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고적, 역사적 자료를 통한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역대지략 다시쓰기
Rewriting of the Annals of the Kings of Israel and Judah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urc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8S1A5B5A07074013
선정년도 2018 년
연구기간 1 년 (2018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미영
연구수행기관 서울신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는 이미 역사서의 많은 부분들이 저자의 관점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되어 기록된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예들은 이스라엘 역사에 상당히 많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유일하게 이스라엘의 역사를 담고 있는 성경이 역사적 관점이 아닌 종교적 관점에서 쓰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하여 성경은 왕들의 업적 중 종교적 업적에 치중하고 있으며 정작 그들의 정치적 역사적 행보는 왕의 인생을 마감하는 절에 가서 "역대지략"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가로 끝을 맺는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이 역대지략이 전수되지 않았고 결국 우리는 왕의 정치적 역사적 업적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최근 고고적 역사적 자료들은 이 잊혀진 공간들을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스라엘 내에서 발견된 유물들뿐만 아니라 근동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이스라엘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고적 역사적 자료들을 연구하고 이스라엘 역사의 역대지략에 기록되었을 법한 왕들의 업적을 다시 쓰는 일을 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성경을 통해서만 이스라엘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을 돌려 세계사 속에 등장하는 이스라엘 역사를 연구하고자 한다. 주변 국가들과 문화 속에 남겨져 있는 자료들을 함께 비교 연구함으로서 진실된 역사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각인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인지 아래 신학계는 물론이거니와 세계 역사 속에 잊혀 있던 이스라엘 왕들의 모습을 재조명하게 될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성과에 따라 출판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이 연구가 출판된다면 이스라엘 역사와 중동사의 수업의 교재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최근 Mario Liverani (2007)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normal history”와 "invented history”로 나눈 바 있다 . 특별히 그는 “normal history" 속에서 남왕국 유다와 북왕국 이스라엘을 연구하여 근동 역사에서 이스라엘 왕들의 정확한 정치적 행보를 따라가고자 했다. 성경에서의 왕들은 그들의 종교적 업적에 대해 보다 집중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더구나 북 왕국 이스라엘의 이방신을 섬기는 행태는 성경 기록자들에게 용서할 수 없는 사실이었고 그들의 정치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얼마나 뛰어났던가는 치하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세계사 속에 등장하는 왕들의 업적은 “normal history” 역사에서는 제외되어 버리고 말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왕들의 업적을 이스라엘과 고대근동에서 발견된 많은 고고적 자료들과 역사적 자료들을 연구하여 다윗, 솔로몬, 오므리와 아합, 히스기야, 요시야등 대표적인 왕들의 정치적 업적을 기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경에 묘사되어 있는 왕들에 관한 구절과 함께 성경 외적 자료들에 드러난 그들의 모습을 고찰하고 종교 역사 속에서 묻혀버린, 이스라엘의 "normal history" 역사 속에서의 그들의 업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이 왕들이 행한 그 남은 사적과 그가 부린 권세가 기록되어 있지만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역대지략의 역사를 채울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우리는 이미 역사서의 많은 부분들이 저자의 관점에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되어 기록된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예들은 이스라엘 역사에 상당히 많이 드러나고 있으며 이는 유일하게 이스라엘의 역사를 담고 있는 성경이 역사적 관점이 아닌 종교적 관점에서 쓰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하여 성경은 왕들의 업적 중 종교적 업적에 치중하고 있으며 정작 그들의 정치적 역사적 행보는 왕의 인생을 마감하는 절에 가서 "역대지략"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한가로 끝을 맺는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이 역대지략이 전수되지 않았고 결국 우리는 왕의 정치적 역사적 업적에 대해서는 알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최근 고고적 역사적 자료들은 이 잊혀진 공간들을 채워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스라엘 내에서 발견된 유물들뿐만 아니라 근동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이스라엘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고적 역사적 자료들을 연구하고 이스라엘 역사의 역대지략에 기록되었을 법한 왕들의 업적을 다시 쓰는 일을 하고자 한다. 대상이 되고 있는 왕들은 다윗, 오므리와 아합, 예후, 히스기야, 요시야이다. 다윗의 경우 텔 단 석비와 최근 다윗성에서 발견된 유적과 유물들을 통해 그의 존재성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질 것이다. 북왕국 이스라엘의 대표적인 왕가가 되었던 오므리와 아합은 사마리아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물과 모압 땅에서 발견된 메사석비, 그리고 마구간 등을 통해 그들이 중앙 집권을 어떻게 이루어냈는지 살펴볼 것이다. 예후의 경우 앗수르에서 발견된 블랙오벨리스크를 통해 그가 주변국들의 역사에서 북왕국 이스라엘을 어떻게 사라지게 했는지 그의 종교적 업적이 아닌 역사적 업적을 다룰 것이다. 남왕국 유다의 히스기야의 경우 앗수르 왕 산헤립과의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가 건설한 망대와 수로 그리고 이 전쟁의 기록이 남겨진 니느웨의 벽부조를 통해 무엇이 역사적 진실인지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남왕국 유다의 마지막 촛불을 밝혔던 요시야의 고고적 흔적을 통해 유다 역시 어떻게 역사의 기록에서 마지막 클라이막스를 맞이했는지 드러낼 것이다.
