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크리스타벨』과 타자의 애도 윤리학
Christabel and Ethics of Mourning for the Othe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47433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7월 01일 ~ 202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윤일환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S. T. 콜리지(Samuel Tayler Coleridge)는 평생 동안 미완성인 『크리스타벨』(Christabel)(1816)을 완성하려했다. 지난 200여년 동안 독자들은 다양한 결말을 예상하며 여러 조각들을 이리저리 모아 틈새를 박음질해왔다. 하지만 미완성의 이야기, 사건 간의 모호한 인과율, 이야기와 무관한 결언 등은 독자의 욕망을 끝내 좌절시키고 만다. 그동안 비평가들은 『크리스타벨』의 다층적인 의미와 스펙트럼을 포괄하려 크리스타벨과 제럴다인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역량을 집중해왔다. 이들의 해석은 대체적으로 텍스트의 내외부의 관점에 따라 두 군으로 나뉜다. 텍스트 외부의 관점을 취하는 비평가들은 주로 전기적 접근, 역사적 접근, 비교 문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작가의 사상, 시대정신, 고딕소설 장르 등이 어떻게 시에 반영되고 변형되었는지에 집중한다. 텍스트 중심의 관점은 주로 프로이트, 라캉, 클라인, 크리스테바 등 정신분석학과 관련하여 욕망의 변증법, 의미의 다중성, 시적 구조와 화자의 모호성 등을 분석한다. 이처럼 『크리스타벨』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체적으로 제럴라인과 크리스타벨과의 정체성을 해명하는 것에 집중된다. 전통적인 읽기로 보면 크리스타벨은 선, 제럴라인은 악을 대표하지만 최근의 읽기는 전기적, 역사적, 심리적 접근을 통해 크리스타벨, 제럴다인, 리올라인, 죽은 어머니가 펼쳐놓은 다층적인 관계를 해명하려 한다.
    최근의 선행 연구들은 주요 인물들이 드러내는 욕망의 파노라마를 상징질서의 교란, 선과 악의 대립적 가치의 전복, 화자와 서사의 다중성 등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본 연구는 최근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욕망의 파노라마가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윤리적 애도의 문제를 탐구한다. 특히 죽은 어머니를 대하는 주요 인물들 간의 관계와 태도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들 관계에 개입하는 애도 윤리학의 특징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크리스타벨이 어머니에 대한 애도를 충실하려는 동기에서 제럴다인을 연인의 분신이자 어머니의 분신으로 삼는 과정을 살펴본다. 하지만 제럴다인을 통한 어머니의 애도는 역설적으로 어머니의 욕망을 억압하고 왜곡된 채 제럴다인의 욕망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 크리스타벨은 제럴다인과의 관계 후 죄의식을 느끼며 애도의 불충을 무의식적으로 깨닫는다. 한편 크리스타벨의 아버지인 리올라인은 죽은 아내를 애도하기 위해 아침기도 종소리를 관습화하고 법제화한다. 그의 애도 방식은 관습과 법의 미명하에 애도를 단일한 의미나 행동양식으로 통제하고 죽은 아내의 독특성과 고유성을 지우는 결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욕망과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크리스타벨과 리올라인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크리스타벨이 애도의 불충을 깨닫고 결국 어머니의 영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데 비해 리올라인은 아내의 타자성을 포옹하거나 감싸 안지 못하고 롤런드와의 우정의 회복으로 대체하려한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어머니와 관련하여 크리스타벨, 제럴다인, 리올라인 간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욕망의 관계가 윤리적 애도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방식을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애도를 통제하고 자신의 일부로 만들려는 자아 중심적인 리올라인과 늦었지만 타자로서의 어머니에 윤리적으로 응답하고 책임을 지려는 크리스타벨을 대조한다.
