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연결사회 소비자의 구매경로 다양화와 상업 입지: 수도권과 지방도시 비교
Diversification of Consumption Channel and Retail Store Location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Gwangju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2A03-2019S1A5A2A03044619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6 개월 (2019년 07월 01일 ~ 2020년 12월 31일)
연구책임자 이금숙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박소현(서울대학교)
송예나(전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 도시민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수없이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한다. 이들의 소비와 관련된 상업활동은 지역의 경제 및 고용에의 파급효과도 크므로 소비활동의 장이 되는 상업입지는 일찍부터 경제지리의 주요 연구주제로 다루어져 왔다. 실제로 도시 토지이용 중 거주지를 제외하면 상업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 소비가 이루어지는 상업시설의 입지는 소비자가 재화와 서비스를 손쉽게 거래하며 효용성과 만족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소비되는 재화와 서비스의 종류와 양 및 소비행태는 소비자의 개인적인 속성은 물론 그들이 사는 시대와 지역의 사회‧경제‧문화‧기술 등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한다. 정보통신기술의 혁명적 발전과 인터넷과 모바일폰 보급의 일반화로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면서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소비할 수 있는 온라인(online) 구매가 각광을 받으며 기존의 오프라인(offline) 공간에 입지하고 있는 상점에서 직접 대면하여 이루어지던 구매가 온라인을 통한 구매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다. 앞으로 초저출산‧고령화 및 1인가구의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되는 경향이다. 최근 플랫폼 비즈니스가 빠르게 부상하고 있어 앞으로 소비자의 구매경로는 좀 더 다양해지고 소비 및 유통구조도 좀 더 복잡해지고 있어 사람들의 쇼핑행태 및 상점 선정 등에 많은 변화가 나타나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품군에 따라 전자상거래의 추이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므로 오프라인 공간인 도시 내에 상점의 개점 및 폐점 양상이 각기 지금과 다르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경영적 어려움이나 급속하게 늘어나는 폐점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인다. 또한 지역의 인구 구조를 비롯한 사회경제적 변화와 플랫폼 서비스의 등장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역의 제반 속성을 고려하면서 정보통신기술의 혁신과 함께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상업입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변화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교통망으로 주어지는 물리적 접근성을 근간으로 구축된 기존의 입지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상업입지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전자상거래(e-commerce)의 출현으로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다양해지면서 기존의 소매유통업의 게임원리(rules of game)가 근본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제 초연결사회 소비자의 유통경로 다변화에 따른 상업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지역의 경제지리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정보통신매체와 결합되어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구매경로를 감안하여 사람들의 소비/장소선택/통행 등에 나타나는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여 경제지리의 상업입지 이론체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앞서 소매유통채널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오프라인 거래를 담당하던 기존 소매점들의 입지에 많은 변화가 나타날 것임을 국내‧외 연구에서 예고해 왔다. 그러나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온/오프라인 상에서 다양하게 전개되면서 그 여파가 현실공간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밝히는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 미미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상품 거래액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상업입지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를 실증분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소매유통채널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전자상거래의 증가가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거래하는 오프라인 상점의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서울과 지방도시 광주를 대상으로 상품군별 전자상거래의 추이와 오프라인 상점의 개․폐점 양상 및 지리적 특징을 분석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부문별로 다음과 같다.
    1) 학술적 기여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으로 촉발되는 소비자의 구매경로 다양화가 상업입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개념적 측면에서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체계화된 구체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은 창의적인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지는 결과와 제시되는 방법론은 경제지리학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제지리학의 상업입지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도시계획과 교통계획 등 공간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을 것이다.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서비스의 확장으로 예견되는 소비자 구매경로 다양화는 도시공간의 일자리/거주지/소비유통/통행행태에 까지 많은 변화에 미칠 것이므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추구하는 공간연구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도시공간에 대한 방대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리정보체계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각 현상들의 변이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해 보고, 이를 토대로 장래를 위한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체계적인 연구방법론과 연구결과는 국내‧외 학문사회에 많은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각기 수도권과 지방도시에 위치하는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경제지리학 교수와 교통‧정보지리학 교수, 그리고 지식정보서비스산업을 연구하는 박사급연구원이 연구진을 구성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므로 학문적 시너지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2)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우리 사회에 새롭게 대두되는 주제에 대해 수도권과 지방 도시를 비교하는 일련의 연구과정과 연구결과는 학문 후속세대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공하고 연구의 지평을 넓혀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론은 대학의 경제지리학 강의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연구에 활용된 다양한 방법론과 통계학 기법들은 대학 고학년과 대학원 강의에서 연구설계, 통계분석과 관련된 내용에 실례로 제시될 수 있으며, 전체 연구내용은 지리학 및 도시 관련 교과목에 접목시킬 수 있다. 또한 연구수행 과정에 지역 간 대학원생 및 학부 연구조원들의 교류를 통하여 상호 지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분석방법 및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배워서 앞으로 본인의 연구를 완성도 높게 수행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훈련을 통해 학생 개인의 연구력을 증진시키고 앞날을 설계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대학과 지역사회의 학문 후속세대 및 지역 전문가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3) 정책적 기여
