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실존과 욕망의 시학, 이옥봉 삶과 문학
The poetry of existence and desire, Lee Ok Bong’s Life and Literatu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1935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명혜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조선조 여성 문인인 이옥봉(李玉峯)은 널리 알려진 작품 몇 편과 그녀를 둘러싼 배경담이 여럿 전해지고 있는 인물이다. 그러나 작품의 유명도에 비해서 의외로 이옥봉에 대한 기존 연구는 별로 없다. 또한 이옥봉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이야기도 단편 조각으로만 각각 전해지고 있을 뿐 이옥봉의 배경담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논의도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하고 논의를 출발한다.
    이옥봉 작품 중 <自述>(夢魂)과 <閨情>은 예전부터 한문교과서에도 두루 수록되었고, 대중들한테 널리 알려졌으며, 한시를 소개하는 수많은 대중서적들에도 단골로 등장하는 작품이다. 또한 불행했던 이옥봉의 삶과 죽음에 대한 소재를 바탕으로 한 소설이 나왔고 여러 편의 현대시로 재탄생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옥봉과 관련된 학술논문은 몇 편 안되며, 그것도 심도 있게 다룬 것은 석사 논문 몇 편뿐이다. 석사논문은 형식을 다룬 것이 한 편, 내용을 다른 것이 2편인데 모두 이옥봉 작품 주제나 내용을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했다는 점에서 거의 동일한 논의이며, 그 외에 단편적으로 이옥봉을 다룬 여타의 논의들도 거개가 주제나 내용만을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이옥봉 작품에 대한 진위를 다룬 논문이 2011년에 발표되었는데, 여기서 이종문은 이옥봉 작품에 대해 한편씩 진위를 검토한 후 그 결과를 이옥봉 작품으로 알려진 40수 가운데 이옥봉 작품이 확실히 아닌 작품 5편, 이옥봉 시가 아님이 거의 분명한 작품이 1편, 이옥봉의 시가 아닐 가능성이 높은 시가 3편, 다른 사람 시를 변개한 것이 2편, 다른 사람의 작품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판단을 유보할 수밖에 없는 것이 6편으로 무려 17편이 이옥봉의 작품이 아님의 분명하거나 아닐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고, 이 17편에 이옥봉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自述>과 <竹西樓>도 사실상 다른 사람의 작품을 변개한 것이라고 결론내리고 있다.
    문제는 본 연구자가 과문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이옥봉 작가 자체나 그녀의 작품을 다룬 단 한편의 연구물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예전에는 典故나 用事가 창작의 한 사조였기에 다투어서 뛰어난 문사의 작품을 차용해서 쓰는 것이 당대의 시풍인 것이지 요즈음 사회에서 말하는 ‘표절’로 몰아갈 수는 없다고 본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 끼어들어 간 작품들도 있을 것이고, ‘다른 사람의 작품일 가능성’의 판정을 받은 작품이 실은 이옥봉의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후속 연구로 이옥봉 원전 확정 작업이 다시 진행되어야만 하는 필요충분 요건에 놓여있다. 그러나 이것은 많은 노력과 검증 절차가 필요한 부분이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이러한 실태를 감안하더라도 이옥봉 같은 뛰어난 작가에 대해 후속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은 우리 시사에 커다란 손실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자는 일단 이종문의 원존 확정 결과를 수용해서 이옥봉 작품이 확실하다는 23편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해서 이옥봉의 시 세계를 천착해 보고, 이옥봉 배경담을 중심으로 해서 이옥봉 인물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옥봉은 조선조 여성 문인들 중 가장 많은 배경담을 지닌 인물이다. 왕족인 아버지와 천인인 어머니를 두고 있으며, 결연에서도 남편 될 사람을 스스로 선택했다는 점, 시를 썼다는 이유로 남편한테 버림받았다는 점, 죽어서도 자기가 쓴 작품을 몸에 두른 시신으로 바다에 떠 있었다는 점(문중에서 내려오는 설화라고 함) 등이 상당히 파격적이고도 독특한 인물이다. 이런 점에 대해서도 학문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모든 점을 염두에 두고 본 연구자는 이옥봉 삶과 작품 모두를 대상으로 해서 시학적 특성과 작가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한국시사에 있어서 이옥봉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① 한국시사에서 이옥봉 작품이 지니고 있는 시학적 특성 및 가치를 규명할 수 있다. 특히 내용뿐 만이 아니라 이옥봉 작품의 형식적인 측면과 기법 등을 천착해서 밝힌다면 이옥봉 시 작품의 시학적 특성이 규명될 것이다.