    『크리스타벨』은 법과 관습으로 동일시하려는 애도를 폐기하고 타자의 애도 윤리학을 받아들일 것을 명한다. 애도 윤리학은 관습이나 법보다는 타자/어머니를 경외하는 영혼의 목소리에 귀 기울면서 부서지기 쉬운 타자의 타자성을 포옹하고 감싸 안을 것을 요구한다. 무엇보다도 『크리스타벨』을 타자의 애도 윤리학으로 분석하는 것은 타자를 타자로서 애도하는 방식을 근원적으로 재형상화하는 중요한 순간을 보여준다.
    『크리스타벨』에서 애도가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은 어머니의 죽음에서 비롯된 슬픔에 자신을 가두기 위함이 아니라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자아와 법 중심적인 관점을 바꾸어야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어머니에 대한 애도는 자아와 법으로 억눌리고 배제되어온 타자로서의 어머니에 귀를 기울이는 길이다. 이 시는 무엇보다도 죽은 어머니의 타자성을 어떠한 동일성의 법칙으로 고정하거나 범주화해서는 안 된다는 콜리지의 윤리적 태도를 보여준다. 콜리지가 타자의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보여주고자 한 것은 타자를 인위적으로 고착시키려하는 동일성의 폭력에서 벗어나되, 다시 상대주의로 환원하지 않고 그 존재의 고유성을 보호해야한다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콜리지의 『크리스타벨』을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다시 읽음으로써, 이 시가 타자/어머니([M]other)에 대한 관계를 본질적으로 탐구하고 있음을 밝힌다. 타자로서의 어머니와 애도 윤리학에 강조점을 둠으로써, 이 시는 우리에게 타자에 대해 망각하지 말 것과 타자를 경외하는 애도로 나아갈 것을 요구한다. 이 시에서 등장하는 죽은 어머니는 관습이나 법의 억압에서 벗어나 영혼의 눈으로 애도할 것을 명령하며 타자로서 적극적으로 포옹하며 긍정할 것을 요구한다. 이 포옹과 긍정은 『크리스타벨』을 애도 윤리학의 차원에서 다시 읽도록 요구한다. 언어중심적인 담론이 세계에 거주하는 인간과 단절된 채 언어적 유희만을 추구한다는 비편을 고려할 때 상실한 타자를 망각하지 않고 타자로부터 시작되는 애도의 윤리를 다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이다.
    『크리스타벨』이 보여주는 애도 윤리학은 자아의 동일성에서 배제된 타자의 차이를 강조하고, 억압적인 법 중심주의를 해체시키며, 타자/어머니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작업과 다르지 않다. 이는 물신주의의 대상이 된 애도의 법을 지워내고, 절대적 타자의 타자성을 새롭게 부각시키는 작업이기도 하다. 관습과 법으로 물신화된 애도는 타자/어머니를 자신의 일부로 전유하고 소유하기에 타자의 애도 윤리학은 기억 속에서 타자와 끊임없이 대화하고 교류할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가 『크리스타벨』을 타자의 애도 윤리학으로 분석하는 것은 기존의 텍스트 읽기가 미처 인식하지 못해 침묵 속에 감추어 있던 콜리지의 타자 윤리학의 철학적 기반과 메커니즘을 드러내 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국내에서 매우 시기적절할 것이며 앞으로의 문학과 예술비평에 타자 윤리학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자의 애도 윤리학이 최근 비평의 생산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자의 후속 연구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학자들에게 선행업적을 발전시키는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크리스타벨』이 보여주는 타자의 애도 윤리학은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 반영이 된다면 커다란 효과를 이룰 것이다.
