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생 커플 분노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anger management group counseling for couples in colleg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1-2019S1A5A2A01050499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2 년 (2019년 07월 01일 ~ 202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신성만
연구수행기관 한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을 위해 분노조절 실패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 커플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CQR)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목적과 목표를 설정한다.
    둘째, 질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척도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의 내용 및 전략을 설계한다.
    셋째, 설계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측정도구를 통한 사전, 사후 검사를 이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한다.
  • 기대효과
  • 첫째,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 개입방안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대학생 시기는 분노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이를 통제하기 어렵고 분노 표출수준도 높으며 특히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 실패는 데이트 폭력과 같은 사회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대학생 커플들이 분노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은 데이트 폭력과 같은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 유용한 도움이 된다.
    둘째, 대학생 커플들의 정서도식을 탐색하고 건강한 도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분노와 같은 정서를 느끼고 표현하는 데에는 기본 신념과 도식, 그 외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는 특정한 틀이 작용한다. 이 틀을 탐색하는 정서도식적 접근은 대학생 커플들의 독특한 정서경험을 알 수 있게 하고 이에 개입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대학생 커플들에 대한 심리치료사 및 상담 전문가들의 활용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이나 지역사회에서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치료사나 상담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연구요약
  • 분노는 일상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감정 중 하나이지만 분노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지 못 하는 경우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학생 집단은 분노가 잘 조절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분노조절 실패로 인해 대학생 커플들 사이에서 데이트 폭력 문제 같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데이트 폭력과 같은 문제행동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대학생 커플들을 대상으로 분노조절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분노 경험은 심리적, 행동적, 인지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는 분노정서를 적합하게 인지하고 표현하게 하는 역량을 가지게 함으로써 적절한 수준에서의 조절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대학생 커플들을 대상으로 분노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제시하여,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종합하여 프로그램 개발 11단계를 실시하고 분노 조절 집단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대학생 커플들의 분노조절 개입 방안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당초 연구의 목적은 분노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커플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 연구에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분노 경험이 있는 총 5쌍의 커플(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다수의 연구자가 분석 과정에 참여하여 언어적 반응의 빈도를 확인하는 합의적 질적 연구를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커플관계에서의 갈등 요인’, ‘대학생 커플관계에서 갈등으로 인한 반응’ 2개의 영역, 5개의 범주,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터뷰 결과, 대학생 커플의 분노는 갈등 상황에서 나타났고, 갈등은 분노를 포함한 여러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였다. 이에 따라,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을 갈등 상황에서 커플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2차년도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차년도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커플의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척도를 선정하였다. 예비프로그램은 전문가 3인의 감수를 통해 내용을 확정한 뒤, 대학생 커플 3쌍(6명)을 대상으로 주 1회, 2회기(3시간)씩 5주 동안 총 10회기(15시간)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예비프로그램 실시 후 전문가 감수를 거쳤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보완한 뒤, 본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커플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한 대학생과 미혼 커플 8쌍(16명)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주 1회, 2회기(3시간)씩 5주 동안 총 10회기(15시간)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예비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과 미혼 커플 11쌍(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 커플의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적 의사소통(연인에게 애정이나 지지, 정서적 친밀감, 정서적 이해와 공감을 느끼는 정도), 타당화(연인에게 정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는 정도), 정서의 구별(복잡한 정서를 느껴도 괜찮다는 것을 연인이 이해해주는 정도), 동의(연인이 대다수의 사람들도 내가 느끼는 것처럼 느낀다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정도)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년도 연구 결과는 대학생 커플이 갈등 상황에서 사용하는 해결 전략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갈등 해결을 위해 나은 전략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년도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갈등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미혼 성인 커플에 개입하고자 할 때 상담 현장이나 관련 기관에서 실제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개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유용한 틀이 되는 정서도식치료를 활용하여, 관련된 후속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활동지와 매뉴얼은 상담 실무자의 역량 강화와 국내에서 다른 심리치료에 비해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정서도식치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for college couples who have difficulty with anger control and to verify its effect. For this, in the first-year study, the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and a need assessment for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nd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five couples(10 people) who had the experience of anger.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 number of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process and select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confirm the frequency of verbal respons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wo domains which are 'conflict factors in college couples', 'reactions caused by conflicts in college couples', followed by 5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anger of college couples was present in conflict situations, and the conflict caused variou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anger.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second-year study wa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aims to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couples in conflict situation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carry out the second-year study, the contents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college couple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in the first-year, and a scale was se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eliminary program was supervised by three experts to confirm the contents, and then a total of 10 sessions(15 hour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3 college couples(6 people).