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과 조절된 매개효과
High Performance Work Systems and Firm Performance: Firm-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46264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권기욱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지식기반 경쟁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창출과 유지를 위해 인력의 효과적, 전략적 관리의 중요성이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경영자들에게도 강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되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연구들은 과거 30여 년간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해 오고 있다. 그 결과 국내외에서 수행된 실증연구들은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는 몇몇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가령, 일반적으로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이 제기할 수 있는 중요한 질문들인 (1)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가치 있는 자원이 기업수준에서 창출되는지? (2)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것은 아닌지? (3)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이 기업성과로 나타나기 위해서 제도의 활용과 더불어 제도가 기업에 효과적으로 내재화/제도화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4)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제시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창출하는 기업수준의 자원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기업의 성과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에 대하여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들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된 중요하고 연구수행이 필요한 질문들에 대한 부분적인 해답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2)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 상황변수들의 역할, (3)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통합한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아래에서 본 연구의 목적, 필요성, 창의성 및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질문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증적으로 직원들의 조직몰입을 측정하여 기업수준에서 이러한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회교환이론, 사회정보처리 이론, ASA이론, 구조적 관점을 활용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질문은 매우 흥미로움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있을 뿐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인사시스템이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인사제도의 진보성과 내재화의 수준과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 조직슬랙(organizational slack), 인사부서역량, 커뮤니케이션 노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3)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려보고자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직접적인 효과 또는 이러한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살펴보는 보편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거나,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를 탐구 하는 상황적 접근법에 기초하였다. 이로 인하여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다소 단순하게 접근하여 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데 한계점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변수들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4) 본 연구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기업성과의 향상과 관련되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기업들은 구성원들 간의 협력수준과 기업의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구성원들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와 활용을 위해 자발적인 이직을 낮추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이 조직몰입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연구에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보편적 관점을 바탕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를 탐구하거나 또는 상황적 관점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조절역할을 하는 변수를 설명하는 대부분의 기존연구들과 달리 보편적 관점과 상황적 관점을 통합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통합을 바탕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여 줌으로써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된 연구에 이론적인 이해를 높이고 변수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러한 관계가 기업의 다양한 상황변수에 의하여 조절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부정적일 수 있는 측면과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적용뿐만 아니라 제도화 이론의 관점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제화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주장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구성원들의 사회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요인(조직슬랙, 인사관리 역량, 커뮤니케이션 노력)들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 주장하였던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사회교환이론, 사회정보처리이론, ASA이론 등을 활용하여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에서 어떠한 가치 있는 자원을 창출하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이론적 접근과 실증연구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확장하는데 공헌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가령,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인적자본, 조직풍토, 사회적자본, 이직률 등과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에 영향을 미쳐 기업성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존의 연구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변수를 고려하는 연구를 통합할 경우 기업수준에서 어떠한 자원이 창출 될 수 있으며 그 관계가 어떠한 상황에서 더 강화 또는 약화되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 시킬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와 관련된 연구에서 보편적 vs 상황적 관점의 이론적 이분화 및 미시 vs 거시(micro-macro) 연구의 이분화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공헌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위에서 언급한 본 연구의 중요한 공헌 점들 외에도 본 연구의 결과를 국·내외의 학술대회에 발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발표는 최근에 불확실하고 급속히 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을 활성화 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인사제도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한 기업성과 향상방안 수립 또는 재정립하고자 하는 기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은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상된 기업성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직원들의 유지 및 이직, 협력, 혁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에게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활용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단순한 도입이 아닌 지속적인 기업의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재화를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도 동시에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인적자원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성과향상과 관련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최고경영층 및 인사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이론, 실증결과, 기업의 고민을 연결하여 설명하는 강연의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와 이러한 두 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서의 조절변수, 조직수준의 조직몰입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하는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그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은 먼저 사회교환이론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또한, top-down적 관점과 bottom-up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먼저 top-down적 관점은 구조적 관점에서 기업의 인사제도들은 구성원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하여 전달함으로 인해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과 같은 일반적인 조직풍토를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bottom-up 관점에서 직원들의 소통과 정보공유를 강조하는 사회정보처리 이론과 직원들이 자신들의 가치 및 태도와 비슷한 사람들로 조직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ASA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사회정보처리 이론을 적용해 보면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원들에게 적용이 되고 직원들은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긍정적인 특성과 의도를 다른 직원들과 공유하는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기업수준에서 구성원들 사이에 기업에 충성하고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에너지를 투자하려는 공유된 가치체계이자 기업수준의 자원인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창출할 것이다. 그러므로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수는 어떠한 것이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대부분의 연구가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하여 긍정적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비용과 다소 부정적인 주장을 고려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가 조직슬랙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라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성과 또는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기업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투자가 뒷받침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투자는 조직슬랙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지속적인 투자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원들과의 양질의 사회적 교환관계를 유지하게 하여 그 결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의도한 바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사제도의 형태(진보성)뿐만 아니라 인사제도가 구성원들에게 가치 있게 받아들여지는 정도(내재화)가 중요하다는 관점을 고려하여 인사부서의 역량이나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노력의 정도를 조절변수로 살펴보고자 한다.