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19세기 중국어성경번역이 동북아시아 성경번역과 문화와 언어생활에 끼친 영향
The Impact of Chinese Bible on the Northeast Asian Bible Translations, Cultures, and Languages in the 19th Centu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A2A03039195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3 년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안교성
연구수행기관 장로회신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석주(장로회신학대학교)
송강호
이두희(장로회신학대학교)
이상훈(한국학중앙연구원)
배정훈(장로회신학대학교)
김창선(장로회신학대학교)
서원모(장로회신학대학교)
최정섭(성공회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19세기 서양 그리스도교의 성경이 동북아시아에서 자국어(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을 면밀히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동북아시아 문화와 언어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먼저 당시 정치, 경제, 문화면에서 중심이 되고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던 중국에서 본래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로 표기되었던 성경이 어떻게 중국어로 번역되었는지 살피려고 한다. 그 다음 중국어성경번역의 영향 아래 진행되어진 만주어성경번역, 몽골어성경번역, 한글성경번역 과정을 관찰하면서 그 각각의 문화 및 언어적인 특징들은 무엇인지, 다시 말하여 서양의 사유 방식과 동양의 사유 방식 사이에 있는 비슷함과 다름이 무엇인지 기본 단서들을 발굴하려고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친 동북아시아의 성경번역이 어떻게 문화와 언어생활에까지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하고, 아울러 이 과정에서 한글이 어떻게 표준화되고 학술어와 문명어로 다듬어졌는지를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동서문명교류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서양의 사유 방식과 동양의 사유 방식 사이에 있는 비슷함과 다름이 무엇인지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어성경번역이 기타 동북아시아 여러 국가에 어떤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끼쳤는지 구체적 근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한글이 표준화되고 학술어와 문명어로 다듬어져 가는 과정에 한글성경번역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학술적으로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가 해명하려 하는 바는 다음 다섯 가지이다.
    첫째, 공동연구를 통해 동북아시아 성경번역의 역사 및 그 영향력을 연구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핀다. 둘째, 본래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로 표기되었던 성경이 중국어로 또한 기타 동북아시아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어떤 사유 방식과 어떤 개념들이 옮겨졌고, 어떤 것들이 옮겨지지 않았는지를 검토한다. 셋째, 동북아시아에서 제일 먼저 이루어진 중국어성경번역이 주변 동북아시아 다른 국가에는 어떤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끼쳤는지를 연구한다. 넷째, 특히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에 있어서 중국어성경의 한자어가 한글성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한다. 다섯째, 한글이 표준화되고 학술어와 문명어로 다듬어져 가는 과정에 한글성경번역이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를 학술적으로 검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9세기 서양 그리스도교의 성경이 동북아시아에서 자국어(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동북아시아 문화와 언어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탐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런 목적 아래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공동연구를 통해 동북아시아 성경번역의 역사 및 그 영향력을 연구하려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폈다.
    둘째, 본래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로 표기되었던 성경이 중국어로 또한 기타 동북아시아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어떤 사유 방식과 어떤 개념들이 옮겨졌고, 어떤 것들이 옮겨지지 않았는지를 검토하였다.
    셋째, 동북아시아에서 제일 먼저 이루어진 중국어성경번역이 주변 동북아시아 다른 국가에는 어떤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끼쳤는지를 연구하였다.
    넷째, 특히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한국에 있어서 중국어성경의 한자어가 한글성경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다섯째, 한글이 표준화되고 학술어와 문명어로 다듬어져 가는 과정에 한글성경번역이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를 학술적으로 검증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Bible of Western Christia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affected the culture and language life in Northeast Asia, by examining the process in which the Bible was translated into different vernacular languages such as the Chinese, the Manchu, the Mongolian and the Korean. In doing so, various topics have been research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joint research was made on the history of Bible translation in Northeast Asia and its influence on the region, and why this topic deserves a rigorous investigation in its own right.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Bible in the original languages such as the Hebrew, the Greek, including the Latin, was translated into the Northeast Asian languages, with the Chinese at the head of the list, focusing on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rejection of mindsets and concepts from the original languages to the targeted ones.
    Third, it also explored how the Chinese Bible, the first of its kind in Northeast Asia, affected the cultures and languages in other neighboring countries.
    Fourth, it investigated how the Chinese words used in the Chinese Bible influenced the Korean Hangeul(Korean vernacular language) Bible, considering the fact that both China and Korea historically belonged to the Chinese culture circle.
    Last but not the least, it examined what the impact of the Korean Hangeul Bible was on the Hangeul in the process of standardization as well as development into a language of academic and cultural ter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세기 서양 그리스도교의 성경이 동북아시아에서 자국어(중국어, 만주어, 몽골어,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을 면밀히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동북아시아 문화와 언어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연구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먼저 당시 정치, 경제, 문화면에서 중심이 되고 주변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던 중국에서 본래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로 표기되었던 성경이 어떻게 중국어로 번역되었는지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중국어성경번역의 영향 아래 진행되어진 만주어성경번역, 몽골어성경번역, 한글성경번역 과정을 관찰하면서 그 각각의 문화 및 언어적인 특징들은 무엇인지, 다시 말하여 서양의 사유 방식과 동양의 사유 방식 사이에 있는 비슷함과 다름이 무엇인지 기본 단서들을 발굴하려고 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친 동북아시아의 성경번역이 어떻게 문화와 언어생활에까지 영향을 끼쳤는지 살피고, 아울러 이 과정에서 한글이 어떻게 표준화되고 학술어와 문명어로 다듬어졌는지를 궁극적으로 연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결과물 활용: 도출된 연구성과물을 그리스도교 경전 번역 혹은 동서문화교류 등을 연구하는 관련 학자 및 연구자들과 공유하여, 본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지속적으로 보강 발전시켜도록 활용한다.
    2. 일반인 및 관심자들을 위한 연구결과물 활용: 도출된 연구성과물은 학술적 연구자들을 위한 활용뿐만 아니라 동아시아문화 속에서 다양한 문학과 예술영역, 구체적인 예를 든다면 스토리텔링, 영화, 드라마 등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목적하에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환경을 염두에 두고 연구성과물을 활용하려고 한다.
    3. 교내 수업을 통한 원전 강독 및 번역, 지식 확산: 도출된 연구성과물은 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수업을 통하여 원전을 강독하며 번역, 해제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그 지식을 확산하여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책임자의 대학교 학부에 개설되어 있는 <기독교와 한국사상>, <기독교와 동양사상>, <동양사상원전강독> 등의 과목, 대학원의 <철학과 신학>, <기독교와 문화 특강>, <아시아교회사>, <동아시아문화와 기독교>, <동양기독교고전강독> 등의 과목, 그리고 이와 연계된 비교 종교학적 연구와 역사신학 분야에서 본 연구의 성과물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발전시킬 것이다.
    4. 그리스도교 경전 번역과 동서문화교류에 대한 한자 색인과 사전 편찬: 도출된 연구성과물은 그리스도교 경전 번역 그리고 그리스도교를 통한 동서문화교류에 있어서 한자, 만주어, 몽골어, 한글 용어에 대한 색인집과 사전을 제작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성경번역, 중국어성경, 만주어성경, 몽골어성경, 한글성경, 천주, 상제, 하나님/하느님, 동북아시아 문화, 동북아시아 언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