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MOOC 기반 문화 연계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안: Vivre en France A1,A2,B1 수업 관찰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ocultural French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MOOC:in a class by using Vivre en France A1,A2,B1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2526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장니나
연구수행기관 부산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문화 이해 능력을 연계한 MOOC 기반 프랑스어 학습 코스웨어 수업을 소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매체를 사용한 원격학습에서 보이는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하는 교육적인 활용을 연구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일상의 행동문화를 담고 있는 프랑스의 코스웨어를 분석할 것이다. 수업에 참여할 강의는 Vivre en France A1(2018.3.28), A2(2017.12.20), B1(2017.12.20)으로, 총 28개 주제로 구성된 56개 시퀀스를 최소 210시간에 걸쳐서 협동 언어 학습 형태로 수행될 것이다.
    오늘날 언어 교수 경향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는 교육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과 못지않게 과정을 중시하되 언어의 실제적이고도 적절한 사용이 전제된 교수를 지향하며 언어를 통해 정보 획득과 개인적 목적에 따른 성공적인 언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표현의 적절성 실패와 사회화용적 오류를 줄이고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목표 문화에 친밀해짐으로써 사회문화적 맥락에 어울리는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며 하나의 방안으로 MOOC 강의가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배경은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초국가적 정보기술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전 지구적이면서도 지역적인 특수성을 내포한 다문화 시대 글로컬 문화 환경에 있다. 언어교육의 경우 언어 자체에 대한 기능과 구조분석보다는 맥락언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사회문화를 습득하는 능력을 지향하게 되었으며 기술을 이용한 교육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도래하였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여러 유형의 교육적 장치가 현시화되어, 개별적인 학습활동 이외에 프랑스어권에서 개발하는 코스웨어들을 전 세계 FLE 학습자들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본격화되었다.
    이제까지의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들은 1)새로운 미디어 적용 분석 및 교수·학습 모형 설계(Kim Hee- kyung:2016, 장병용:2014), 2)원격 학습의 유형 제안(Martinez:2012), 3)매체활용 교육 방법론 제안(김명관:2011), 4)기능별 교수영역 향상 방안 제시(김현주:2009)에 관한 것이었다. 또한 국외 선행 연구들에서는 5)사이버상의 과제 내용에 대한 준거(Mangenot et Soubrié:2010), 6)TICE 활용 교수자 연수(Salam:2010, Ahr, Czarny et Féki:2010), 7)학습에서의 기술사용에 대한 기여 주장(Tardif: 2002), 8)원격교육과 자가 학습에서의 학습자의 자율성(Rossi:2002, Tea et Dejean:2002)에 관한 연구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성과를 참조하여 특히 실제 사회문화 자료를 연계한 프랑스어 원격학습에서 기존의 교실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 과제와 평가를 포함하여 보다 적극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역설할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프랑스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하여 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문화가 연계된 사회 기능적 실제자료를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언어의 기능별 영역을 통합하여 교수하는 것이다. 결국 MOOC 기반 원격수업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화, 실제적 자료 활용, 상호활동, 협동적 학습을 토대로 다른 언어 기술과의 통합 교육을 위해 전략적 재생산이 될 수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구어와 문어 이해, 상호활동 그리고 표현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세부 목표로 두었다.
  • 기대효과
  • 언어 교수·학습에서 말하기 교육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과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목표언어에 대한 이해는 향후 실제의사소통에 있어 새로운 변수의 발견이나 문화 연계 언어 교육중심 교수는 의사소통 접근법에 대한 분석에서 그동안 간과해온 새로운 측면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 프랑스 원격교육 프로그램인 MOOC 기반 멀티미디어 매체 중 FLE 교수·학습용 코스웨어들이 교차 분석되고 있다. 오늘날 많은 교수자와 학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언어교육과 컴퓨터 활용 방안 문제에 대한 논의 시도들이 있어왔지만, 대부분 경우 외국어교과에서 새로운 미디어를 교실에 적용한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효과문제를 별도로 다루거나, 혹은 동시에 다루더라도 교수영역이나 지시영역 등 개별 학제에 국한되어 연구되었다. 이런 시각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교실과 교실 밖에서 동시에 실현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적절성, 사회화용적 기능과 내용, 언어와 문화 연계형 통합 교수·학습 전반을 거시적 관점에서 자리매김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한다.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라는 주제에 대한 천착은 언어 지향, 능력 지향, 기술 지향과 협동 언어 학습 지향이라는 외국어 교수·학습자의 경험에 대한 분석을 넘어서,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과 연구를 요구한다. 