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采蓮 작품의 향유방식으로 보는 장르적 소통 고찰
A Study on Communication of literature genres under the way of enjoy Cailian song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4262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수희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采蓮 작품이 향유방식에 따라 다양한 문학 장르가 가사문학으로 활용되었고, 동일제재로 인해 상호간에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졌음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채련을 다룬 南朝 民歌와 宮體詩, 初盛唐의 文人樂府詩, 晩唐五代와 北宋의 文人詞를 분석한 후, 상호비교를 통해 문학 장르 간의 소통양상을 구체저긍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문학 장르가 동일제재를 수용하고 변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미적 특성을 지향하는지 밝히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문적인 면에서, 첫째 문학 장르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학 장르 간의 경계가 상당히 유연해서 중국 문학이 실제로는 문학 장르 간에 부단한 소통을 통해 발전해왔음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장르인식은 복잡한 문학현상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둘째 한국의 가사 문학을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채련 작품은 대부분 가무공연으로 향유되었는데, 이는 악곡과 더불어 고려와 조선에도 빠르게 유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가사문학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우리의 가사문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게 될 것이다.
    사회적인 면에서, 고대중국의 상층문화와 하층문화가 서로 소통하는 방식을 파악하고 이를 현대중국을 이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민간 문화가 상층의 궁중문화에 전파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남조의 황제와 귀족이 자발적으로 민간의 채련 작품을 즐기던 문학현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愛情事, 가무공연, 노래가사가 인간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공통요인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국사회를 보다 쉽고 빨리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인력양성 면에서, 가사 문학 연구자를 육성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사 문학 장르가 정통문학과 통속문학의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들며 성장해왔음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가사 문학 장르에 관심과 흥미를 보이는 신진 연구자가 대두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 방면에서, 고대와 현대를 연결하는 중국문화 수업을 개설할 수 있다. 채련활동은 고대와 현대를 넘나들며 중국문화의 정수를 보여준다. 현재에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채련 문화가 풍성하다. 따라서 채련 문화를 다루는 문화수업을 개설하여 학생들의 중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채련을 다룬 남조 민가와 궁체시, 초성당의 문인악부시, 만당오대와 북송의 문인사를 대상으로 하여 상세한 분석을 가한 후, 상호비교를 통해 문학 장르 간에 구체적인 소통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 문학 장르가 지향하는 미적 특성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중점 연구내용은 채련 작품의 향유방식, 채련 작품에 대한 분석과 이해, 각 문학 장르간의 소통양상으로 나눠진다.
    1단계 연구는 채련 작품의 시대별 향유방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가무공연 면에서, 채련 작품은 대부분 가무공연의 형태로 향유되었다. 즉 채련 작품은 漢代부터 宋代까지 악곡을 배합하여 노래불리고 춤도 수반되었다. 이와 관련한 기록은 각 朝代의 樂志, 당대 前代 舊曲 및 당시 俗樂을 관장한 敎坊 관련 기록물과 송대 郭茂倩이 편찬한 ≪樂府詩集≫에 전하고 있다. 이를 대상으로 가무공연 기록을 찾아내어 그 향유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향유 층 측면에서, 채련 작품은 민간의 서민 계층부터 궁중의 황제와 귀족 계층, 또 그 중간의 문인 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 계층에 의해 향유되었다. 신분계층마다 각자의 언어와 문화를 사용하여 채련 작품을 창작하고 향유하였다. 그러므로 신분계층에 따른 향유방식이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2단계 연구로는 채련 작품을 추출하고 해당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학 장르가 장르적 정체성을 서서히 확립해가는 시기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이에 필자는 南朝와 初盛唐, 晩唐五代와 北宋이라는 경계적 시기에 대두된 채련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할 것이다. 그러면 남조의 민가와 궁체시, 초성당의 문인악부시, 오대북송의 문인사가 주요 연구 대상이 되는데, 이때 전대의 채련 작품은 비교의 대조군으로서 다뤄질 것이다.
    남조 민가와 초성당 문인악부시는 ≪樂府詩集·淸商曲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로 <采蓮曲>의 제목으로 전하는데 작품수가 그다지 많지 않다. 이외에 <江南弄>, <江南曲>, <長干曲> 등에도 채련 제재를 다루는데, 추후 작업을 통해 작품확보가 이뤄질 것이다. 그리고 오대북송의 문인사는 초기 문인사, 즉 花間詞와 南唐詞, 이를 계승한 北宋 문인사를 중심으로 해당 작품을 찾아내려고 한다. 특히 남당사는 吳聲의 본고장 建業을 중심으로 노래되었는바, 오성-남당사-북송의 晏殊와 歐陽修의 수용과 변용과정에 주목하려고 한다.
