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亮相, 그 멈춤의 함의
亮相(Liangxiang), the Significance of the Stop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251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형란
연구수행기관 군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국희곡을 연구함에 있어 그간 텍스트에 치중하면서 간혹 공연무대를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행해지는 고찰에 한계와 문제점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몇 해 전부터 시선을 아예 무대로 옮기고 중국희곡의 공연예술 측면에 집중하고자 하니 당장의 연구 범위가 무대, 창, 동작, 대사 등 한없이 광대해진다. 언젠가 중국희곡수업 중 <紅燈記>의 공연영상을 학생들에게 보여준 적이 있다. 중국희곡 특유의 程式 때문에 공연무대 전반이 학생들에게는 생경한 것이었겠지만 특히 ‘亮相’이 구현되는 시점에서 간간이 학생들의 웃음이 이어졌다. 무슨 ‘얼음땡’ 놀이도 아니고 무대 위에서의 갑작스런 스톱모션이 뜬금없게 여겨졌으리라. 물 흐르듯이 이어져야할 무대 위에서 ‘亮相’이라는 짧은 정지동작은 사실 서구의 연극관념에 더욱 익숙한 우리에게는 다소 당황스럽게 여겨질 만하다. 그러나 중국 관중에게는 전혀 다르다. 亮相이 실현되는 순간, 중국의 관중은 깊은 감동에 휩싸이고 심지어 격렬하게 고무되어 열렬한 박수를 치기도 한다. 중국 관중을 흡인시키는 亮相은 중국희곡의 정식화 동작 전형 중 하나로, 무대 위에서 인물형상의 표현력을 구사하는 특수한 형식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도 선명한 희곡 특색과 심미의식을 구현한다. 경극을 사람에 비유하자면 唱과 念은 피에, 做와 打는 사지에, 음악절주는 골격, 그리고 亮相은 바로 얼굴에 해당한다는 비유를 볼 때, 亮相을 중국마임의 정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희곡 연출 중에 亮相이 없는 무대, 亮相하지 않는 인물형상은 없다. 배우들의 연기 중 ‘亮相’은 ‘화룡점정’의 작용을 하여 조형미와 神韻美를 갖추게 함으로써 인물형상을 승화시킨다. 亮相은 비록 짧은 한 순간의 정지동작이지만 작품의 극정, 인물, 행당이 다르기 때문에 亮相의 내재된 힘과 요구가 다 다르다. 또 각 배우들의 사상과 문화, 전문적인 기예, 심미의식, 감정의 체험, 무대 경험 등 종합적인 수량과 수련이 고도로 응집되어 집중적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따라서 亮相은 배우의 예술생명력에 있어서는 아주 주요한 의미를 갖는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네가 거기에 딱 서면(亮相) 밥을 몇그릇이나 먹었는지 바로 나온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이상 ‘亮相’의 희곡예술 매력를 탐색하고자 하는 주요 근거는 ‘소리없는 동작이 소리를 이기는’ 그 특별하고도 중요한 함의 때문이다. 논자는 이 흥미로운 亮相에 대해 그 멈춤에 담긴 희곡미학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무대 위에서 실행되어 관중들을 매료시키는 ‘亮相’에는, 우리가 아직 미처 규명하지 못했던 자기만의 독보적인 무대예술 정체성을 갖고 있을 것이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중국희곡은 멈춤으로써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그 짧은 멈춤에 우리가 알지 못했던 얼마나 많은, 얼마나 깊은 의미가 있을 것인가. 논자는 이 연구를 통해 亮相의 희곡 함의가 보다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궁극적으로는 중국희곡연구자로서 중국마임 정체성 연구의 완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 기대효과
  • 연구결과 기대효과
    ① 본 연구를 통해 서구극과 중국희곡의 심미의식의 차이를 질서정연하고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亮相을 통해 중국희곡의 ‘寫意’적이고 허의적인 예술특징을 확인하고 중국희곡 관중의 심미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사실주의에 입각한 서양극과 정식성의 특징을 가진 중국희곡의 근본적인 차이점 등이, 보다 정확한 개념으로 구분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② 形似와 神似, 事實과 寫意라고 하는 다소 난해한 문화어휘와 예술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중국희곡 중 정지동작 亮相이 가지는 신사와 사의적 면모를 확인하고 이 특별한 예술관념이 형성하는 희곡예술의 특징을 통해 중국희곡의 정체성 규명에 더욱 완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③ 본 연구를 통해서 그간 미진하였던 같은 동아시아 문화 영역권에 있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극 연기동작과도 비교를 진행해 나갈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가부키에도 亮相과 유사한 정지동작이 있다는 것을 보면, 동아시아 전통극 비교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④ 그간의 공연예술 위주의 탐색이 문학으로서의 희곡연구방면보다 상대적으로 적었고, 있다해도 희곡의 연출양식전반에 대한 고찰이 위주였다. 본고의 탐색시도가 향후 희곡연구 방면에서 공연예술의 특히 세부적이고 미시적인 분야로 진일보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교육과의 연계효과