최근의 언어 교수학 연구에 있어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능력, 전략적 능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대한 관심의 급증은 주목할 만한 경향이지만, 이러한 성과가 실제 교수법으로의 수용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를 중심으로 과정을 중시한 언어 교수에 대한 인식과 언어의 실제적인 사용이 전제되고 언어 자체보다는 정보 획득 및 사회문화 습득을 위한 기능 연계 통합적 재현 사이에는 잠재적으로 풍부한 학문적 대화의 가능성이 있고, 이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인접 학문 사이의 소통을 자극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이론의 연구 성과를 언어교수법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본 연구는 학제간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대화의 통로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적 의사소통의 오류에 대한 연구는 언어표현의 적절성 실패, 언어와 연계된 문화의 문제, 실제적인 말하기 능력 부족,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의 맥락화 능력 그리고 충분한 듣기 입력의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학문적 시각과 방법론을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의사소통이 가지는 총체적인 변인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학습자가 현실 세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회문화 기능의 구축과 유창성, 정확성의 균형에 대한 연구는 MOOC 디지털 협력 학습을 기반으로 언어 이해와 표현의 통합, 그리고 어휘, 문법, 음성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하여 프랑스 문화와 일상, 행정 전반을 습득하고 통합 평가를 수행하며 가상교육, 자가 학습 등을 설명하는 데에도 좋은 사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의 FLE학습자들이 동일한 코스웨어를 수행함으로써 개인 학습의 진도상황을 자가 점검 하고 문법과 사회문화 튜터링 가이드를 통해 협동 학습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원격학습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두고 보면,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시의성이 매우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학술논문 형식으로 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외국어 평가론, 협동 언어 학습법, 말하기교육론, 멀티미디어 기반 문화연계 통합 언어 교육 연구 및 원격교육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학술 자료나, 관련된 연구 및 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현재 프랑스어권 FLE 교육 기관의 MOOC 기반 강의 결과, 평가에 관한 복합 전문적인 자료가 거의 전무한 국내의 실정을 고려해볼 때, 참고자료로서의 활용도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1)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에 대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2)프랑스어 원격교육 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의 정립, 3)프랑스어권의 MOOC 강의 정보 축적과 서비스, 4)프랑스 일상 문화 자료 제공 및 후속 세대 양성에 기여라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 말하는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 관련 교육적 활동이란 MOOC이라는 매개체를 기반으로 원격 언어교육의 특성을 갖는 학습자 주체와 학습의 전 과정이 프랑스 현지에서 사용 가능한 과제와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어떻게 프랑스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도록 하는가를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 활용 프랑스어 교육의 의미, 가치, 내용, 방향을 연구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다양한 인접 영역 사이의 융합을 추구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유연한 의사소통 접근법(심봉섭(2003:37)의 다양한 방법론적 경계를 넘어 기능 통합형 교수를 구축하는 계기가 되면서, 아직 국내에서 개념 정립 단계에 있는 프랑스어 원격교육 연구 토대를 구체화할 수 있는 이론적·실질적 기반을 구축할 것이다.
    본 연구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최근 언어 교육론 경향을 바탕으로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MOOC 기반 언어와 문화 연계 활동을 통해 관련 언어교수의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창출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활용하고 공유함으로써 프랑스어 원격 교육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 범위와 코스웨어 내용 분석은 1차적인 자료나 정보 수집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영역별 내용 교수론에 대해 연구를 함으로써 기능별 교수 영역과의 통합 연구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있다.
    본 연구 결과물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학문의 후속세대에게 프랑스어권에서 공유하는 FLE 학습의 다양한 유형에 대해 열린 시각으로 적용하게 할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과제의 추진 계획은 1단계(2018.9~2018.12): 자료 분석 및 연구 기반 조성, 2단계(2019.1~2019.4): 결과물 상용화를 위한 집필 구성, 3단계(2019.5~2019.8): 결과물 공급 단계로 진행될 것이다.
    먼저, 1단계 기간 동안 Vivre en France A1(초보), A2(기초), B1(중급)의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할 것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본 FLE 코스웨어는 A2와 B1이 세트로 먼저 출시되었는데 자율적인 자가 학습이 가능한 160시간(A2 70시간, B1 90시간) 프로그램으로 실용적이고 사회문화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각 시퀀스는 교육적으로 구성되었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을 도우는 문법(Lucie)과 사회문화(Marco) 튜터가 각각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자료들의 차이점들을 교수 기능별로 소개함으로써 문화 이해 연계 언어 학습을 심화시키고 프랑스어 의사소통의 적절성 향상에 일조하고자 한다.