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implemented, the experts supervised the content, and afte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ere confirmed.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8 college/unmarried couples(16 people) once a week, a total of 10 sessions(15 hours), and was conducted non-contac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 11 college/unmarried couples(2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program and the program,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emotional communication(degree of affection or support, emotional intimacy, emotional understanding, and empathy to the lover), validity(degree of understanding when talking to the lover about emotion), distinction of emotion(degree to which a lover understands that it is okay to feel complicated emotions), consent(degree to which a lover realizes that most people feel the same way as they do)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the first-year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college couples understand the solution strategies used in conflict situations and to explore better strategies for conflict resolution. Secondl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tool in the counseling field or related institutions when it is intends to intervene on college couples and unmarried adult couples with conflict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by utilizing the emotional schema therapy as the theoretical basis which i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the individual's emotions, this research provides the basis for the related follow-up studies. In particular,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ctivity sheets and manual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ounselors and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emotional schema therapy, which lacks the empirical research compared to other psychotherapy in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당초 연구의 목적은 분노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 커플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도 연구에서는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문헌조사와 분노 경험이 있는 총 5쌍의 커플(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는 요구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로 분석한 결과, ‘대학생 커플관계에서의 갈등 요인’, ‘대학생 커플관계에서 갈등으로 인한 반응’ 2개의 영역, 5개의 범주,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터뷰 결과, 대학생 커플의 분노는 갈등 상황에서 나타났고, 갈등은 분노를 포함한 여러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2차년도 연구의 목적을 갈등 상황에서 커플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2차년도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차년도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커플의 정서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척도를 선정하였다. 예비 프로그램은 전문가 3인의 감수를 통해 내용을 확정한 뒤, 대학생 커플 3쌍(6명)을 대상으로 주 1회, 2회기(3시간)씩 5주 동안 총 10회기(15시간)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예비 프로그램 실시 후 전문가 감수를 거쳤고,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한 뒤, 본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커플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한 대학생과 미혼 커플 8쌍(16명)을 대상으로 5주에 걸쳐 주 1회, 2회기(3시간)씩 5주 동안 총 10회기(15시간)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예비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과 미혼 커플 11쌍(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모수적 통계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 커플의 이성관계 만족도(Z=-1.97, p<.05), 정서적 의사소통(Z=-2.04, p<.05), 타당화(Z=-2.43, p<.05), 정서의 구별(Z=-2.53, p<.05), 동의(Z=-2.40, p<.05)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년도 연구 결과는 대학생 커플이 사용하는 갈등 해결 전략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갈등 해결을 위해 보다 나은 전략을 탐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년도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갈등 경험이 있는 대학생과 미혼 성인 커플에 개입하고자 할 때 상담 현장이나 관련 기관에서 실제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서도식치료를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여 정서도식치료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로 산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활동지와 매뉴얼은 상담 실무자의 역량 강화와 국내에서 다른 심리치료에 비해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정서도식치료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 연구에서는 분노 경험이 있는 총 5쌍(10명)의 커플을 심층 인터뷰하고, 인터뷰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커플관계에서의 요인’, ‘대학생 커플관계에서 갈등으로 인한 반응’ 2개의 영역과 5개의 범주 및 12개의 하위범주로 최종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 및 교육 현장에서 대학생 커플 간의 갈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과 대학생 커플이 갈등 해결을 위해 나은 전략을 이해하고, 탐색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영역과 범주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대학생 커플의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과 갈등으로 인한 반응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변인 연구를 진행하여 이러한 결과가 양적 분석에서도 검증되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및 미혼 커플을 대상으로 갈등관리와 정서조절을 돕는 비대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대학생과 미혼 커플 8쌍(1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에 커플의 ‘정서의 구별’, ‘동의’, 정서표현의 ‘관계방어적’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예비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대학생 및 미혼 커플 11쌍(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 후에 커플의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적 의사소통’, ‘타당화’, ‘정서의 구별’, ‘동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심리치료 개입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라는 점과 비대면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 내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참여자의 관계적 측면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비대면 집단상담뿐만 아니라 대면 집단상담도 진행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고, 비대면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을 비교하는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상담 및 심리 전문가가 갈등 경험이 있는 미혼 성인 및 대학생 커플에게 개입할 때 실제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고,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근거로 정서도식치료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함의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지역사회에 위치한 대학교 상담센터, 상담 기관 등에 프로그램의 매뉴얼과 활동지를 공유하여 지속적인 프로그램 홍보와 검증을 실시하고, 특히 결혼을 앞둔 예비 부부를 대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결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계획이다.
  • 색인어
  • 분노, 분노조절, 정서도식, 집단상담 프로그램, 대학생, 커플, 합의적 질적 연구, 갈등, 갈등 원인, 갈등 반응, 비대면, 정서조절, 미혼커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