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벌거벗은 존재들의 도래하는 공동체: 현대 미국 소설 속 난민 재현의 잠재성과 그 한계 연구
Coming Community of Bared Life: Study on the Limit and Potentiality of Representation of the Refugees in Contemporary American Literatu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8-2019S1A5A8037873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5월 01일 ~ 202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대중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현대 미국 소설에서 나타난 난민의 재현과 그 재현의 한계를 살펴보려 한다. 문학 외적으로도 난민은 최근에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되었다. 1951년 난민협약이 체결되고 유엔난민기구(UNHCR)가 창설되었다고 하여도 난민은 대한민국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는 이슈였다. 그러나 최근에 예멘인들의 제주도에서의 난민 신청 이후로 난민 문제는 국제적 주목을 받았을 뿐 아니라 국내에세도 큰 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사실 한국 전쟁 전후로 수많은 난민들이 존재했던 한반도에서 난민문제는 우리 자신의 문제였다. 따라서 난민 이슈는 우리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며 다가오는 새로운 국제 질서에 대한 우리의 대응태도를 결정해야 하는 사안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난민 이슈의 점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난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며 특히 영미권을 비롯한 서구에서의 난민에 대한 문학 작품을 통한 재현에 대한 연구 역시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더구나 이들 작품들에서 나타난 난민의 재현과 그들의 정치적, 혹은 보다 근원적인 문제의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논의한 연구 역시 미진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난민이슈가 오랫동안 문제시 된 미국에서 난민 출신 작가가 썼거나 난민 문제에 관련된 작품들을 연대기순으로 살펴보고 이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 작품들에 재현된 난민들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작품 속 난민들의 재현 방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으로 포괄적이면서도 심도 깊은 난민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 영문학계에서 수행하는 거의 첫 난민의 재현에 대한 집중적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단순히 이론적 연구가 아니라 실제 문학작품 속에서의 재현을 다룬다는 점에서 난민에 대한 이론과 문학의 접목을 실천할 것이다.
    2. 지금까지 미국 문학 속 난민 문제가 개별 작품들 혹은 두 작품의 비교에 맞춰진 반면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들을 계보적으로 수행하는 본 연구는 보다 심도 있고 융합적인 연구가 가능하도록 만들 것이며 이 연구를 통해 향후 더욱 세밀하고 깊이 있는 후속 연구로 이어질 것이다.
    3.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급부상한 난민 문제를 다룸으로써 한국사회 올바른 난민 담론형성에 기여할 것이며 난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것이다.
    4. 난민에 대한 연구는 영미문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 연구 진행 과정에서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세미나들을 자주 열고 연구를 바탕으로 수업시간에 난민문제를 다룸으로써 학생들에게 난민과 재현에 대해 고민해 볼 시간을 줄 것이다.
    5. 실제로 영문학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이러한 연구는 한국 대학 교육에 난민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미국 소설 문학 커리큘럼으로 이어질 것이다.
  • 연구요약
  • 난민은 국제법에 분명히 존재하지만 법적 위치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개념규정이 되어 있지 않다. 다만 난민이 이민과 다르게 각국의 법으로 통제되는 이주가 아니라 자연재해나 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군의 인간(들)의 이주를 일컫는다고 볼 때 난민은 인간 존재의 법률적 상태를 의미한다. 하지만 ‘난민’은 근원적으로 근대 이후의 국민국가의 한계와 모순을 드러내는 존재들이기도 하다. 난민의 개념은 다른 움직이는 벌거벗은 존재들과 중첩된다. 데리다는 「환대」(“Hospitality”)라는 글에서 환대는 문턱이 없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늘 미래에만 가능하고 현재는 가능하지 않은 현상이라고 본다. 문턱은 국경을 통해 늘 존재하고 환대는 우리의 사유에서만 가능할 뿐 현실에서는 장벽과 국경으로 막혀 있다.