  • 연구요약
  • 우리가 처음으로 크리스타벨을 보게 되는 것은 숲에서이다. 그녀가 자정 무렵 안정한 성을 두고 숲에 간 것은 먼 곳에 있는 연인이 무사하기를 빌기 위해서이다. 크리스타벨은 굳이 기도하려 숲에 온 것은 임종의 자리에서 “[딸의] 혼인날 성의 종이 / 열두번 치는 소리를 듣겠노라”(200-201)고 말한 어머니의 유언과 관련된다. 크리스타벨은 어머니의 욕망을 채우는 것만이 진정 어머니를 충실히 애도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녀는 어머니의 유언을 실현하기 위해 제럴다인에게 연인의 이미지를 투사하며 어머니와 일치되기를 욕망한다. 크리스타벨은 욕망의 대상인 연인뿐만 아니라 욕망의 주체인 어머니를 욕망한다.
    제럴다인이 크리스타벨에게 행했던 권위는 어머니의 권위이고 이것은 크리스타벨이 부여한 것이다. 크리스타벨이 건넨 “어머니가 들꽃들을 모아 만든”(193) “야생화주”(220) 마시고 제럴다인은 어머니의 시간과 역할과 자리를 차지한다. 크리스타벨이 제럴다인이 가져다주는 위안으로 치려야할 대가는 자신이 어머니의 죽음의 대가였다는 사실, 어머니의 부재를 애도해야 할 의무를 지고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침실 장면에서 보여주는 크리스타벨의 성정체성의 혼란은 그녀의 깊은 욕망과 두려움의 결과이다. 크리스타벨은 어머니가 욕망하는 대상의 위치(연인)과 어머니의 위치와 동일시하면서 성적 정체성에 혼란이 생긴다. 크리스타벨의 무의식에서 제럴다인은 남성인 연인의 분신이면서 여성인 어머니의 분신이다. 크리스타벨은 어머니와 연인의 분신을 동시에 구현할 수 없다. 어머니를 구현하면 연인은 사라지고 연인이 구현되면 어머니는 존재할 수 없다.
    다음날 아침 크리스타벨은 죄의식에 빠져 “분명 내가 죄를 지었구나!”라고 외친다. 이 죄의식은 제럴다인을 받아들임으로써 어머니를 저버렸다는 의식에서 비롯된다. 이는 어머니의 애도라는 동기에서 출발하였더라도 어머니의 대리인으로 제럴다인을 받아들이지 말았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의식이 표출한 것이다.
    1부가 죽은 어머니와 관련하여 크리스타벨과 제럴다인의 욕망을 다룬다면 2부는 장면을 확대하여 크리스타벨, 제럴다인, 리올라인 간의 복잡한 욕망을 보여준다. 숲이 어머니의 유령이 출몰하는 곳이라면 성은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곳이다. 리올라인은 죽은 아내를 기념하는 아침기도 종소리를 들을 때마다 출산 중 죽은 아내의 부재를 깨닫는다. 하지만 죽은 아내를 애도하기 위해 아침기도 종소리를 관습화하고 법제화함으로써 그는 애도가 종소리의 매개를 통해 행해지도록 관리하고 통제한다. 아내의 죽음이 아침기도 종소리로 물신화될 때, 죽은 아내의 애도는 활기가 사라지고 얼어붙게 된다. 그는 아침기도 종소리를 통해 죽은 아내의 죽음에 대한 상징적인 등가물을 보상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제럴다인을 만나면서 리올라인은 아내의 애도에서 벗어나기 시작한다. 리올라인이 제럴다인에 대해 끌리는 것은 그녀를 통해 롤런드와 화해함으로써 죽은 아내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려는 그의 욕망 때문이다. 리올라인이 어머니에 대한 애도의 윤리를 저버리려하자 크리스타벨은 아버지에게 어머니의 죽음을 떠올리며 충실한 애도를 호소한다. 크리스타벨이 아버지에게 간청하는 것은 어머니의 대체불가능성이다. 이 간청 때문에 리올라인은 크리스타벨과 제럴다인 사이에서 선택해야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직면한다. 잠시 동안 복잡한 감정으로 갈등하지만 이내 그는 친구의 딸을 받아들이고 딸아이(그리고 아내)의 간청을 거부한다. 그는 오히려 딸아이가 사소한 시기심 때문에 무리한 요구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딸아이가 제럴다인에 대해 불편해하는 것을 자신과 가문에 대한 모욕으로 여긴다.