    ② 단편적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옥봉에 대한 출생과 결연, 죽음 등을 연대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이옥봉 인물의 전기적인 측면이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③ 이옥봉 작품을 현대미학적 입장으로 접근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해서 작품이 지니고 이는 미학적 특성을 밝힐 수 있다.
    ④ 작품을 통해서도 이옥봉이라는 조선조 여성 작가의 정체성을 규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녀 작품의 성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에 형식적인 비평방식과 전기적인 비평방식, 심리적 분석방식이나 원형비평방식 등을 모두 적용한다면 효율성은 극대화될 것이다.
    ⑤ 이옥봉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설화)를 통해 설화는 역사의 또 다른 언술방식으로서 그 안에 내재하고 있는 실체와 원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텍스트 행간에 내재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⑥ 이옥봉의 전기와 작품 특성, 즉 텍스트와 컨텍스트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면 동일 시기에 활동하던 인물인 허난설헌과의 대비를 통해 당대 여성 작가들의 시적 특성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옥봉과 허난설헌은 허균의 기록에 의하면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⑦ 이옥봉의 작가적 실체와 작품의 특성이 드러난다면 당대 조선조 여류 문인들의 계보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이러한 모든 점은 후속 연구세대에게 정보를 제공해서 한국문학의 연구를 활성화 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⑧ 연구결과는 지식확산의 성과로서 학문의 질을 향상시키고 후속연구자들에게 연구기반으로 제공되며, 교육 현장에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⑨ 이옥봉이라는 인물을 문화콘텐츠 원자료로 이용해서 다양한 멀티 유스적인 상품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연구요약
  • 조선조 여성 문인인 이옥봉은 작품의 지명도에 비해서 놀라울 만큼 이옥봉을 대상으로 한 연구업적이 축적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2011년 이옥봉의 작품으로 알려진 시 작품 40수 중 17편이 이옥봉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밝힌 논문이 나온 이후, 이옥봉에 대한 연구는 더욱 위축되어 이옥봉이나 이옥봉 작품에 대해서 거의 아무도 다루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옥봉은 우리나라 시사에서 결코 간과 되어서는 안 되는 인물이다. 현재는 그녀의 작품을 왜 좋다고 하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도 찾기 힘든 것이 현실상이다. 게다가 이옥봉에 대해서는 출신, 결연, 남편한테 내쳐진 이유,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 저기 산발적으로 흩어진 채 전해지고 있을 뿐 어느 것이 사실이며, 설화인지에 대한 연구와 천착을 해서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실례도 찾기 힘들다. 이 모든 점에서 본고는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옥봉 작품의 시 세계를 살피고, 이옥봉 배경담을 중심으로 해서 이옥봉 인물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즉, 이옥봉 삶과 작품 모두를 대상으로 해서 시학적 특성과 작가의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한국시사에서 이옥봉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연구방식으로는 이옥봉에 대해 기록한 문집이나 기록문을 대상으로 하며, 이옥봉 작품이 확실한 23편에 대해 심도 있는 텍스트 분석을 병행할 것이다. 이옥봉의 작품은 『嘉林世稿』 부록 <玉峯集>에 32편이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으며, 그 외 『列朝詩集』에 11수, 『明詩綜』에 2수가 수록되어 있고, 『名媛詩歸』, 『李玉峯集』, 『大東詩選』, 『東詩話』 등에도 실려 있는데 이들을 정리하면 대략 40수 정도이다. 일설에는 시집 1권이 전한다고 하나 국내에 전해오는 문집은 없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옥봉 작품이 아니라고 밝힌 작품은 일단 제외하고 이옥봉 작품이 확실한 23편의 작품만을 대상으로 해서 미학적 특성, 기법,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내용은 이미 기존 논의에서도 다룬 바가 있기에 주로 시작법이나 미학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 좀 더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텍스트는 컨텍스트와 불가불리의 관계에 있느니 만큼 그녀의 전기적 내용도 대상으로 한다. 