    ① 희곡문학 무대예술성에 대한 관심을 촉발하고 중국 공연문화에 접근성을 강화한다. 그간 희곡의 강의가, 텍스트 중심의 문학적 측면을 위주로 교육내용의 주류를 이루었다고 한다면, 亮相을 통해 중국희곡의 정체성을 살펴보는 일환인 본 연구는 무대공연의 측면, 즉 연행예술로서의 중국희곡 분야까지 학습이 확대되고 관심과 흥미가 제고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희곡교육 측면에서 문학적인 부분과 공연예술적인 부분을 병행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② 희곡문학과 사상철학적 특성을 연관지어 이해시키고, 중국 희곡예술 심미의식과 민족특성의 가치를 객관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과는 별개로, 비서구적 희곡의 민족적 심미의식이나 문화적 특성이 서구와는 다른 시대적, 사회적 변천에 따라 형성된 공통성(각 요소의 미분화와 총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이는 서구의 것과 다른 것일 뿐 동양의 희곡이 서구극에 비해 과거의 형식과 약속에 얽매여 현실적 적응력이 결여되거나 전근대적 정체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③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를 이해하는 교양서의 역할로 확대시킬 수 있다. 세계의 기대와 시선이 동아시아로 향하는 이 때에 우리가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이웃나라에 대해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할 필요성은 두말 할 것이 없다. 최근 대학에서 동아시아 관련 강의가 다투어 개설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본 고 연구의 결과로써 중국희곡동작 亮相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단지 하나의 희곡동작이 아닌 그 안에 담긴 중국인의 민족성 그리고 문화어휘, 심미의식, 예술특색 등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와 같고 다름을 분명하게 인식하는 도구가 됨으로써, 이를 통해 동아시아 공동의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식하고, 나아가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亮相과 중국무도
    중국 희곡무대에서 “無動不舞”, 즉 춤추지 않는 동작은 없다. 이는 중국희곡의 모든 동작이 무도화를 거쳤음을 말한 것이다. 특히 亮相은 동과 정이 서로 호응하고 보완되어 멈춤의 정점에 달하게 되면, 이는 여느 움직임보다 더욱 강렬한 무도의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순간에 중국무도는 조각과도 같은 조형미를 구축한다. 논문에서는 그 구체적인 실례들을 살펴 亮相의 무도미를 확인하기로 한다.
    亮相과 음악절주
    亮相의 연출형식은 무대 위에서 형체를 정지하고, 힘의 강약을 조절하고 ,눈동자와 시선을 처리하고 마지막으로 동작과 음악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특히 타악기의 리듬과 함께 구현되는데 절주가 매우 분명하고 명확하므로 배우의 동작선도 깨끗하게 맞아떨어져야 좋은 亮相 동작이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亮相과 음악절주와의 영향관계 및 구체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亮相과 문학서사
    亮相의 안배와 설치는 철저하게 극정 변화의 요구에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짧고 순간적인 멈춤동작 “亮相”이 희곡 극정의 흐름에 따라 세심하게 설계하고 교묘하게 처리되었을 때, 연극의 서사성이 더욱 강화되고 탄력을 받기 때문이다. 무대 위 적재적소에서 행해지는 배우의 亮相은 글이 아닌 지체를 이용하여 문장속의 어의 및 어기를 정돈 강조하거나 호흡을 조절하는 쉼표, 마침표, 느낌표 등과 같은 문장부호 역할을 한다. 희곡 서사 과정 중 이와 같은 亮相의 운용 특징을 살펴보자
    亮相과 심미의식
    1. 靜과 動 - “動中有靜, 靜中有動”
    희곡 亮相에서 가장 중시하는 것은 “靜而不僵, 動而不亂”(고요하지만 경직되지 않고, 움직이지만 산만하지 않는 것)이다. 亮相이 그저 뻣뻣하게 서있기만 하면 아무런 뜻이 없게 된다. 亮相은 인물의 그려내는 특수한 수단이고 亮相의 靜은 “靜中寓動”(고요함 속에 動이 깃든 것)으로 관중들에게 인물과 줄거리에 대해 무한히 풍부한 연상을 가져다 준다. 亮相 동작 정지의 순간은 외형적으로는 정태적이지만 심리적으로는 복잡하고 격렬한 감정의 요동으로 충만해진다. 이상 여기에서는 亮相의 멈춤에 담긴 靜과 動의 관념을 고찰한다.
