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팩토리의 결정요인 및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Smart Factories and Effects of Employment Cre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8-2019S1A5A8032128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2019년 05월 01일 ~ 202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옥지호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가 고용창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21세기 거시적 변화의 흐름에서 오늘날의 기업들은 ‘스마트 팩토리’를 통한 근본적인 혁신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2019년 올해 3,400억 원을 들여 스마트팩토리 4,000개를 새로 지을 예정이며 2020년까지 10인 이상 중소기업의 50%를 스마트팩토리로 보급하여 2022년까지 3만여 개의 기업의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한편에선 스마트팩토리가 경제도약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고용에는 부작용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예측되고 있다. 인간 대신 기계가 24시간 동안 멈추지 않고 인간의 노동을 대신해서 수행하게 됨에 따라 피고용인을 활용한 노동이 줄어들 것이라 예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를 통한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팩토리의 활용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고 이를 고도화는 기업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선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중소제조기업으로 한정지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중소제조기업은 산업의 영세화로 경쟁력 약화 및 연구개발 투자부진, 인재유입의 한계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 대안으로 스마트팩토리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중소제조기업 중 어떤 특성을 가진 기업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는지, 그리고 도입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팩토리를 고도화하는 기업은 어떤 특성을 갖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1차년도 연구에서는 독자적으로 조사된 중소제조기업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성공적인 도입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스마트팩토리 지원기업 선정기준을 마련하는 등 유관 정책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 수의 99%를 차지하고, 고용인원의 88%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경제에서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유자원이 충분하고 유휴인력의 전환배치가 가능한 대기업과 달리, 가용자원이 한정적인 중소기업에서 스마트팩토리의 활용은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고용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구분하여,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양적인 고용(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근로자 수)에 미치는 영향과 질적인 고용(고용여건, 고용안정, 임금 및 복리후생, 훈련 및 교육, 건강 및 안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에 따른 고용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진행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유관 분야의 정책 마련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대효과로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논의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기여점을 갖는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로봇에 의해 인간의 노동이 대체되면 미래 사회는 어떠한 모습이 될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에서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다룸으로써 곧 다가올 미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기업과 일의 의미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단순반복적인 노동이 인공지능과 로봇에 의해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서 기업이란 무엇이며 일이란 무엇인지 그 근원적인 논의가 제기될 수 있다. 즉, 중소제조기업을 배경으로 일이 사람에서 로봇으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고용인·피고용인 입장에서 일과 기업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정책적 기대효과로 본 연구는 정부정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를 추구하는 기업의 체계적인 특성을 발견하면, 이는 스마트팩토리 도입 지원정책의 기업선별기준 또는 신청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실질적 효과를 앞당기면 정부재원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고 사회 전체 효익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고민하고 있는 고용창출에 대한 고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한 산업 고도화와 고용난 해소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두 가지 목표가 스마트팩토리를 통해 동시 달성가능한지를 밝혀냄으로써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가 고용창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차년도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2차년도 연구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내용: 스마트팩토리와 고용의 질, 고용창출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리뷰하는 한편,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특성화 이론(Job Characteristic Theory)으로 설명하는 시도를 진행하고자 한다. 직무특성화 이론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의 도입은 종업원의 기술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수준을 향상시켜 고용의 질적인 수준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 외 스마트팩토리 활용에 접목 가능한 경영학적 이론을 활용하여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 현상을 설명하고 그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차별적 시도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창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고용의 특성을 양적인 고용과 질적인 고용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패널자료를 구축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에 기조사된 중소제조기업 자료의 확장조사를 2019년과 2020년에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 과정을 파악하고 이러한 현상의 결정요인 및 고용창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가 고용창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차년도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2차년도 연구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smart factories on job creation effects and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By doing so, this study tries to exp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mart factories that have recently been spreading arou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 this end, the first year'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In addition, the second year'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mplementation of smart factories on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employ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가 고용창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으로 대두되는 21세기 거시적 변화의 흐름에서 오늘날의 기업들은 ‘스마트 팩토리’를 통한 근본적인 혁신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2019년 올해 3,400억 원을 들여 스마트팩토리 4,000개를 새로 지을 예정이며 2020년까지 10인 이상 중소기업의 50%를 스마트팩토리로 보급하여 2022년까지 3만여 개의 기업의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그러나 한편에선 스마트팩토리가 경제도약의 주춧돌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고용에는 부작용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예측되고 있다. 인간 대신 기계가 24시간 동안 멈추지 않고 인간의 노동을 대신해서 수행하게 됨에 따라 피고용인을 활용한 노동이 줄어들 것이라 예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를 통한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팩토리의 활용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그리고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고 이를 고도화는 기업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선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을 중소제조기업으로 한정지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중소제조기업은 산업의 영세화로 경쟁력 약화 및 연구개발 투자부진, 인재유입의 한계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 대안으로 스마트팩토리가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중소제조기업 중 어떤 특성을 가진 기업이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는지, 그리고 도입에 그치지 않고 스마트팩토리를 고도화하는 기업은 어떤 특성을 갖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1차년도 연구에서는 독자적으로 조사된 중소제조기업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중소제조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탐색적으로 규명하려는 시도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성공적인 도입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스마트팩토리 지원기업 선정기준을 마련하는 등 유관 정책분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 수의 99%를 차지하고, 고용인원의 88%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경제에서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여유자원이 충분하고 유휴인력의 전환배치가 가능한 대기업과 달리, 가용자원이 한정적인 중소기업에서 스마트팩토리의 활용은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고용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용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구분하여,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가 양적인 고용(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근로자 수)에 미치는 영향과 질적인 고용(고용여건, 고용안정, 임금 및 복리후생, 훈련 및 교육, 건강 및 안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도입 및 고도화에 따른 고용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진행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유관 분야의 정책 마련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기대효과로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논의를 파생시킬 수 있다는 기여점을 갖는다. 4차산업혁명으로 인해 로봇에 의해 인간의 노동이 대체되면 미래 사회는 어떠한 모습이 될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기업에서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다룸으로써 곧 다가올 미래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기업과 일의 의미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 단순반복적인 노동이 인공지능과 로봇에 의해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서 기업이란 무엇이며 일이란 무엇인지 그 근원적인 논의가 제기될 수 있다. 즉, 중소제조기업을 배경으로 일이 사람에서 로봇으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고용인·피고용인 입장에서 일과 기업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정책적 기대효과로 본 연구는 정부정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팩토리 도입 및 고도화를 추구하는 기업의 체계적인 특성을 발견하면, 이는 스마트팩토리 도입 지원정책의 기업선별기준 또는 신청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의 실질적 효과를 앞당기면 정부재원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고 사회 전체 효익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고민하고 있는 고용창출에 대한 고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한 산업 고도화와 고용난 해소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두 가지 목표가 스마트팩토리를 통해 동시 달성가능한지를 밝혀냄으로써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스마트팩토리, 고용창출효과, 중소제조기업, 패널분석, 직무특성화 이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