    환대가 미래의 개념에 불과하다면 생명이 정치를 통해 배제되는 생명관리정치 속 난민들의 생명은 국가의 장치들에 의해 배제된 벌거벗은 생명들이다. 죠르지오 아감벤은 『목적 없는 수단』(Means without Ends)에서 “국가들의 공간이 이렇게 구멍 뚫리고 위상학적으로 변형되는 땅에서만, 그리고 시민이 스스로를 난민으로 인정할 수 있는 땅에서만, 오늘날 인류의 정치적 생존을 사유할 수 있다”라고 주장한다(37). 아감벤의 용어를 빌자면 난민은 국가권력의 허약성과 인권 개념의 모순을 여지없이 드러내는 예외상황 속 ‘벌거벗은 존재’들이며 “도래하는 공동체”를 이룬다. 아감벤은 생명관리정치(bio-politics)가 근대의 장치라는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논의를 넘어서 고대로부터 생명관리장치가 작동한 방식을 계보학적으로 추적한다. 아감벤에 따르면 고대 로마법에서부터 이미 성스러움이라는 명칭 아래 어떠한 법의 보호도 받지 못하고 성스러운 희생조차 거부당했지만 언제라도 누구라도 살해할 수 있는 ‘성스럽지 못한 존재들’을 의미하는 ‘호모 사케르’(homo sacer)가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정치신학적 배제에 근현대까지 이어진 생명관리장치가 작동하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아감벤은 ‘벌거벗은 인간’인 조에(zoe)로서의 존재가 어떻게 정치적 존재인 비오스(bios)로부터 분리되고 전자가 후자와 배제와 포함의 보충대리적 관계를 통해 인간 존재를 늘 ‘벌거벗은 존재’로 만들 수 있는 상황에 처하게 했는지 논한다. ‘벌거벗은 존재’는 연민의 대상이나 동정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난민과 같은 벌거벗은 존재와 정치적 존재가 통합되어 형성되어야 할 ‘형태로서의 인간’이 ‘성스러움’의 너울 아래, 그리고 예외상황 속에서 어떻게 ‘형태들로서의 인간’으로 분열되고 정치상황 속에서 타자화 되는지를 아감벤은 추적한다.
    본 연구는 우선 난민문제를 정치철학적 의미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죠르지오 아감벤을 통해 미학과 존재론적 측면으로까지 확장하고 이를 근대 이후의 미국 소설 속에서의 난민 작가나 난민을 다룬 미국 작가들의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다는 것에 방점을 두고 있다. 1년차 때의 이론적 탐구 이후 2년차부터는 다양한 미국 현대 소설 속 난민재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플래너리 오코너(Flannery O’Connor)의 「난민」(“The Displaced Person)속 난민의 의미와 재현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왜 오코너가 1,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발생한 유대인 난민의 문제를 존재론적이고 신학적 차원으로까지 펼쳤음에도 난민문제에 대한 제대로 된 정치적 의미를 거부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러시아 출신의 난민 작가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의 『프린』 (Prin)속 난민의 재현을 살피고 난민의 정체성의 형성을 실제 난민 작가가 어떻게 재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3년차에는 베트남 난민 출신의 미국작가인 비엣 탄 응우옌(Viet Thanh Nguyen)의 『동조자』(The Sympathizer)와 단편집인 『난민들』(The Refugees)를 분석하여 어떻게 난민 경험이 디아스포라 경험과 연결되는지를 살피고 전쟁과 트라우마를 어떻게 작가가 재현하려 하면서도 그 재현의 한계를 보여주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저자가 어떻게 난민을 아감벤이 논하는 ‘도래하는 공동체’로 보여주려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내전을 통해 발생한 난민의 재현의 한계를 보여준 작품으로 데이비드 에거스(Dave Eggers)의 『무엇은 무엇이다』(What is the What)이라는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 소말리아 ‘잃어버린 아이들’ 출신의 난민과의 인터뷰에 기반한 이 자전적 소설는 ‘벌거벗은 삶’으로서의 난민이 갖는 트라우마와 그 의미를 잘 보여주면서도 백인 작가에 의해 재현된 난민의 생명과 언어가 사라지는 재현의 윤리 문제를 가지고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는 난민이슈가 오랫동안 문제시 된 미국에서 난민 출신 작가가 썼거나 난민 문제에 관련된 작품들을 연대기순으로 살펴보고 이론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 작품들에 재현된 난민들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하고 작품 속 난민들의 재현 방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난민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만들어 최근에 많은 논의와 논란을 일으킨 이탈리아 철학자 죠르지오 아감벤(Giorgio Agamben)의 사상과 이에 관련된 이론적 맥락을 우선 살피고자 했다. 죠르지오 아감벤의 ‘벌거벗은 인간’을 지칭하는 ‘호모 사케르’(Homo Sacer)와 법의 공백을 통한 법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공간인 ‘예외상태’(State of exception)와 난민과 같은 예로 등장하는 현대 정치철학의 화두인 ‘도래하는 공동체’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우선 시도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맥락의 기저에 있는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인권과 난민의 문제를 살피고 현대 난민 문제의 최전선에서 아감벤과 논쟁 중에 있는 자끄 랑시에르(Jacque Ranciere)나 슬로보에 지젝(Slavoj Zizek) 등의 논의들을 살피고자 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창의성은 이러한 이론적 탐구에만 그치지 않는다는 것에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는 우선 난민문제를 정치철학적 의미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죠르지오 아감벤을 통해 미학과 존재론적 측면으로까지 확장하고 이를 근대 이후의 미국 소설 속에서의 난민 작가나 난민을 다룬 미국 작가들의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다는 것에 방점을 두고 있다. 1년차 때의 이론적 탐구 이후 2년차부터는 다양한 미국 현대 소설 속 난민재현을 연구하고자 했다. 