전기적 내용은 이옥봉 집안의 문집을 주 텍스트로 하겠지만 역사는 승리자에 의해 기록되기 때문에 그 행간에 있는 내용도 세밀히 찾아서 실제의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도 본고의 목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삶과 작품의 접합적 측면도 규명할 예정이다. 이러한 작업을 거친다면 이옥봉 작품의 실체와 이옥봉 인물에 대한 정체성이 어느 정도는 밝혀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형식적인 비평방식과 전기적인 비평방식, 심리적 분석방식이나 원형비평방식 등을 모두 적용할 것이며, 이렇게 할 때 효율성은 극대화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 외에도 이옥봉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설화)를 통해 설화는 역사의 또 다른 언술방식으로서 그 안에 내재하고 있는 실체와 원의미를 파악할 수 있음도 염두에 두고자 한다. 이옥봉의 전기와 작품 특성, 즉 텍스트와 컨텍스트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면 당대 활동하던 인물인 허난설헌과의 대비를 통해 당대 여성 작가들의 시적 특성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옥봉과 허난설헌은 허균의 기록에 의하면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점은 후고를 기약한다. 또한 이옥봉의 작가적 실체와 작품의 특성이 드러난다면 당대 조선조 여류 문인들의 계보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이러한 모든 점은 후속 연구세대에게 정보를 제공해서 한국문학의 연구를 활성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 외에도 이옥봉이라는 드라마틱한 인물을 문화콘텐츠 원자료로 이용해서 다양한 멀티유스적 상품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 내용은 이옥봉 작품으로 확정된 작품을 대상으로 해서 시 세계를 살피고, 이옥봉 배경담을 중심으로 해서 이옥봉 인물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옥봉의 삶의 궤적, 즉 출생, 결연, 결연 파기, 비장한 죽음 등을 천착한 결과 옥봉은 준 영웅 해당되는 삶을 살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이는 옥봉의 객관적 측면보다는 옥봉의 내적 욕망에서 기인하는 점이 컸다.
    여기에 부합해서 옥봉 작품의 특성은 형이상학적 욕망을 표출하는 것과 시공간을 응축, 확대하는 기법을 통해서 잘 드러나고 있었다. 즉 옥봉의 욕망은 심층적 층면에서는 아버지와 남편의 신분이나 하는 일, 즉 관직의 삶을 꿈꾼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으로 자각하고 있고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욕망이라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지향하는 모방적 욕망이라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옥봉의 현이상학적 욕망은 시 텍스트에서 시공을 응축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표출되기도 했다. 시공간을 응축하고 확장하는 기법은 결국 옥봉의 거침없는 자의식 발로의 기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었다.
    비록 여성과 서얼이라는 이중 결핍을 가지고 사회 부조리 속에서 힘든 삶을 살았지만 여기에 승복하지 않고 온 몸을 던져 치열한 삶을 살면서 주옥같은 작품을 남겼다는 점에서 훌륭한 선조의 전범이라 할 수 있다.
  • 영문
  • Poetics of Existence and Desire, Life and Literature of Lee Ok-bong

    This paper is aiming at examining the poetic world for the work that has been confirmed as Lee Ok-bong's work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 of Lee Ok-bong based on her background

    After studying the trajectory of Ok-bong's life, such as birth, association, breaking of association, and tragic death,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Ok-bong lived a worthy life like a hero. This is largely due to the inner desire of the Ok-bong rather than due to the objective aspect of the Ok-bong.