    3단계 연구로는 채련 작품에 대한 비교결과를 토대로 하여 문학 장르 간의 소통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문인악부시의 측면에서 민가와의 소통양상을 살펴본다. 여기서 초당 문인악부시는 이후 문인악부시의 경향을 제시하고 확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기존 연구는 이 시기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지만, 본 연구는 이 시기를 중심으로 하여 남조 민가와 문인악부시 간의 소통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문인사의 측면에서 민가와의 소통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남당사는 오성의 영향을 많고 북송 사에 영향을 주었다고 서술되는바, 오성 민가에서 남당사로, 다시 북송 사로 이어지는 일련의 연장선 위에서 문학 장르 간의 소통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한편 채련 제재의 문인사는 초기부터 雙調 小令과 聯章體의 詞體가 모두 유행했는데, 이런 현상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악곡의 다양성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중국 여성노동을 대표하는 연 따기의 노래, 즉 채련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노래가사가 변모하는 과정 속에서 노래가사 상호간의 소통현상을 살펴보는 작업이다. 채련노동은 강남에 기반한 南朝에 성행했는데, 이로 인해 남조 시기에는 황제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채련 작품을 창작하거나 이를 노래하면서 즐겼다. 따라서 황제와 그 주변 문인이 지은 宮體詩가 채련 작품의 가사로 활용되었다. 당나라가 건국된 이후에는 궁체시 풍의 작품이 남조 멸망에 기인했다고 판단되어, 문인들은 궁체시 풍의 채련 작품이 아니라, 민가 본연의 채련 작품으로 회귀하고자 하였다. 그러면서도 당대에 성행한 近體詩의 영향을 수용하여 민가풍이면서도 시적인 맛이 나는 채련 작품을 선보였다. 따라서 채련 작품은 남조 악부민가 류의 소박한 가사도 있고, 궁체시 풍의 화려하고 염정적인 가사도 있으며, 당시에 근접한 격식과 미학을 선보이는 가사도 있다. 채련 작품은 채련 악무를 중심으로 다양한 가사문학을 보여주는 만큼, 가사문학 상호간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고찰할 수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between songwriters and songwriter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lyrics of the song. Cailian Labor became popular in Gangnam-based Southern Dynasties,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Cailian works from the emperor to the working class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and enjoyed singing them. Thus, the royal palace built by the emperor and his neighboring literati was used as a lyric for Cailian works. Since the Tang Dynasty was founded, it was judged that the works of the Gongti style were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uthern Dynasties, so the literati wan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works of the folk song, not the works of the Gongti style. Nevertheless, the museum introduced a folk-style and poetic-flavored Cailian piece that accommodates the influence of the neighborhood that has been prevalent in the past. Thus, Cailian works include simple lyrics of the Southern Dynasties, splendid and suggestive lyrics of the Gongti style, and lyrics that show the style and aesthetics that were close at the time. As Cailian works show a variety of lyrics literature centering on Cailian music, we can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ides of household liter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采蓮 작품이 향유방식에 따라 다양한 문학 장르가 가사문학으로 활용되었고, 이때 동일제재로 인해 상호간에 활발한 소통이 이루어졌음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채련을 다룬 南朝 시기 民歌와 宮體詩, 初盛唐의 文人樂府詩를 세밀하게 분석한 후, 상호비교를 통해 문학 장르 간에 어떤 소통이 이루어지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각 문학 장르가 동일제재를 수용하고 변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미적 특성을 지향하는지 밝히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채련 작품의 향유방식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채련 작품에 대한 분석 작업을 진행한 후 각 문학 장르간의 소통양상으로 고찰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작업은 우선 민가가 궁체시로 변모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한대 민가는 강남, 연, 물고기의 세 요소로 구성되며 상당히 비유적이다. 연과 물고기의 유희가 남녀교제를 비유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句法이 노래이기 때문에 단순하고 반복적이다. 마치 ≪詩經≫처럼 한 두 글자만 바꾸는 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남조 황제와 문인들이 창작한 채련 궁체시는 강남의 채련 장소가 물가와 배위로 나뉘어 제시되고, 물고기 대신 아름다운 채련녀가 등장한다. 특히 황제의 작품에서는 獻花라는 충성의 징표로서 연꽃이 활용되거나, 자신의 충정을 표현하는 屈原이 말한 바 있는 ‘荷衣’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는 기존의 문학전통을 십분 활용한 것으로, 노래가 점차 문학작품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당 전기 문인악부시는 이러한 궁체시의 전통보다는 민가적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남조의 멸망이 쇠미한 문풍에서 기인한다는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당시 사대부문인들은 궁체시의 불건전한 문풍보다는 민가의 건전한 전통을 차용하여 당대의 새로운 문풍을 세우려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당대적 전통의 수립은 王勃의 <採蓮歸>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한편 왕발이 창시한 채련 악부의 창작 전통은 李白에 의해 일신된다. 이백은 채련 작품에서 등장인물 간의 대화를 선보였는데 이는 희극성이 있는 가사문학으로서 후대 사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는 악무문화와 가사문학을 상관지어 연구하는 것이다. 채련 악무 또한 악무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한대부터 송대까지 중원문화를 대표하는 淸商樂舞로서 향유되었다. 당송 시기에는 악무 공연이 궁중에서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번성했는데, 그중에서도 청상악무는 당 이전부터 송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긴 세월 동안 궁중과 민간의 사랑을 받았다. 이에 청상악무의 가사문학은 각 시대에 성행하던 문학 장르를 활용하여 창작되었다. 그래서 청상악무의 가사는 동일한 공연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학 장르의 미학을 선보이며 전파되고 향유되었다. 동일한 제재와 내용인데, 각 문학 장르의 미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이처럼 악무공연은 대중들이 선호하는 제재를 제공하였고 그래서 각 문학 장르마다 공통된 내용과 제재의 작품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악무공연과 연계하여 가사문학 및 다른 장르의 문학작품을 살펴볼 필요가 대두된다.
  • 색인어
  • 채련노동, 채련곡, 민가, 궁체시, 문인악부시, 문인사, 향유방식, 장르소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