우선 플래너리 오코너(Flannery O’Connor)의 「난민」(“The Displaced Person”) 속 난민의 의미와 재현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왜 오코너가 1,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발생한 유대인 난민의 문제를 존재론적이고 신학적 차원으로까지 펼쳤음에도 난민문제에 대한 제대로 된 정치적 의미를 거부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후 3년차에는 베트남 난민 출신의 미국작가인 비엣 탄 응우옌(Viet Thanh Nguyen)의 『동조자』(The Sympathizer)와 단편집인 『난민들』(The Refugees)를 분석하여 어떻게 난민 경험이 디아스포라 경험과 연결되는지를 살피고 전쟁과 트라우마를 어떻게 작가가 재현하려 하면서도 그 재현의 한계를 보여주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저자가 어떻게 난민을 아감벤이 논하는 ‘도래하는 공동체’로 보여주려 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3년 차에 아프리카 내전을 통해 발생한 난민의 재현의 한계를 보여준 작품으로 데이비드 에거스(Dave Eggers)의 『무엇은 무엇이다』(What is the What)이라는 작품을 분석하고자 했다. 한 소말리아 ‘잃어버린 아이들’ 출신의 난민과의 인터뷰에 기반한 이 자전적 소설는 ‘벌거벗은 삶’으로서의 난민이 갖는 트라우마와 그 의미를 잘 보여주면서도 백인 작가에 의해 재현된 난민의 생명과 언어가 사라지는 재현의 윤리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영문
  • This 3 year study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part of the study mostly deals with theoretical foundation; it aims to theoretically speculate global phenomenon—refugee and its coming community utilizing Giorgio Agamben’s theories focusing on such concepts as homo sacer, state of exception, coming community, whatever being, singularity, the potential, etc. The study delineates genealogical context of homo sacer and state exception and in turn expounds how refugees are homo sacers in state of exception materialized by refugee camp. Refugee camp is an example of state exception operated by bio-politics. The stidu then takes account of the meanings and uses of coming community and whatever being in Agamben’s Coming Community to contexualize those concepts to the discourse of refugee as the potential of nationality.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ims to closely read and analyze various Anglophone fictions; for example, based on the second year research, a paper onFlannery O’Connor’s “Displaced Person” is published. This essay endeavors to find political, theological,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s of refugees. As theoretical scaffoldings, this part of the study utilizes mostly Giorgio Agamben’s theories of ethico-ontology and refugees as whatever beings of coming community. In the story, Mrs. McIntyre, a white female farm-owner, after recommended by a Catholic priest, hires Jewish Polish refugees because she has not been satisfied with other workers including the Shortleys. Mrs. McIntyre, a hypocrite hiding her prejudices, micromanages workers around her. Mr. Guizac, the Jewish Polish refugee, proves his capabilities in the maintenance of the farm; however, Mrs. McIntyre begins to regard Mr. Guizac as a monster and demonize him after she finds out that Mr. Guizac intrigues Sulk, a black worker, to emigrate his cousin prisoned in a concentration camp by promising him to get married to her. Peacock, a transfiguration of theologically displaced person, unfolds the theological status of white Southern people who are placed in limbo where profanation and consecration dialectically coexists. Mrs. Shortley’s vision of heap of bodies, described as a pandemonium, also reveals ontological meaning of community which refugees, dead or alive, create, disclosing the meaning of ontological refugees based on commonality of human conditions.
