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moting program for responsive interaction and happiness at home for Enhancing Capacitie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52457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6 개월 (2019년 07월 01일 ~ 2021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표윤희
연구수행기관 위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장애의 중도·중복화가 심화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할 때, 중도·중복장애아동이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 하는 가정에서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은 인간에게 기본적인 행복감을 충족시켜주고 더 나아가 우정발달, 신뢰로운 관계형성,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가 없지만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관련 연구 및 자료가 부족하고, 상호작용을 증진하기 위한 실험논문은 더욱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삶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가정에서의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을 도모하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반응적 상호작용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하고, 중도·중복장애아동과 부모가 함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과 부모의 반응적 상호작용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2) 행복에 대한 느낌과 더 나은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함께 중도·중복장애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기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행복감 증진에 기여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부모의 중도・중복장애아동 이해 및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역량 강화
    부모는 자녀의 교육 및 지원에 대해 이해하고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아동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자녀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는 역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기대됨
    ∙중도·중복장애 관련 중재연구 활성화에 기여
    중도·중복장애아동 중재와 관련한 연구 및 자료가 부족하므로 실행의 어려움과 효과성 측면에서 외면당했던 중도·중복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임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1)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과 부모의 반응적 상호작용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2) 행복에 대한 느낌과 더 나은 삶의 질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함께 중도·중복장애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1. 기초연구: 1차년도
    1) 관련 이론 및 선행 연구 검토
    2) 문헌 연구 및 사례 조사: 국내외 자료 분석 및 사례조사
    3)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 중도·중복장애 자녀의 부모 및 현장전문가 대상 지원 요구 조사

    2. 개발 및 적용 연구: 2차년도
    1)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2) 중도·중복장애아동 상호작용, 행복감 향상 위한 중재연구: 양적 연구
    3) 중도·중복장애아동 상호작용, 행복감 프로그램 참여 경험 조사: 질적 연구
    4) 중도·중복장애아동의 발달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및 통제 집단을 합하여 중도・중복장애아동 12명, 부모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는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3개의 범주, 6개의 주제, 36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active interaction at home and participation in a well-being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capacity building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2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2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ponsive interaction at home and participation in a well-being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capacity building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and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performing a qualitative study targeting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6 topics, and 36 sub-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reactive interaction an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at home for the empowerment of and parents,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및 통제 집단을 합하여 중도・중복장애아동 12명, 부모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는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실험집단 학생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 3개의 범주, 6개의 주제, 36개의 하위 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문헌연구

    연구설계에서 25편의 논문 중 6편의 논문이 AB설계로 수행되었고, 5편의 논문이 교대중재설계로 수행되었다. 중도중복장애인의 장애는 지적장애와 지체장애, 지적장애와 감각장애, 지적장애와 의사소통장애 등 다양하였다. 독립변인 관련 요인에서 주로 선호도 진단 방법은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선호도 진단 방법이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국내 교육 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인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2. 실험연구

    (1)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상호작용 사전-사후 측정 점수 차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도・중복장애 아동과 부모의 역량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참여가 중도·중복장애아동의 행복감 사전-사후 측정 점수 차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 실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질적 연구

    분석 결과, 36개의 하위 주제, 6개의 주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범주와 그에 따른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도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상호작용과 행복감이 갖는 함의: 상호작용이 갖는 함의, 행복감이 갖는 함의, (2)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 유형과 행복감 표현 방식: 상호작용 유형, 행복감 표현 방식, (3)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 방안과 지원요구: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 방안,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을 위한 지원 요구. 결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 및 행복감 증진 방안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색인어
  • 중도・중복장애 아동, 장애아동 부모, 상호작용, 행복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