    2단계에서는 코스웨어 내용 분석을 토대로, 본 구성을 교육적 활용으로서 문화 비교, 문화 감지 도구 활용, 문화 캡슐 활용, 문화 섬 활용, 참여 관찰의 항목으로 분류해보고자 한다. 3단계에서는 연구결과물이 가시화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의 언어 교수 경향이 전략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중점 내용이 될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를 구체화하고 구축하기 위해 국내외 선행 연구를 참조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할 코스웨어는 일방적인 수업의 방식이 아니라 분야별 가이드가 수업의 어려운 점을 도우며 피드백과 컨트롤 역할을 일정부분 하고 있으므로 어떻게 실제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적 시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서론, 문화 연계 언어 교수·학습의 개념, 중요성, 최근 언어 교수 경향과 MOOC기반 멀티미디어 매체의 적용 방법, Vivre en France A1, A2, B1 수업 관찰을 통한 비교 분석, 교육적 활용 평가 및 함의,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 교육 방안, 결론 순으로 연구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프랑스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하여 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문화가 연계된 사회 기능적 실제자료를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언어의 기능별 영역을 통합하여 교수하는 것이다. 결국 MOOC 기반 원격수업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화, 실제적 자료 활용, 상호활동, 협동적 학습을 토대로 다른 언어 기술과의 통합 교육을 위해 전략적 재생산이 될 수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구어와 문어 이해, 상호활동 그리고 표현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세부 목표로 두었다.
    본 연구는 첫째,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에 대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프랑스어 원격 교육 관련 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프랑스어권에서 대중적인 강의로 각광을 받고 있는 FUN-MOOC 강의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넷째, 프랑스 일상문화에 관한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실패가 단순히 문법이나 발음의 오류가 아닌 언어와 연계된 문화임을 재인식하고 문화교수 내용 연구에 보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과제를 진행하면서 분석한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 교육 활동은 교육적 매체인 MOOC를 토대로 한 원격 언어교육의 유형이며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될 수 있고 프랑스 현지에서 바로 수행이 가능한 실제적인 과제를 경험함으로써 대화의 맥락과 소통의 상황을 문화자료를 통해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를 통해 MOOC를 활용한 프랑스어 교육의 의미와 가치 및 방향성을 숙고해 볼 수 있었다. 결국 언어 교육측면에서는 영역별 내용 교수론과 기능별 교수 영역과의 통합 연구를 문화 교수의 틀에서 분석해볼 수 있었다.
  • 영문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at the cultural documents made by the MOOC can be mediating tools i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FLE which is my choice. This work seeks to make effective assets of social and educational interaction to help and facilitate this process. On the one hand, two research findings have been issued as follows: a) the MOOC system is considered to mediate through interaction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hypothesis proposed here is indeed that the "socio-cultural bath" in learning FLE on the remote screen can help this process. b) the use of multimedia documents in MOOC is evaluated as a tool for guided self-learning and self-evaluation to bring the target language, French as a foreign language, even outside the classroom.
    Such an examination makes it possible to assess the interest of guided teaching / learning on MOOC to bring French closer together and a mediation process for a socio-cultural exposure during communication. The expect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pproached from two open perspectives: that of th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mediated by MOOC; that of learners' self-learning on socio-cultural multimedia docum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문화 이해 능력을 연계한 MOOC 기반 프랑스어 학습 코스웨어 수업을 소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매체를 사용한 원격학습에서 보이는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하는 교육적인 활용을 연구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상의 행동문화를 담고 있는 프랑스의 코스웨어를 분석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강의는 Vivre en France A1, A2, B1 으로, 총 28개 주제로 구성된 56개 시퀀스를 최소 210시간에 걸쳐서 협동 언어 학습 형태도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표현의 적절성 실패와 사회화용적 오류를 줄이고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목표 문화에 친밀해짐으로써 사회문화적 맥락에 어울리는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했으며 하나의 방안으로 MOOC 강의가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배경은 신자유주의의 확산과 초국가적 정보기술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전 지구적이면서도 지역적인 특수성을 내포한 다문화 시대 글로컬 문화 환경에 있다. 언어교육의 경우 언어 자체에 대한 기능과 구조분석보다는 맥락언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사회문화를 습득하는 능력을 지향하게 되었으며 기술을 이용한 교육이 일반화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가 도래하였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여러 유형의 교육적 장치가 현시화되어, 개별적인 학습활동 이외에 프랑스어권에서 개발하는 코스웨어들을 전 세계 FLE 학습자들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성과를 참조하여 특히 실제 사회문화 자료를 연계한 프랑스어 원격학습이 기존의 교실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도 수행할 수 있는 과제와 평가를 포함하여 보다 적극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연구목표는 프랑스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하여 기능적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고 문화가 연계된 사회 기능적 실제자료를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언어의 기능별 영역을 통합하여 교수하는 것이다. 