    리올라인은 애도의 삶을 마치기 위해 교묘하게 아내의 죽음과 롤런드와의 우정의 파탄 사이의 유사성을 전제한다. 두 사건의 차이를 제거하고 유사성으로 통합한다. 이로써 아내의 죽음은 고유성을 상실하고 언제나 유적 개념을 매개로만 나타나게 된다. 결국 타자로서의 아내는 고유성을 상실하고 동일자로 환원될 뿐이다. 아침기도 종소리를 “관습과 법”으로 삼아 아내의 애도를 물신화한 것처럼 리올라인은 우정의 파탄이라는 유개념을 통해 아내의 죽음을 자리매김하여 아내를 배반하고 아내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회피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그동안 비평가들은 『크리스타벨』의 다층적인 의미와 스펙트럼을 포괄하려 크리스타벨과 제럴다인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역량을 집중해왔다. 이들의 해석은 대체적으로 텍스트의 내외부의 관점에 따라 두 군으로 나뉜다. 텍스트 외부의 관점을 취하는 비평가들은 주로 전기적 접근, 역사적 접근, 비교 문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작가의 사상, 시대정신, 고딕소설 장르 등이 어떻게 시에 반영되고 변형되었는지에 집중한다. 웰치(Dennis M. Welch)는 셰익스피어와 동화에서 발견되는 아버지의 근친상간적인 욕망을 시에게 발견한다. 개스킨스(Avery F. Gaskins)은 이 시를 고딕소설의 패러디보고 화자의 다중 목소리와 관련짓는다. 애쉬톤(Rosemary Ashton)은 콜리지의 전기적 관점에서 제럴다인의 죄가 불명확한 이유를 찾는다. 윤준은 이 시를 인간 심연에 자리 잡은 어두운 욕망과 두려움을 극적으로 탐구한 것으로 보고 김재오는 시에 나타난 정념이 인식론적 딜레마를 불러일으키는 여러 양상을 논의한다. 신희정은 가부장적 지배규범에 벗어난 여성적 글쓰기의 한 예로 이 시를 바라본다. 한편 텍스트 중심의 관점은 주로 프로이트, 라캉, 클라인, 크리스테바 등 정신분석학과 관련하여 욕망의 변증법, 의미의 다중성, 시적 구조와 화자의 모호성 등을 분석한다. 더럼(Margery Durham)은 어머니에 대한 크리스타벨의 양가적인 감정을 멜라인 클라인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포드(Jennifer Ford)는 크리스타벨의 수면장애 상태가 만들어내는 현실과 허구로 중첩된 세계에 초점을 둔다. 매이(Claire B. May)와 유선무는 크리스테바의 ‘비체’(abjection)의 관점에서 시에 나타나는 상징질서의 교란과 낭만적 어머니의 극복 문제를 다룬다. 김혜연은 밀턴의 사탄과 관련하여 크리스타벨의 언어상실 문제를 다룬다.