    2. 形과 神 - “形止而神未止”
    경극예술가 錢寶森은 “亮相할 때 표면적으로 보면 힘이 정지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내심의 힘은 여전히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어서 힘은 여전히 거기에 보유되어 있으니, 동작은 멈추었으나 힘은 정지할 수 없다. 관중들은 이때 이 인물에 대해 풍부한 상상, 추측, 분석, 평가를 한다”고 하였다. 亮相이 완벽하게 이루어진 고정된 자태형상은 이처럼 “形止意不止”(형체는 정지하나 뜻은 멈추지 않으며), “無聲勝有聲”(소리가 없으나 소리가 나는) 심미경계에 이르게 된다. 중국희곡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傳神이라 하지 않던가. 亮相에서 神似를 기꺼이 긍정하고, 寫意에 충분한 美感을 느끼는 중국관중의 形과 神의 심미의식을 살펴본다.
    3. 反과 和 - “欲前先后, 欲左先友”
    중국 고전무도 중에 “동작은 반대로부터 시작된다(動作從反面做起)”는 말은 단순히 운동규율에 대한 기술만이 아니라 중국의 전통적인 ‘反’에 대한 사유철학과 맞닿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欲前先后, 欲左先友”(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면 뒤로 먼저 가고, 왼쪽으로 가고자하면 우로 먼저 가는) 희곡동작 원칙은 ‘亮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 중국은 전통적으로 만물생존과 발전의 동력으로 음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모든 것이 존재하게 된다는 관념이 있어왔다. 亮相 역시 멈춤으로써 최종적으로 인물의 정신적인 면모와 육체적 면모가 합일되게 한다. 멈춤과 움직임이 조화를 이루어내는 것이니 결국 ‘反’은 교묘하게 ‘和’와 맥락을 같이한다. 여기에서는 手眼身法步의 反과 和의 표현방식을 통해 亮相으로 하여금 화룡점정의 심미관념을 형성함에 대해 고찰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고에서는 亮相이라는 이 특별한 멈춤동작의 구현양상을 무도적 측면, 음악적 측면, 서사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亮相의 다양한 무대연출의 형태를 살펴봄과 동시에 亮相이 희곡무대에서 인물의 내면을 조형하고 정태미를 구현하는 주요한 희곡 무도동작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극중 핵심적인 순간, 亮相을 실현하여 적절한 타악의 리듬을 통해 관중의 시선을 무대로 이끌고 감동을 증폭시키는 면모를 살펴보았는데, 이는 희곡을 ‘듣는(聽)’ 데서 ‘보는(看)’ 쪽으로 일정정도 전도되게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亮相의 짧은멈춤이 판강체 경극에 이르러서 중국희곡의 서사 흐름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주요한 연기요소로 확립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亮相은 결코 단순한 동작 배치가 아니라 예술적 가치 이상의 함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의 다각적인 고찰을 통해서 무엇보다 분명하게 느낄 수 있는 것은 오히려 단순하다. 바로 亮相이 중국희곡의 정체성을 담보하는 주요 예술특징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희곡 연출 중에 亮相이 없는 무대, 亮相하지 않는 인물형상은 없다. 그리고 이것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은 다름 아닌 관객이다. 사실 亮相 程式의 확립은 亮相을 대하는 관객과의 관계, 즉 배우의 멈춤을 마주하는 관중관념을 알아야만 할 일이다. 중국희곡 배우는 관객의 인정 하에 무대 위 인생을 펼쳐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중국희곡은 배우와 희곡관객의 심미의식이 만나서 전체적인 소통의 힘을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亮相에는 중국민족 특유의 사유와 정신, 심미적 사고, 철학적 인식이 내포되어 있고, 중화민족의 미학관이 응집된 대표성을 지니는 전형적 동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亮相은 중국희곡의 독특한 창조적 예술형상으로서, 관객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극의 전형적인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 가장 단순한 외재적 표현 형태로써 중국희곡의 가장 본질적인 정수를 담아내고 있는 亮相, 이 짧은 멈춤은 지난한 희곡사를 거쳐 계승되면서 특유의 ‘중국희곡다움’을 대표하는 연출양식으로서 흔들림 없이 자리하고 있다.