결국 MOOC 기반 원격수업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화, 실제적 자료 활용, 상호 활동, 협동적 학습을 토대로 다른 언어 기술과의 통합 교육을 위해 전략적 재생산이 될 수 있다. 방법론적으로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여 구어와 문어 이해, 상호활동 그리고 표현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세부목표로 두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첫째,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에 대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프랑스어 원격 교육 관련 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매체 활용을 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프랑스어권에서 대중적인 강의로 각광을 받고 있는 FUN-MOOC 강의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여 한국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넷째, 프랑스 일상문화에 관한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실패가 단순히 문법이나 발음의 오류가 아닌 언어와 연계된 문화임을 재인식하고 문화교수 내용 연구에 보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과제를 진행하면서 분석한 문화 연계 기능 통합적 말하기 교육 활동은 교육적 매체인 MOOC를 토대로 한 원격 언어교육의 유형이며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될 수 있고 프랑스 현지에서 바로 수행이 가능한 실제적인 과제를 경험함으로써 대화의 맥락과 소통의 상황을 문화자료를 통해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를 통해 MOOC를 활용한 프랑스어 교육의 의미와 가치 및 방향성을 숙고해 볼 수 있었다. 결국 언어 교육측면에서는 영역별 내용 교수론과 기능별 교수 영역과의 통합 연구를 문화 교수의 틀에서 분석해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의 결과로 1)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 작용, 2) 교육적 상호작용을 이론화하였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학습의 사회적 관계 이론의 연구 성과를 프랑스어 교수법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1)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 작용:그동안 언어적 의사소통의 오류에 대한 연구는 언어 표현이 상황에 부적절하고 언어와 연계된 문화의 학습이 부재했으며 또는 실제적인 말하기 능력이 부족하고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의 사회문화 맥락을 이해하는 역량 그리고 말을 하기 위해 뇌에 입력되어야하는 충분한 듣기와 같은 영역에서 다루었다. 따라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논의는 여러 학문적 시각과 방법론에 따라 발전되는 계기가 되어왔다.
    특히 의사소통이 가지는 총제적인 변인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학습자가 현실세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회문화 기능의 구축과 유창성, 정확성의 균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MOOC 디지털 협력 학습을 통하여 언어이해와 표현의 통합 그리고 어휘, 문법, 음성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을 개인적 또는 팀별로 수행했다. 그 결과 프랑스의 일상문화와 행정 전반을 습득할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통합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자가 학습, 가상 교육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2). 교육적 상호작용:Vivre en France의 장점은 국내·외의 FLE학습자들이 동일한 코스웨어를 경험함으로써 학습자는 개인 학습의 진도상황을 자가 점검하고 문법과 사회문화 튜터링 가이드를 통해 협동 학습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는 최근 원격학습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관계에 접목할 수 있어 시의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외국어 평가론, 언어 협동 학습법, 말하기 교육론의 흐름을 따르며 본 연구에서는 문화 연계 통합 언어 교육과 원격 교육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예컨대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학습이 아니라 교육적인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이 되고 대면수업이 아니라 반복학습을 위한 비대면 원격학습의 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언어 교수·학습에서 말하기 교육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과 다른 문화 배경을 가진 목표언어에 대한 이해는 향후 실제의사소통에 있어 새로운 변수의 발견이나 문화 연계 언어 교육중심 교수는 의사소통 접근법에 대한 분석에서 그동안 간과해온 새로운 측면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의사소통이 가지는 총체적인 변인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때 학습자가 현실 세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회문화 기능의 구축과 유창성, 정확성의 균형에 대한 연구는 MOOC 디지털 협력 학습을 기반으로 언어 이해와 표현의 통합, 그리고 어휘, 문법, 음성과 듣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하여 프랑스 문화와 일상, 행정 전반을 습득하고 통합 평가를 수행하며 가상교육, 자가 학습 등을 설명하는 데에도 좋은 사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국내·외의 FLE학습자들이 동일한 코스웨어를 수행함으로써 개인 학습의 진도상황을 자가 점검 하고 문법과 사회문화 튜터링 가이드를 통해 협동 학습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특히 최근에 원격학습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두고 보면, 교육적 상호작용과 학습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시의성이 매우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학술논문 형식으로 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외국어 평가론, 협동 언어 학습법, 말하기교육론, 멀티미디어 기반 문화연계 통합 언어 교육 연구 및 원격교육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학술 자료나, 관련된 연구 및 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현재 프랑스어권 FLE 교육 기관의 MOOC 기반 강의 결과, 평가에 관한 복합 전문적인 자료가 거의 전무한 국내의 실정을 고려해볼 때, 참고자료로서의 활용도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다.
  • 색인어
  • 프랑스어, 의사소통 접근법, 과제, 협동 언어 학습, 온라인 공개 강좌, 행동 문화, 문화 캡슐, 문화 섬, 참여 관찰, 능력 중심 교육, 실제성, 정확성, 유창성, 맥락, 컴퓨터 기반 언어 학습, 멀티미디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