  • 영문
  • The Bible is the only book which contained a part of history of Israel. However, the authors of the Bible recorded Israel in a religious point of view rather than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y always mentioned that if the readers want to know more about achievements of kings then see the book of "annals of the kings of Israe"l. Unfortunately, this book does not exist at present and it is hard to complete the history of Israel from an overview. Recently, historians have been working on archiving archaeological, literary, and historical sources in near eastern area in order to study the history of Israel. By such studies, we have been able to follow the political movements of the kings of Israel in "normal history", not "invented history" made by the emphasis on religious achievements. These are kings who will be dealt in this study: David, Omri, Ahab, Jehu, Hezekiah, and Josiah. In the case of David, his existence will be discussed through the Tel Dan stele and the remains recently discovered in the city of David. Omri and Ahab, two representative kings of northern kingdom of Israel, will see how they achieved central power through various artifacts found in Samaria, Mesha stele found in the land of Moab, and the stables. In the case of Jehu, the Black Obelisk, found in Assyria, will deal with his historical achievements, not his religious achievements, how he made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disappear from the history of its neighbors. In the case of Hezekiah, the king of Judah, the historical truth will be revealed through the towers and waterways he built to survive the war with Sennacherib king of Assyria and the wall reliefs of Nineveh where the record of the war was left. Finally, the archaeological traces of Josiah, who lighted the last candle of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will unearth how Judah reached the last climax in the historical recor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Mario Liverani (2007)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normal history”와 "invented history”로 나눈 바 있다 . 특별히 그는 “normal history" 속에서 남왕국 유다와 북왕국 이스라엘을 연구하여 근동 역사에서 이스라엘 왕들의 정확한 정치적 행보를 따라가고자 했다. 성경에서의 왕들은 그들의 종교적 업적에 대해 보다 집중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더구나 북 왕국 이스라엘의 이방신을 섬기는 행태는 성경 기록자들에게 용서할 수 없는 사실이었고 그들의 정치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얼마나 뛰어났던가는 치하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세계사 속에 등장하는 왕들의 업적은 “normal history” 역사에서는 제외되어 버리고 말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왕들의 업적을 이스라엘과 고대근동에서 발견된 많은 고고적 자료들과 역사적 자료들을 연구하여 다윗, 솔로몬, 오므리와 아합, 히스기야, 요시야등 대표적인 왕들의 정치적 업적을 기록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오므리(기원전 886-874년)는 열왕기에서는 단지 14절(왕상 16:15-28)로 그의 생애가 소개되고 있고 역대기에서는 아달랴의 아버지라는 위치로 단 한 번 등장할 뿐이다(대하 2:22). 역대기에서는 그가 이스라엘의 왕이었는지 조차도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오므리는 추종자들에 의해 왕이 되었을 만큼 능력이 있었던 군대 장관이었으며 비록 12년의 짧은 재위 기간이었지만 그의 아들 아합이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초석을 마련한 왕이었다고 본다. 이러한 그의 업적은 고대 근동의 자료들을 통해 우리는 더욱 확인할 수 있다. 앗시리아의 기록을 통해 이미 잘 알려진 것처럼 그의 이름은 "오므리의 집 bit-Humri"으로서 남겨져 있기에 그의 위치가 그저 아합의 아버지로서 기억될 이는 아닐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예를 근거로 본 연구는 성경에 묘사되어 있는 왕들에 관한 구절과 함께 성경 외적 자료들에 드러난 그들의 모습을 고찰하고 종교 역사 속에서 묻혀버린, 이스라엘의 "normal history" 역사 속에서의 그들의 업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이 왕들이 행한 그 남은 사적과 그가 부린 권세가 기록되어 있지만 우리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역대지략의 역사를 채울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성경을 통해서만 이스라엘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을 돌려 세계사 속에 등장하는 이스라엘 역사를 연구하고자 했다. 이렇게 될 때 우리는 성경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왕들의 역대지략을 다시 쓸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역사서가 때론 기록자에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결국 역사를 읽는 것은 한 나라의 기록에만 치중해서는 안된다. 주변 국가들과 문화 속에 남겨져 있는 자료들을 함께 비교 연구함으로서 진실된 역사의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각인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인지 아래 신학계는 물론이거니와 세계 역사 속에 잊혀 있던 이스라엘 왕들의 모습을 재조명하게 될 것이다. 연구자는 연구 성과에 따라 출판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이 연구가 출판된다면 이스라엘 역사와 중동사의 수업의 교재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북왕국 이스라엘, 남왕국 유다, 역대 지략, 일반 역사, 조작된 역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