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원들에게 그 의미가 의도한데로 동일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인사부서에 의해 효과적이고 일관적으로 적용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적용을 둘러싸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인사부서의 커뮤니케이션 역할 및 노력은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의 구성원들에게 가치 있게 받아들여져 내재화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 조직몰입의 긍정적인 관계는 기업의 상황변수(조직슬랙, 인사부서 역량, 인사부서의 의사소통 노력)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과 실증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정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으로 간단히 설명을 하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가 기업수준에서 형성되는 조직몰입을 통해 매개되며 이러한 관계는 사회교환이론에 의하여 설명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기업의 지속적인 지원과 인사부서의 역량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환경의 불확실성이 클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며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상황변수를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와 관련된 가설들을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검정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직원들의 지식, 기술, 동기부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투자를 강조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다양한 과정변수와 조직의 상황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최근까지 대부분의 연구들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들,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직의 상황변수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의 폭을 넓히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몰입의 관계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조직의 상황변수(조직잉여자원, 인사부서의 역량, 의사소통 노력)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과 조직 상황변수들의 역할을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들을 전반적으로 지지하였다.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데 이론적으로 공헌할 뿐만 아니라 기업이 직원들을 전략적으로 관리하여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영문
  • A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which focus on enhancing employee knowledge, skills and motivation, and firm performance could be influenced by diverse mediating and organizational contextual variables. In fact, a few studies show the positive effe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firm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on the mediation mechanism through which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influences firm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s of diverse contextual variables. In addition, In addition, the theoretical explanations on this relationship are somewhat limited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t first,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 of firm-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firm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slack, human resource management department capability and communication eff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firm-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is study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ith consideration of mediation effect of firm-leve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ion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ontextual variables in this relationship.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es of this study.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firm performance but also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rms that strive to create and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by strategically managing human resour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의 급속한 기술의 진보와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지식기반 경쟁의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 창출과 유지를 위해서는 인력의 효과적, 전략적 관리의 중요성이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경영자들에게도 강하게 인식되고 있다.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되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연구들은 최근까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들을 수행해 오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과 활용이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몇몇 한계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이 제기할 수 있는 중요한 질문들인 (1)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가치 있는 자원이 기업수준에서 창출되는지? (2)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것은 아닌지? (3)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이 기업성과로 나타나기 위해서 제도의 활용과 더불어 제도가 기업에 효과적으로 내재화/제도화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지? (4)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제시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창출하는 기업수준의 자원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기업의 성과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실무적인 시사점은 무엇인지? 에 대하여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들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며, 이러한 질문들에 대하여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과거 30년, 특히 최근에는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된 중요하고 연구수행이 필요한 질문들에 대한 부분적인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에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질문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논리적 근거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증적으로 직원들의 조직몰입을 측정하여 기업수준에서 이러한 관계를 탐구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되어 이론적 가정을 하였을 뿐 실제적으로 실증연구가 수행되지는 않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사시스템이 기업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인사제도의 진보성과 내재화의 수준과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 조직의 잉여자원, 인사부서역량, 커뮤니케이션 노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직접효과 또는 이러한 관계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살펴보는 보편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거나,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변수를 규명하는 상황적 접근법에 기초하였다.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 기업수준의 조직몰입, 기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변수들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기업성과의 향상과 관련되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최근 한국기업들은 구성원들 간의 협력수준과 기업의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구성원들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와 활용을 위해 자발적인 이직을 낮추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이 조직몰입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노력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업수준의 직원들의 조직몰입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위에서 설명한 연구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인 검토를 통해 다양한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패널데이타를 활용하여 가설의 검정을 수행하였다. 현재까지 연구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가설들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련된 연구에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보편적 관점을 바탕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수를 탐구하거나 또는 상황적 관점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조절역할을 하는 변수를 설명하는 대부분의 기존연구들과 달리 보편적 관점과 상황적 관점을 통합하여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통합을 바탕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에 있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여 줌으로써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성과의 관계와 관련된 연구에 이론적인 이해를 높이고 변수간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러한 관계가 기업의 다양한 상황변수에 의하여 조절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부정적일 수 있는 측면과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적용뿐만 아니라 제도화 이론의 관점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제화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주장하는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구성원들의 사회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요인들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위에서 간략학게 언급한 본 연구의 중요한 공헌 점들 외에도 본 연구의 결과를 국·내외의 학술대회에 발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발표는 최근에 불확실하고 급속히 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인적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을 활성화 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인사제도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한 기업성과 향상방안 수립 또는 재정립하고자 하는 기업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도입은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향상된 기업성과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직원들의 유지 및 이직, 협력, 혁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에게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활용이 기업수준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단순한 도입이 아닌 지속적인 기업의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내재화를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도 동시에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인적자원의 활용을 통한 기업의 성과향상과 관련된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최고경영층 및 인사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이론, 실증결과, 기업의 고민을 연결하여 설명하는 강연의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고성과 작업시스템, 기업수준 조직몰입, 상황변수,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