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 연구
A study of quotation in Jeju dialec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4374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미진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용은 ‘남의 말이나 글을 자신의 말이나 글 속에 끌어 씀’을 말한다. 어떤 발화를 전달하기 위해 또 다른 발화를 행하는 것이 인용이다. 전달되는 발화의 화자와 청자, 다시 그것을 전달하는 화자와 청자가 각각 전제되어야 한다. 전달되는 피인용문, 피인용문이 원래의 화자에 의해 발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용 동사, 이 둘을 연결하는 인용 표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인용문에서는 피인용문의 서술어 형태가 인용 표지를 결정짓는 주된 요인이 된다. 인용문은 독립된 두 개의 문장이 결합된 복합문이고 복합문 형성을 위해서는 피인용문의 문장 종류에 따라서 인용 표지의 모습이 변화한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은 다른 지역어와 달리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인용 표지 형태가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직접 인용이든 간접 인용이든 동일한 인용 표지 ‘-엔(~엥)’을 사용한다. 간접 인용문에서는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가 축약되어 나타나는데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축약형을 보인다. 제주도 방언이 다른 지역어나 표준어와의 접촉으로 그 특징적 모습이 사라지고 있는데 인용문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축약된 형태가 예전에는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유지했던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다양성이 없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그동안 제주도 방언에서 인용문의 연구는 전통 방언학적 접근이 주를 이뤘는데 실제 발화 상황에서 어떠한 변화를 겪고 있는지 사회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종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이 표준어와 다른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 특징이 세대별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고 활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제주도 방언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는 전통방언학의 입장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고 사회언어학적 연구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지역적 변인에 초점을 두는 전통적 방언 연구에서 언어의 사회적 변화에 시선을 돌리는 사회언어학적 연구로 방언학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사라져 가는 제주도 방언에 대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가치를 찾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방언은 제주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방언은 실제 발화되는 구어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어야만 그 의미를 가진다. 단순히 사전 속의 언어가 아니라 실제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제주도 방언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인용문과 인용 표지에 대해 그 형태들을 확인하고 기능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실제 화자들이 사용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구어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자료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 표지가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방언 문법 교육의 자료로 활용되고 제주도 방언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제주도 방언이 2010년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의 언어’로 분류되고 제주도 방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초중고등학교 수업 활용 교재로 다양한 제주도 방언 교육 자료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국내 제주 이주민, 여성결혼이민자 등 제주지 역의 많은 사람들이 방언 교육을 희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방언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변화하는 언어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제주도 방언을 구사하는 노년층과 청년층의 언어의 현실을 살펴보고 제주도 방언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종류와 구조를 살펴보고 세대별 변화 양상을 분석할 것이다. 제주도 방언 인용문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인용 표지다. 종결어미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인용 표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인용문의 제약이 표준어와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높임법이 남아있다거나 인용 표지가 생략되지 않는 등의 제주도 방언만의 특징도 있다. 이러한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알아보려고 한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에서 종결어미의 끝 모음에 따라 달라지는 인용 표지가 세대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직접 인용문의 경우 인용 표지가 생략될 수도 있지만 간접 인용의 경우 인용 표지를 생략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 특징을 명확히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표준어와의 접촉에 의한 언어의 변화가 음운, 어휘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통사론적 측면에서도 나타남을 말하는 것이다. 즉,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인용 표지가 청년층에서 중화되거나 단순화되는 모습을 확인하고자 한다.
    제주도 방언에서 80대 화자는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를 결합하여 다양하게 간접 인용문을 만드는 반면 20대 화자는 문장 종류에 따른 대표적인 종결어미로 중화하여 인용 표지와 결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중간 세대인 50대의 경우도 어느 정도 변화하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세대별로 간접 인용문 인용 표지의 변화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설문지를 작성하여 문장 종류에 따라 종결어미의 모습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조사할 것이다. 그리고 그 안에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어떤 이유가 있는지 알아보려 한다.
    제주도 방언에서 인용문의 제약 표준어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볼 것이다. 표준어의 경우 간접 인용절의 시제는 말할 때의 시제를 그대로 사용한다. 인용 표지가 생략되기도 하고 인용동사가 생략되기도 한다. 표준어의 간접 인용절에서는 상대높임법이 실현되지 않는다. 직접 인용문에서 사용된 ‘-습니다’는 간접 인용에서는 ‘-다’로 바뀌어 실현된다. 그러나 제주도 방언에서는 높임법이 그대로 나타난다. 또한 인용 표지가 생략되는 일이 드물다.