    In conformity wit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Ok-bong's works are well demonstrated through the expression of metaphysical desire and the technique of condensing and enlarging time and space. In other words, Ok-bong's desire is found to have dreamed of the position and duties of father and husband, or life of a government official in terms of consciousness

    But this is not an ostensibly conscious and purposeful desire, but an instinctively oriented imitative desire. Also, Ok-bong's phenomenological desire is expressed as condensed and expanded time and space. The technique of condensing and expanding time and space was one of Ok-bong's relentless self-consciousness.

    Although She had a hard times in social absurdity with a double deficiency of a woman and the child of a concubine, she is a paragon of good ancestors throwing her whole body away, leading a fierce life, and leaving behind gem-like pieces of work without accepting social absurd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이옥봉 작품으로 확정된 작품을 대상으로 해서 시 세계를 살피고, 이옥봉 배경담을 중심으로 해서 이옥봉 인물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옥봉의 삶의 궤적, 즉 출생, 결연, 결연 파기, 비장한 죽음 등을 천착한 결과 옥봉은 준 영웅 해당되는 삶을 살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이는 옥봉의 객관적 측면보다는 옥봉의 내적 욕망에서 기인하는 점이 컸다.
    여기에 부합해서 옥봉 작품의 특성은 형이상학적 욕망을 표출하는 것과 시공간을 응축, 확대하는 기법을 통해서 잘 드러나고 있었다. 즉 옥봉의 욕망은 심층적 층면에서는 아버지와 남편의 신분이나 하는 일, 즉 관직의 삶을 꿈꾼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으로 자각하고 있고 의도적으로 추구하는 욕망이라기보다는 무의식적으로 지향하는 모방적 욕망이라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옥봉의 현이상학적 욕망은 시 텍스트에서 시공을 응축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표출되기도 했다. 시공간을 응축하고 확장하는 기법은 결국 옥봉의 거침없는 자의식 발로의 기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었다.
    비록 여성과 서얼이라는 이중 결핍을 가지고 사회 부조리 속에서 힘든 삶을 살았지만 여기에 승복하지 않고 온 몸을 던져 치열한 삶을 살면서 주옥같은 작품을 남겼다는 점에서 훌륭한 선조의 전범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① 한국시사에서 이옥봉 작품이 지니는 있는 시학적 특성 및 그 가치를 규명할 수 있다. 특히 내용뿐 만이 아니라 이옥봉 작품의 형식적 측면과 기법 등을 천착해서 밝힌다면 이옥봉 시 작품의 시학적 특성이 규명될 것이다.
    ② 단편적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옥봉에 대한 출생과 결연, 죽음 등을 연대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이옥봉 인물의 전기적인 측면이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③ 이옥봉 작품을 현대미학적 입장으로 접근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해서 작품이 지니고 이는 미학적 특성을 밝힐 수 있다.
    ④ 작품을 통해서도 이옥봉이라는 조선조 여성 작가의 정체성을 규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녀 작품의 성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에 형식적인 비평방식과 전기적인 비평방식, 심리적 분석방식이나 원형비평방식 등을 모두 적용한다면 효율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⑤ 이옥봉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설화)를 통해 설화는 역사의 또 다른 언술방식으로서 그 안에 내재하고 있는 실체와 원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텍스트 행간에 내재하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⑥ 이옥봉의 전기와 작품 특성, 즉 텍스트와 컨텍스트적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면 당대 활동하던 인물인 허난설헌과의 대비를 통해 당대 여성 작가들의 시적 특성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이옥봉과 허난설헌은 허균의 기록에 의하면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⑦ 이옥봉의 작가적 실체와 작품의 특성이 드러난다면 당대 조선조 여류 문인들의 계보를 형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며, 이러한 모든 점은 후속 연구세대에게 정보를 제공해서 한국문학의 연구를 활성화 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⑧ 연구결과는 지식확산의 성과로서 학문의 질을 향상시키고 후속연구자들에게 연구기반으로 제공되며, 교육 현장에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⑨ 이옥봉이라는 인물을 문화콘텐츠 원자료로 이용해서 다양한 멀티 유스적인 상품을 개발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색인어
  • 이옥봉, 준영웅, 형이상학적 욕망, 비극적 죽음, 시공 응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