    최근의 선행 연구들은 주요 인물들이 드러내는 욕망의 파노라마를 상징질서의 교란, 선과 악의 대립적 가치의 전복, 화자와 서사의 다중성 등의 관점에서 해석한다면, 본 연구는 욕망의 파노라마가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윤리적 애도의 문제를 탐구한다. 특히 죽은 어머니를 대하는 주요 인물들 간의 관계와 태도의 차이에 주목하여 이들 관계에 개입하는 애도 윤리학의 특징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크리스타벨이 어머니에 대한 애도를 충실하려는 동기에서 제럴다인을 연인의 분신이자 어머니의 분신으로 삼는 과정을 살펴본다. 하지만 제럴다인을 통한 어머니의 애도는 역설적으로 어머니의 욕망을 억압하고 왜곡된 채 제럴다인의 욕망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 크리스타벨은 제럴다인과의 관계 후 죄의식을 느끼며 애도의 불충을 무의식적으로 깨닫는다. 한편 크리스타벨의 아버지인 리올라인은 죽은 아내를 애도하기 위해 아침기도 종소리를 관습화하고 법제화한다. 그의 애도 방식은 관습과 법의 미명하에 애도를 단일한 의미나 행동양식으로 통제하고 죽은 아내의 독특성과 고유성을 지우는 결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욕망과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크리스타벨과 리올라인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크리스타벨이 애도의 불충을 깨닫고 결국 어머니의 영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데 비해 리올라인은 아내의 타자성을 포옹하거나 감싸 안지 못하고 롤런드와의 우정의 회복으로 대체하려한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어머니와 관련하여 크리스타벨, 제럴다인, 리올라인 간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욕망의 관계가 윤리적 애도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방식을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애도를 통제하고 자신의 일부로 만들려는 자아 중심적인 리올라인과 늦었지만 타자로서의 어머니에 윤리적으로 응답하고 책임을 지려는 크리스타벨을 대조한다.
    『크리스타벨』에서 애도가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은 어머니의 죽음에서 비롯된 슬픔 속에 자신을 가두기 위함이 아니라 어머니와의 관계 속에서 자아와 법 중심적인 관점을 바꾸어야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어머니에 대한 애도는 자아와 법으로 억눌리고 배제되어온 타자로서의 어머니에 귀를 기울이는 길이다. 이 시는 무엇보다도 죽은 어머니의 타자성을 어떠한 동일성의 법칙으로 고정하거나 범주화해서는 안 된다는 콜리지의 윤리적 태도를 보여준다. 콜리지가 타자의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보여주고자 한 것은 타자를 인위적으로 고착시키려하는 동일성의 폭력에서 벗어나되, 다시 상대주의로 환원하지 않고 그 존재의 고유성을 보호해야한다는 것이다.
  • 영문
  • Critics have focused their efforts on revealing the identity of Christabel and Geraldine to cover the multi-layered meaning and spectrum of "Christabel". Their interpretation is gener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viewpoints of the text. Critics who take a view from outside the text mainly focus on how the writer's idea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genre of Gothic novels are reflected and transformed, focusing mainly on the electrical approach, historical approach, and comparative cultural approach. Dennis M. Welch discovers his father's incestuous desires found in Shakespeare and fairy tales. Avery F. Gaskins sees this poem as a parody of Gothic fiction and associates it with the speaker's multiple voices. Rosemary Ashton finds out why Geraldine's sin is unclear from Coleridge's biographical point of view. Yoon Joon sees this poem as a dramatic exploration of the dark desires and fears that have settled in the human abyss, and discusses various aspects of Kim Jaeo's ideology that evokes an epistemological dilemma. Hee-Jung Shin looks at this poem as an example of feminine writing outside the patriarchal rules of governance. On the other hand, the text-oriented perspective mainly analyzes the dialectic of desire, the multiplicity of meaning, the poetic structure, and the ambiguity of the speaker in relation to psychoanalysis such as Freud, Lacan, Klein, and Kristeva. Margery Durham analyzes Christabel's ambivalent sentiment toward her mother from Melline Klein's point of view. Jennifer Ford focuses on a world superimposed by reality and fiction created by Christabel's sleep disorder. Claire B. May and Yoo Sun-moo deal with the disturbance of the symbolic order and the overcome of romantic mothers in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Kristeva's "abjection." Hyeyeon Kim deals with the problem of Kristavel's speech loss in relation to Milton's Satan. If the recent prior studies interpret the panorama of the desires revealed by the main characters from the viewpoints of disturbance of symbolic order, subversion of the opposing values ​​of good and evil, and multiplicity of speakers and narratives, this study will inevitably ethically mourn the panorama of desire.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and attitudes among the main characters who treat dead mot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ethics involved in these relationships are discuss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making Geraldine a lover's alter ego and a mother's alter ego in a motive for Christabel to mourn her mother. However, the mother's mourning through Geraldine paradoxically suppresses and distorts the mother's desire, giving the place to Geraldine's desire. Christabel feels guilty after a relationship with Geraldine and unconsciously realizes the disloyalty of mourning. Meanwhile, Christabel's father, Leoline, customizes and enacts the bells of morning prayer to mourn his dead wife.