    표준어와 제주도 방언의 제약이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제주도 방언만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제약이 세대별로 어떻게 남아 있는지 변화한다면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구술 자료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조사하고 분석하려고 한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 특징과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를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제주도 전 지역을 조사하여 구술 채록한 제주어 구술 채록 보고서 36권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이 자료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받아 제주도를 12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방언 제보자를 선정하고 생애사 및 어휘를 조사한 것이다. 이 중 생애사 구술 발화를 채록한 자료를 분석하여 실제 발화에서 인용문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사회언어학적 방법을 통해 세대별 인용문 사용 양상을 조사할 것이다. 다양한 인용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지를 작성하고 세대별 지역별로 조사 대상을 선정하여 확인 작업을 수행하려고 한다. 80대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 장년층인 50대가 사용하는 언어, 방언을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20대가 사용하는 언어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도 방언은 제주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방언은 실제 발화되는 구어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어야만 그 의미를 가진다. 단순히 사전 속의 언어가 아니라 실제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제주도 방언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인용문과 인용 표지에 대해 그 형태들을 확인하고 기능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실제 화자들이 사용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구어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 표지가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은 다른 지역어와 달리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인용표지 형태가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구어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간접인용문에서는 문장종류별로 중화된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가 축약되어 문장을 만든다. 이 부분에서 제주도 방언의 간접인용문은 표준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인용 표지가 문장종류별로 하나의 어미로 중화되지 않고 다양한 종결어미에 바로 결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문장 종류별로 다양한 종결어미와 결합한 인용표지의 모습 노년층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축약된 형태가 예전에는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유지했던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다양성이 없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제주도 방언이 다른 지역어나 표준어와의 접촉으로 그 특징적 모습이 사라지고 있는데 인용문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quotations are used in Jeju dialect and analyze their aspect of change. Jeju dialect is the means of showing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Jeju people. Dialect becomes significant only when it is used in everyday convers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and study Jeju dialect that is actually being used in Jeju Island, rather than studying the language in a dictionary. In this research, quotations and quotation markers that have been studied by previous literature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forms, functions, and usages to investigate how actual speakers are using them in real life. Also, anothe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and verify the current status of quotation markers of Jeju dialect that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andard language.
    In quotations of Jeju dialect, it is known that the quotation markers of an indirect quotation and a direct quotation are identical. Since they are colloquial,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m. In an indirect quotation, a sentence is made based on neutralized final endings and abbreviated quotation markers. In this aspect, an indirect quotation of Jeju dialect is different from that of standard language. The quotation markers are not neutralized into a single ending but are directly attached to diverse final endings.
    In particular, the elderly are more prominent in using quotation markers that are attached to diverse final endings. In the past, various abbreviated forms remained depending on the type of final endings but the variety is no longer found in the language used by younger generations. Jeju dialect in general is losing its uniqueness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dialects from other areas, which is also evident in the usage of quot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도 방언은 제주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방언은 실제 발화되는 구어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어야만 그 의미를 가진다. 단순히 사전 속의 언어가 아니라 실제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제주도 방언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인용문과 인용 표지에 대해 그 형태들을 확인하고 기능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실제 화자들이 사용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구어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 표지가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은 다른 지역어와 달리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인용표지 형태가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구어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간접인용문에서는 문장종류별로 중화된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가 축약되어 문장을 만든다. 이 부분에서 제주도 방언의 간접인용문은 표준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인용 표지가 문장종류별로 하나의 어미로 중화되지 않고 다양한 종결어미에 바로 결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문장 종류별로 다양한 종결어미와 결합한 인용표지의 모습 노년층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축약된 형태가 예전에는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유지했던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다양성이 없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제주도 방언이 다른 지역어나 표준어와의 접촉으로 그 특징적 모습이 사라지고 있는데 인용문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이 중앙어와 동일하게 간접화가 이뤄지지 않고 왜 다양한 인용 표지가 나타나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제주도 방언 화자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인용문을 찾아 보았고 세대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은 다른 지역어와 달리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인용 표지 형태가 동일하다고 알려져 있다. 직접 인용이든 간접 인용이든 인용문의 구조는 피인용문의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 ‘-엔(~엥)’, 인용 동사의 구조로 분석된다. 간접 인용문에서는 종결어미와 인용 표지가 축약되어 나타나는데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축약형을 보인다. 축약된 형태가 예전에는 종결어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유지했던 반면 젊은 세대일수록 다양성이 없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제주도 방언이 다른 지역어나 표준어와의 접촉으로 그 특징적 모습이 사라지고 있는데 인용문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의 특징은 무엇인지 그 특징이 세대별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표준어와의 접촉에 의한 언어의 변화가 음운, 어휘적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통사론적 측면에서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년층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인용 표지가 청년층에서 중화되거나 단순화되고 표준어화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도 방언의 인용문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첫째, 제주도 방언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는 전통방언학의 입장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고 사회언어학적 연구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지역적 변인에 초점을 두는 전통적 방언 연구에서 언어의 사회적 변화에 시선을 돌리는 사회언어학적 연구로 방언학의 영역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사라져 가는 제주도 방언에 대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가치를 찾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주도 방언은 제주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는 도구이다. 방언은 실제 발화되는 구어로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어야만 그 의미를 가진다. 단순히 사전 속의 언어가 아니라 실제 제주도에서 사용되는 제주도 방언을 조사하여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주도 방언 연구 분야에서 연구되었던 인용문과 인용 표지에 대해 그 형태들을 확인하고 기능과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실제 화자들이 사용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구어에서 활용되는 모습을 자료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 제주도 방언의 인용 표지가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방언 문법 교육의 자료로 활용되고 제주도 방언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제주도 방언이 2010년 12월 8일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의 언어(4단계)’로 분류되었으며 그 후 제주도 방언에 대한 인식과 태도도 변화하고 있다. 초중고등학교 수업을 위한 다양한 제주도 방언 교육 자료가 만들어지고 있다. 국내 제주 이주민, 여성결혼이민자 등 제주 지역을 찾는 다양한 사람들이 방언 교육을 희망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제주도 방언 교육 자료도 만들어질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방언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변화하는 언어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제주도 방언을 구사하는 노년층과 청년층의 언어의 현실을 살펴보고 제주도 방언의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제주도 방언, 인용문, 인용표지, 간접 인용, 직접 인용, 세대별 변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