  • 영문
  • Liangxiang, the Significance of the Stop

    There are no stages and parts without Liangxiang in the Chinese plays. Liangxiang makes the aesthetic sense among the actors and the audience of the play and exerts the power of overall communication, so this attraction is different from the observational figure of the Western theater. The Chinese play stage is the simplest form of external expression called Liangxiang, which captures the most essential essence. In this study, we looked at not just the arrangement of movements, but the implications of artistic value.
    When the rhythms of percussion, the gestures of stalling, and the built-in emotions are established in a unique expression form, and have a shapely and lively effect, Liangxiang constantly creates a major point of interest for the audience during the play's epic, elicits aesthetic positive response from the audience, and, by extension, invokes resonance of the audience's thoughts and sentiments. Liangxiang is an extremely important production style that represents his signature "Chinese playfulness" as it has so far succeeded through a series of past plays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aesthetic sense of the Chinese play crowd. As a silent language, living mock, in a lively pause, quietly, but most intensely, it plays a its own role in Chinese play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Liang Xiang, the connotation of the stop

    There are no stages and parts without Liang Xiang in the Chinese plays. Liang Xiang makes the aesthetic sense among the actors and the audience of the play and exerts the power of overall communication, so this attraction is different from the observational figure of the Western theater. The Chinese play stage is the simplest form of external expression called Liang Xiang, which captures the most essential essence. In this study, we looked at not just the arrangement of movements, but the implications of artistic value.
    When the rhythms of percussion, the gestures of stalling, and the built-in emotions are established in a unique expression form, and have a shapely and lively effect, Liang Xiang constantly creates a major point of interest for the audience during the play's epic, elicits aesthetic positive response from the audience, and, by extension, invokes resonance of the audience's thoughts and sentiments. Liang Xiang is an extremely important production style that represents his signature "Chinese playfulness" as it has so far succeeded through a series of past plays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aesthetic sense of the Chinese play crowd. As a silent language, living mock, in a lively pause, quietly, but most intensely, it plays a its own role in Chinese play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① 본 연구를 통해 서구극과 중국희곡의 심미의식의 차이를 질서정연하고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亮相을 통해 중국희곡의 ‘寫意’적이고 허의적인 예술특징을 확인하고 중국희곡 관중의 심미의식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사실주의에 입각한 서양극과 정식성의 특징을 가진 중국희곡의 근본적인 차이점 등이, 보다 정확한 개념으로 구분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② 形似와 神似, 事實과 寫意라고 하는 다소 난해한 문화어휘와 예술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중국희곡 중 정지동작 亮相이 가지는 신사와 사의적 면모를 확인하고 이 특별한 예술관념이 형성하는 희곡예술의 특징을 통해 중국희곡의 정체성 규명에 더욱 완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③ 본 연구를 통해서 그간 미진하였던 같은 동아시아 문화 영역권에 있는 한국과 일본의 전통극 연기동작과도 비교를 진행해 나갈 수 있는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가부키에도 亮相과 유사한 정지동작이 있다는 것을 보면, 동아시아 전통극 비교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의미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④ 그간의 공연예술 위주의 탐색이 문학으로서의 희곡연구방면보다 상대적으로 적었고, 있다해도 희곡의 연출양식전반에 대한 고찰이 위주였다. 본고의 탐색시도가 향후 희곡연구 방면에서 공연예술의 특히 세부적이고 미시적인 분야로 진일보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량상, 중국희곡, 중국마임, 멈춤동작, 희곡심미의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