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Leoline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h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Réoline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h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Leoline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Lord of Tryermaine.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Leoline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Réoline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Leoline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Rowland.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Leoline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Leoline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Rowland.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Réoline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h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Leoline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Rowland.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Leoline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Leoine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His manner of mourning results in the control of mourning in a single sense or mode of behavior under the name of custom and law, and erases the uniqueness and uniqueness of the dead wif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Christabel and Leoline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h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Leoline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Rowland.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Leoline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rheoline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take different attitudes in terms of desire and mourning ethics. While Christabel realizes the grievance of mourning and eventually listens to the voice of the mother's soul, Rioline is unable to embrace or embrace his wife's otherness and tries to replace it with the restoration of friendship with Rowland. Above all, this study discusses how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of desires between Christabel, Geraldine, and Leoline in relation to the mother is varied in terms of ethical mourning. This process contrasts the self-centered Leoline to control mourning and make it part of itself, and Christabel to respond ethically and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ate but other moth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크리스타벨이 어머니에 대한 애도를 충실하려는 동기에서 제럴다인을 연인의 분신이자 어머니의 분신으로 삼는 과정을 살펴본다. 하지만 제럴다인을 통한 어머니의 애도는 역설적으로 어머니의 욕망을 억압하고 왜곡된 채 제럴다인의 욕망에 자리를 내주게 된다. 크리스타벨은 제럴다인과의 관계 후 죄의식을 느끼며 애도의 불충을 무의식적으로 깨닫는다. 한편 크리스타벨의 아버지인 리올라인은 죽은 아내를 애도하기 위해 아침기도 종소리를 관습화하고 법제화한다. 그의 애도 방식은 관습과 법의 미명하에 애도를 단일한 의미나 행동양식으로 통제하고 죽은 아내의 독특성과 고유성을 지우는 결과를 낳는다. 본 연구는 욕망과 애도 윤리학의 관점에서 크리스타벨과 리올라인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과정을 탐구한다. 크리스타벨이 애도의 불충을 깨닫고 결국 어머니의 영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데 비해 리올라인은 아내의 타자성을 포옹하거나 감싸 안지 못하고 롤런드와의 우정의 회복으로 대체하려한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어머니와 관련하여 크리스타벨, 제럴다인, 리올라인 간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욕망의 관계가 윤리적 애도의 관점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방식을 논의한다. 이 과정에서 애도를 통제하고 자신의 일부로 만들려는 자아 중심적인 리올라인과 늦었지만 타자로서의 어머니에 윤리적으로 응답하고 책임을 지려는 크리스타벨을 대조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물은 <19세기 영미시 세미나> 교과목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과목은 프로이드와 라캉의 정신분석학과’과 ‘신역사주의’가 낭만주의 문학을 해석하는 방식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넘어서 각 비평가들이 공유하는 집단적 삶의 형식과 관계하고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점진적이고 상호적으로 강화하는 한 묶음의 과정들을 포착하고 표현한다는 점을 다룰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또한 대학원 세미나에서 ‘낭만주의문학’가 종전의 목적론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차이와 개방성을 지향하고 다수의 국지적, 이질적, 역설적, 모순적 소서사(small narrative)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학원 세미나는 기존의 ‘낭만주의’에 대한 인식론과 분석과 비평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해 침묵 속에 감추어 있던 것을 드러낼 것이다.
  • 색인어
  •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 크리스타벨, 타자의 애도 윤리학, 욕망의 변증법, 관습과 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