    The last part of the study aims to focus on contemporary Asian American or African fictions targeting refugee issue in America. A paper was published. The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communities in Viet Thanh Nguyen’s The Refugees, a collection of eight short stories. The stories deal with the painful experience each singular character—Vietnam refugees, an American veteran soldier returning to Vietnam, a ghost, victims of war, and so on—had during the war and the post-war.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community in this collection, the essay utilizes recent philosophical ideas and views on community: mostly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nd Giorgio Agamben’s coming community. Nancy explores the ontological limit of community so that he presents a community where Others ethico-ontologically cohabit without threats of immanence of death and violence.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can be used to analyze the ontological status of refugees and their community though it lacks clarity for this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Agamben takes on refugee as an example of homo sacer situated in state of exception. This essay, after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losly reads and analyzes three stories from the collection to speculate the singular representation of refugees and their commun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3 year study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part of the study mostly deals with theoretical foundation; it aims to theoretically speculate global phenomenon—refugee and its coming community utilizing Giorgio Agamben’s theories focusing on such concepts as homo sacer, state of exception, coming community, whatever being, singularity, the potential, etc. The study delineates genealogical context of homo sacer and state exception and in turn expounds how refugees are homo sacers in state of exception materialized by refugee camp. Refugee camp is an example of state exception operated by bio-politics. The stidu then takes account of the meanings and uses of coming community and whatever being in Agamben’s Coming Community to contexualize those concepts to the discourse of refugee as the potential of nationality.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ims to closely read and analyze various Anglophone fictions; for example, based on the second year research, a paper onFlannery O’Connor’s “Displaced Person” is published. This essay endeavors to find political, theological, and ontological understandings of refugees. As theoretical scaffoldings, this part of the study utilizes mostly Giorgio Agamben’s theories of ethico-ontology and refugees as whatever beings of coming community. In the story, Mrs. McIntyre, a white female farm-owner, after recommended by a Catholic priest, hires Jewish Polish refugees because she has not been satisfied with other workers including the Shortleys. Mrs. McIntyre, a hypocrite hiding her prejudices, micromanages workers around her. Mr. Guizac, the Jewish Polish refugee, proves his capabilities in the maintenance of the farm; however, Mrs. McIntyre begins to regard Mr. Guizac as a monster and demonize him after she finds out that Mr. Guizac intrigues Sulk, a black worker, to emigrate his cousin prisoned in a concentration camp by promising him to get married to her. Peacock, a transfiguration of theologically displaced person, unfolds the theological status of white Southern people who are placed in limbo where profanation and consecration dialectically coexists. Mrs. Shortley’s vision of heap of bodies, described as a pandemonium, also reveals ontological meaning of community which refugees, dead or alive, create, disclosing the meaning of ontological refugees based on commonality of human conditions.
    The last part of the study aims to focus on contemporary Asian American or African fictions targeting refugee issue in America. A paper was published. The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communities in Viet Thanh Nguyen’s The Refugees, a collection of eight short stories. The stories deal with the painful experience each singular character—Vietnam refugees, an American veteran soldier returning to Vietnam, a ghost, victims of war, and so on—had during the war and the post-war.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the community in this collection, the essay utilizes recent philosophical ideas and views on community: mostly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and Giorgio Agamben’s coming community. Nancy explores the ontological limit of community so that he presents a community where Others ethico-ontologically cohabit without threats of immanence of death and violence. Nancy’s inoperative community can be used to analyze the ontological status of refugees and their community though it lacks clarity for this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Agamben takes on refugee as an example of homo sacer situated in state of exception. This essay, after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losly reads and analyzes three stories from the collection to speculate the singular representation of refugees and their communitie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활용방안
    1).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해 더 심도 싶은 난민과 난민 문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이를 위해 아직 논문으로 쓰여지지 않은 작품들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려 한다. 현재는 2021년 노벨상 수상자이자 아프리카 난민 출신 작가인 압둘라자크 구르나(Abdulrazak Gurnah)의 작품들, 특히 그가 난민 문제를 정통으로 다룬 『바닷가에서』(By the Sea)를 연구하고 있다. 2022년 겨울 한국영어영문학회에서 이와 관련하여 아프리카 난민 문학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 중에서 그루나의 작품과 데이브 에거스의 작품을 다룰 예정이다. 이후 관련된 논문을 작성하여 유수 등재지에 투고할 예정이다.

    2). 향후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발생했던 한국 난민들의 삶을 다루는 연구를 기획중이며 영미권 문학에서의 난민문제와 난민에 관련된 영화의 서사를 함께 연구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난민 관련 내러티브들을 발굴하여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3). 난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축적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대학원 수업에서 활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후학들의 연구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려 한다. 또한 학부 수업에서도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2. 연구 성과

    1). 1년차 연구를 계획서대로 수행하여「벌거벗은 존재로서의 난민과 도래하는 공동체의 잠재성 연구」라는 제목으로 영미문학 비평의 권위 있는 학회인 ‘한국비평이론학회’에서 출판하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비평과 이론』2020년 25권 3호에 게재 했다.

    2). 2년차 연구는 계획대로 실행이 되었고 2021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영어권문화연구』의 14호 1권에 「플래너리 오코너의 『난민』 속 신학적, 존재론적 난민 연구」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3). 3년 차 연구도 계획대로 수행되어 2021년에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에서 발간하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현대영어영문학』65권 4호에「비엣 탄 응우옌의 『난민들』 속 난민 공동체 연구」을 게재했다.
  • 색인어
  • 난민, 호모 사케르, 예외상태, 죠르지오 아감벤, 현대미국소설, 난민 소설, 플래너리 오코너, 비엣 탄 응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