end technology) 포괄
    ② (연구방법 혁신) 장기종단 혼합 코호트 연구방법을 통한 통합적 고령자기술활용모델의 타당성 검증
    ③ (연구영역 확장) 추적관찰을 통해 대상∙기술∙욕구의 다양성 고려
    ④ (연구결과 확산) 이론-실증-적용 단계별 확대를 통한 연구결과 실천적 적용 극대화

    □ 아젠다와의 적합성 :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사회과학적 관점을 선제적으로 제시(p3 참조)
    ○ (시대적 적합성) 기술·정보 격차가 사회적 불평등(소득, 건강 등) 양산 및 확산
    ○ (대상의 적합성) 기술발전의 인프라 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사회적 약자(예: 고령자 등) 배려 필요
    ○ (사회과학 역할의 적합성) 기술의 무분별한 개발 견제 및 사람중심의 기술개발의 관점을 선제적 제시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여 : 통합적 고령자기술활용모델(CS-TAM) 개발을 통한 기존 연구 확장에 기여(p23 참조)

    □ 사회적 기여 : 기술혁명이 야기할 변화에 대한 개인, 기업, 정부 차원의 성공적 대응전략 제시
    ○ (개인) 각 삶의 영역에 적절한 기술을 활용하여 고령자의 독립적 생활 실현 및 삶의 질 제고
    ○ (기업) 사람중심의 제품/서비스 개발과 매뉴얼을 통한 기업의 성공적인 주요고객층(고령자) 유도
    ○ (국가) 국가재정절감 및 법·제도 개선을 통해 정보‧사회격차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해소에 기여

    □ 성과지표(milestone)(p24 참조)
    ○ 연구성과(정량) : 국내외 논문 및 학술발표, 세미나 및 국제학술대회 개최
    - 논문 게재 노력 : 소형단계 30편(연간 10편) → 대형 종료 시(누적) 210편
    - 학술대회 발표(국내·외) 참여 노력 : 소형단계 36회(연간 12회) → 대형 종료 시(누적) 228회
    - 세미나 및 국제학술대회 개최 노력 : 소형단계 3회(연간 1회) → 대형 종료 시(누적) 25회
    -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 노력 : 소형단계 10개 기관 → 대형 종료 시(누적) 30개

    ○ 인력성과(정량) : 석·박사과정 및 전문인력 양성
    - 소형단계 9명(연간 3명) → 대형 종료 시(누적) 65명

    ○ 정책성과(정량·정성) : 법제도 개선 및 사회시스템 구축
    - 소형단계 1개 → 대형 종료 시(누적) 3개
  • 연구요약
  • ◈ 주요 연구내용
    󰊱 [코호트] 『한국고령자기술활용코호트』 구축(p10~11 참조)
    ○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관한 고령자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를 파악하기 위해 혁신적 기술활용 코호트 구축
    ○ 개인맞춤형 기술활용모델 개발을 위해 코호트를 지능형 플랫폼과 연계
    ○ 다차원적인 고령자의 욕구 분석을 통해 적합한 욕구-기술 매핑 개발

    󰊲 [Technology Literacy] 기술사용역량 증진을 위한 기술활용능력 제고 프로그램 개발(p12~13 참조)
    ○ 시대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기술요소를 반영한 고령자 기술활용능력 척도 개발
    ○ 고령자의 개인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다차원적 접근을 통한 고령자 기술활용능력 예측요인 발굴
    ○ 근거기반의 고령자 기술활용능력 교육프로그램 및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 [기술윤리] 기술소외계층 인권보호를 위한 지표 및 교육자료 개발(p14 참조)
    ○ 사용자의 낙인(stigma) 및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적 상황에 부합하는 개발자 및 이용자의 지침을 위한 기술윤리의 객관적/주관적 평가지표(index) 개발 및 확장
    ○ 기술자,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에게 지켜야 할 교육과정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
    ○ 4차산업혁명에 따른 기술개발・활용의 권익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 등 안전 대응체계 고도화

