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열 번 찍어도 안 넘어가는 나무, 쳐다볼수록 오름직한 나무 : 목표 철회와 재관여의 목표조정을 통한 적응적 자기조절과 삶 만족도
Adaptive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47730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3 년 (2019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현주
연구수행기관 명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열 번 찍어서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 십벌지목(十伐之木), ‘Little strokes fell great oaks’ 라는 사자성어와 속담이 반영하듯,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리 사회는 포기하지 않는 노력과 불굴의 끈기를 중시하여 왔다. 이러한 격언들을 반영하듯, 자기조절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 또한 성취 관련 목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듭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노력, 높은 자기효능감, 목표획득에 대한 높은 기대 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목표 추구행동이라고 강조하여왔다.
    한편,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마라’, 는 속담은 자신의 능력에 비추어 성취불가능이라고 판단되는 일은 시도조차 하지 말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격언은 크고 먼 미래의 불확실한 목표는 접어두고 소확행(小確幸)-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현재의 사회적 흐름에도 반영되고 있다. 그러나 불확실하고 장기간 추구해야하는 목표 대신 소확행이라는 즉각적인 성취를 가져오는 단기간의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과 장기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중단없이 동일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은 모두 자기조절과정의 일부분일 뿐이다. 적응적인 자기조절과정은 상위목표와 하위목표간의 목표위계와 추구하는 목표들간의 갈등 및 촉진 관계를 고려하여 유연하게 현재의 목표를 철회하기도 하고 대안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과거의 목표에 재관여하는 등의 역동적인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신의 가장 큰 상위목표를 지각하고 이에 대한 하위목표들을 추구하여 나아가고, 특정 하위 목표에서 지속적인 실패와 좌절을 통하여 이것이 현재 성취 불가능한 것을 지각하였을 때, 해당 목표를 철회하고 가치있는 대안적 목표를 설정하는 등, 자신의 목표구조를 재조정하여 하고 추구하는 것이 보다 의미있는 자기조절이 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목표는 삶의 긍극적인 가치라는 상위의 목표를 위한 하위 목표임을 재조명하여 현재의 목표를 철회하고 상위목표를 위한 하위 목표를 새롭게 정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보다 높은 삶의 만족도를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교육학과 심리학에서 자기조절 과정을 중단없는 목표 추구 활동에 초점을 둔 것과는 차별되게 목표 철회 및 목표재관여의 목표재조정 과정이라는 자기조절의 또 다른 측면을 새롭게 연구하여 자기조절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목표철회로서의 자기조절에 대한 이해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의 기대 효과 중 하나는 목표철회와 포기도 자기조절의 한 측면이라는 것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자기조절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성취 관련 목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듭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높은 동기를 수준을 유지하고 동일한 목표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목표 추구행동이라고 강조하여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포기없는 목표 추구로서의 자기조절과 반대로 성취 불가능한 목표를 포기하고 적절한 대안적 목표를 취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인 자기조절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목표철회와 목표재설정이라는 목표조정외에 개인이 가지는 다양한 목표체계 특성과 자기조절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도 자기조절 연구분야의 새로운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초·중등,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목표체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측정함으로써 한국인의 생애단계별 목표체계와 그 발달 과정을 확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목표검사는 목표유형만의 분류였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도구는 한국인의 목표들을 상위, 중간, 하위 목표 등의 목표위계, 추구하는 목표간의 관계, 목표의 중요성과 기대와 같은 목표차원 등도 동시에 측정하여 보다 한국인의 목표체계를 정밀히 측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각 연령대별로 이러한 목표체계가 변화하는 과정을 봄으로서 학습자의 인지, 정서, 행동의 발달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실험연구, 서베이 연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다양한 연령과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실험연구에서는 실제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자기조절 측정방법이 가진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교육목표 중 하나는 학생들이 졸업한 후에도 지속적인 자기조절 학습자로 성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뿐 아니라 졸업 후의 성인들을 대상으로도 실패경험으로 인한 목표조정과 자기조절을 살펴봄으로써 진로교육과 성인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년차 연구의 목표는 실험연구(과제수행연구, 시나리오연구)를 통하여 과제 및 학업에서의 실패 상황에서 목표재조정이 자기조절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2년차 연구는 먼저, 설문조사를 통하여1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목표재조정의 연구결과를 실제 삶 영역(인간관계, 성취, 건강 등)과 다양한 연령대로 확장하여 학습자들이 가지는 목표체계(목표구조, 목표유형, 목표차원)에 따른 목표재조정과정을 살펴보아 목표제계의 발달적 측면을 연구하고자 한다. 3년차 연구에서는 1차년과 2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연령대별로 중요한 목표에서 심각한 실패를 경험한 후 목표재조정을 통하여 적응적인 자기조절을 거쳐 자기성장을 이룬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질적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가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1년차 연구 중 연구 1에서는 해결 불가능한 과제를 컴퓨터상에서의 수행을 실시하여 실패 후 목표조정과 자기조절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 2는 일상생활의 주요 목표에서 실패 후 목표조정에 따른 자기조절의 차이를 시나리오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3에서는 학습자의 목표유형, 목표구조, 목표차원의 발달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해당하는 문항을 기존의 검사도구 등을 수정, 보완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발달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4에서는 타당화한 목표체계 검사도구를 다양한 연령대에 시행하고, 개인이 가진 목표구조 및 개인특성에 따라 목표조정의 과정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목표체계와 목표조정이 자기조절의 측면인, 인지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별 발달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5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보다 다수의 사례를 확보하여 목표재조정으로 자기성장을 이루는 공통되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6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수의 사례를 직접 심층면담하여 문헌분석에서는 찾기 어려운 개인 내면적 요인 등을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은 3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보다 목표재조정과 자기조절 과정의 발달을 심도깊고 역동적으로 분석하여 양적 연구에서의 결과와 함께 통합적인 목표재조정을 통한 자기조절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3년동안 6개의 세부 연구를 통하여 목표비관여와 재관여의 목표조정을 통한 적응적 자기조절과 삶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년차 연구에서는 실험연구(과제수행연구, 시나리오연구)를 통하여 실패 상황에서 목표재조정이 자기조절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1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목표재조정의 연구결과를 실제 삶 영역(인간관계, 성취, 건강 등)과 다양한 연령대로 확장하여 학습자들이 가지는 목표체계(목표구조, 목표유형, 목표차원)에 따른 목표재조정과정을 살펴보아 목표제계의 발달적 측면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1차년과 2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연령대별로 중요한 목표에서 심각한 실패를 경험한 후 발생하는 목표재조정 과정을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보다 목표조정과 자기조절 과정의 발달을 심도깊고 역동적으로 분석하고 통합적인 목표조정을 통한 자기조절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영문
  • This research examined the adaptive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goal adjustment of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through 6 studies over 3 years. In the 1st year, the effect of goal adjustment on self-regula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failure situations was explored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task performance studies, scenario studies). In the 2nd year, the developmental aspects were studied by expanding the first year research results to real life areas (human relationships, achievements, health, etc.) through various age groups. In the 3rd year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e 1st and 2nd years studies, the goal adjustment process that occurs after experiencing serious failure in important goals was studied.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oal adjustment and self-regulation proc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3년동안 6개의 세부 연구를 통하여 목표비관여와 재관여의 목표조정을 통한 적응적 자기조절과 삶 만족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년차 연구에서는 실험연구(과제수행연구, 시나리오연구)를 통하여 과제 및 학업에서의 실패 상황에서 목표재조정이 자기조절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년차 연구는 먼저, 설문조사를 통하여1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목표재조정의 연구결과를 실제 삶 영역(인간관계, 성취, 건강 등)과 다양한 연령대로 확장하여 학습자들이 가지는 목표체계(목표구조, 목표유형, 목표차원)에 따른 목표재조정과정을 살펴보아 목표제계의 발달적 측면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3년차 연구에서는 1차년과 2년차 연구에서 확인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연령대별로 중요한 목표에서 심각한 실패를 경험한 후 목표재조정을 통하여 적응적인 자기조절을 거쳐 자기성장을 이룬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문헌 및 질적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년차 연구 중 연구 1에서는 해결 불가능한 과제를 컴퓨터상에서의 수행을 실시하여 실패 후 목표조정과 자기조절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구 2는 일상생활의 주요 목표에서 실패 후 목표조정에 따른 자기조절의 차이를 시나리오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3에서는 학습자의 목표유형, 목표구조, 목표차원의 발달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4에서는 타당화한 목표체계 검사도구를 다양한 연령대에 시행하고, 개인이 가진 목표구조 및 개인특성에 따라 목표조정의 과정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목표체계와 목표조정이 자기조절의 측면인, 인지와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별 발달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5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보다 다수의 사례를 확보하여 목표재조정으로 자기성장을 이루는 공통되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6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수의 사례에서 개인 내면적 요인 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3년간의 연구를 통하여 보다 목표재조정과 자기조절 과정의 발달을 심도깊고 역동적으로 분석하여 양적 연구에서의 결과와 함께 통합적인 목표재조정을 통한 자기조절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은 성취 불가능한 목표에 대한 실패를 경험할 때 목표 철회 및 목표 재조정을 통하여 삶의 만족도와 새로운 목표로의 전환하는 자기조절을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본 연구의 기대 효과 중 하나는 목표철회와 포기도 자기조절의 한 측면이라는 것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자기조절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성취 관련 목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거듭된 실패에도 불구하고 높은 동기를 수준을 유지하고 동일한 목표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목표 추구행동이라고 강조하여왔다(Bandura, 1977; Carver & Scheier, 1990b).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의 포기없는 목표 추구로서의 자기조절과 반대로 성취 불가능한 목표를 포기하고 적절한 대안적 목표를 취하는 것이 보다 적응적인 자기조절이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목표철회와 목표재설정이라는 목표조정외에 개인이 가지는 다양한 목표체계 특성과 자기조절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도 자기조절 연구분야의 새로운 연구주제가 될 것이다.
    두번째, 본 연구에서 초·중등,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목표체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측정함으로써 한국인의 생애단계별 목표체계와 그 발달 과정을 확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기존에 개발된 목표검사는 목표유형만의 분류였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도구는 한국인의 목표들을 상위, 중간, 하위 목표 등의 목표위계, 추구하는 목표간의 관계, 목표의 중요성과 기대와 같은 목표차원 등도 동시에 측정하여 보다 한국인의 목표체계를 정밀히 측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각 연령대별로 이러한 목표체계가 변화하는 과정을 봄으로서 학습자의 인지, 정서, 행동의 발달을 보다 완전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세번째,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가 실패하는 다양한 상황과 경험을 실험연구, 서베이 연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연구결과를 다양한 연령과 상황에 일반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실험연구에서는 실제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인지, 정서, 행동을 수정해 나가는 과정을 측정함으로써 기존의 자기조절 측정방법이 가진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목표체계, 적응적인 자기조절, 목표비관여, 목표재관여, 목표조정, 삶 민족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