    󰊴 [CS-TAM모델] 통합적 고령자기술활용모델 개발(p15~16 참조)
    ○ 고령자의 심리적·사회적 특성과 인프라(촉진요인)을 고려한 통합적 고령자기술활용모델 개발
    ○ 한국 고령자의 기술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파악 및 검증

    ◈ 단계별 연구내용(p10~16 참조)
    󰊱 소형단계 : 고령자 기술수용 코호트 구축 및 이론적 모델 개발
    ○ 세부내용
    (1년차) 노년기술 관련 고령자의 미충족 욕구(unmet needs) 파악을 위해 코호트 구축
    (2년차) 코호트 조사 기반 개인 맞춤형 기술 분류 및 측정도구 개발
    (3년차) 고령자 기술수용 이론적 모델 개발
    ○ 연구대상 : 베이비붐세대, 65세 이상 고령자

    󰊲 중형단계 : 고령자 기술수용모델에 대한 타당도 검증
    ○ 연구대상 : 베이비붐 세대, 65세 이상 고령자 + 중년(40대 이상) 추가
    ○ 연구분야 : 헬스케어 및 케어분야

    󰊳 대형단계 : 고령자 기술수용모델 확장 및 혁신적 사회시스템 구축
    ○ 연구대상 : 베이비붐 세대, 65세 이상 고령자, 중년(40대 이상) + 청년(2030세대) 추가
    ○ 연구분야 : 고령자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로 확장
    ○ 연구지역 : 도시(예: 용산구) 및 농촌지역(예: 경북의성군)을 각각 1지역씩 선정

    ◈ 연구방법의 창의성과 적합성(p17~20 참조)
    󰊱 (융합연구) 친고령특성화대학원 및 고령친화융합연구센터를 활용한 융합연구 적합성
    ○ 친고령특성화대학원을 통한 다학제적인 융한연구 인재 양성
    ○ 연구중심 연구소와 산학협력중심 연구소 특징을 결합한 고령친화기업과의 융합연구 및 사업화 지원

    󰊲 (지능형 코호트) 고령자기술활용코호트-지능형 플랫폼을 연계하여 개인별 맞춤형 기술활용
    (소형 400 + 60명 → 대형 920명 확대)
    ○ 지능형 코호트 개발을 통해 디바이스 사용에 대한 장기 코호트 구축, 지능형 플랫폼 Data base와 매핑하여 고령자의 기술정보격차 해소 및 한국형 고령자 혁신적 기술활용 개발에 기여

    󰊳 (국제협력) 국내외 대학・기업・연구소와의 사회과학-AI, Bigdata 등 국제협력을 통한 연구성과 극대화
    ○ 고령친화융합연구센터를 활용하여 국내외 기업들과 공동연구 (소형 10회 → 대형 30회)
    ○ 국제 학술대회 및 세미나 개최 및 참가를 통해 융복합적 인재양성 (소형 3회 → 대형 10회)

    󰊴 (지역사회 기반) Community Living Lab를 통해 사용자중심의 기술 개발・활용
    ○ 고령자 맞춤형 기술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리빙랩을 통해 기술증진 도모
    ○ 고령자 미충족 욕구(unmet needs)와 연계된 관련 서비스만족도 제고

    ◈ 연구진 구성 (소형 연구진 6명 · 자문연구진 20명 → 대형 연구진 15명 · 자문연구진 50명)(p21~23 참조)
    ○ (다학제·전세대 연구진 확보) 다학제적 연구자 구성(컴퓨터공학, 사회복지, 경영학 등) 및 신진연구자 참여도를 높여 학문적 경계를 뛰어 넘는 공동연구 장 구축과 차세대 연구인력 육성 토대마련
    ○ (메머드급 자문단 구축) 소속대학의 산학협력네트워크를 활용한 국·내외 고령친화현장전문가 자문단과 관련 학계 자문연구진을 구성하여 연구 질적 제고 및 파급효과 극대화
    ○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연구책임자 관할 고령친화융합연구센터와 참여연구진의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미국, 호주, 유럽지역의 유수 기관들과 협력연구 및 인재양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