    본 연구의 결과는 다가오는 초연결사회의 변화에 대비하여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도시 교통과 토지이용 계획의 대안을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지방도시와 수도권의 사례에 기반을 둔 연구결과는 도시 정책 및 발전 방향 수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소상공인의 폐점과 중심상가의 쇄락 등의 문제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구매경로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 지역의 상황에 적합한 상업입지계획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시 정책과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상품 거래액의 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상업입지에 나타나고 있는 변화를 실증분석하려는 것이다. 특히 소매유통채널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전자상거래의 증가가 상품을 오프라인에서 거래하는 오프라인 상점의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분석한다. 상품군별 전자상거래의 추이와 오프라인 상점의 개․폐점 양상 및 지리적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수도권 도시/지방도시 비교분석, 양적 연구, 질적 연구이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도시민의 활동에 대한 시공간 정보를 담은 다양한 빅데이터가 생성되어 축적되고 있으며, 이의 구득과 사용이 과거에 비해 훨씬 용이해졌다. 따라서 과거에 시도할 수 없었던 다양한 실증적 분석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었다. 양적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구매경로 다양화와 상업입지문제를 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온라인 플랫폼 산업을 비롯하여 소비자의 구매경로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통계분석 및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자료는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경제활동인구조사, 전국사업체조사 등 다양한 이차자료와 마이크로데이터와 교통카드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건축물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가구통행량조사 자료, 미디어패널조사 자료 등을 사용한다. 또한 실제 소비를 행하는 주체인 소비자들의 소비행태와 상점입지 결정자인 점주들의 행태에 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양적 분석 결과의 의미를 찾고 보완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특정상품이나 특정지역에 위치한 점포 선택 등에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스타그램 검색정보 및 텍스톰으로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한다. 특히 식품 소비와 관련된 소비 및 점포 방문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 매트릭스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NetDraw 프로그램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분석(연결정도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CONCOR 분석 등을 실시한다.또한 앞 서 플랫폼 산업이 발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해외 사례지역을 조사하고 해당 전문가 집단을 인터뷰한다. 수도권의 서울과 지방도시 광주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상점입지 현황과 변화내용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수행할 연구내용은 1) 문헌연구 및 방법론 구축(초연결사회 소비자 구매경로 변화, 공간통계 방법론, 자료수집 및 처리 방법론 구축), 2) 연구지역별 인구/산업/교통/정보통신 자료수집 및 기초통계 분석(GIS DB 구축 및 전처리 작업, 자료 가공 및 기초 통계분석), 3) 설문조사/인터뷰 설계 및 실시(온라인 설문조사지 설계 및 조사, 업주 및 전문가 인터뷰 설계 및 실시, 자료 가공 및 기초 통계/질적 분석), 4) 연구지역별 상업입지변화 현지답사(개‧폐점 정보수집, 시간적(종단) 분석), 5) 요소별 공간 특징 파악을 위한 공간통계분석(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 커널밀도분석(kernel density analysis), 국지적 공간자기상관(LISA) 분석), 6) 소비자의 구매경로 변화의 공간적 영향 분석(다변량통계분석 및 모형 구축: 패널데이터분석, 지리가중회귀분석, 프로빗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등, 결과 분석), 7) 상업입지체계 재구성(전문가 자문 및 세미나, 모형 점검 및 수정작업), 8) 학회 발표 및 논문 작성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상거래가 활성화되어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다양해지고 소비행태가 바뀌면서 상업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전자상거래 규모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삶의 영위에 필수적인 식품과 관련된 생활 밀접형 점포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한다. 특히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며 가장 빈번히 방문하게 되는 음식료점의 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집중분석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음식료점은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으며 생존기간이 짧은 대표적인 업종으로 잦은 개업과 폐업으로 자영업 소상공인들의 고용과 수입의 불안을 초래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켜 현재 심각한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정보화의 영향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신규 개업하거나 폐업한 음식료점 및 생존하여 영업중인 음식점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지와 분포에서 발견되는 공간적 특징과 이에 작용하는 지리적 요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음식점 생존에 SNS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업 중인 음식점 가운데 SNS에서 음식점 검색량이 많아 소위 맛집이라 지칭되는 인기음식점들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입지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수도권도시/지방도시 비교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적용하였다.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는 소비하는 개인들의 속성과 더불어 그들이 살고있는 지역의 인구구성 및 사회·경제·기술적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서울과 지방도시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행정안전부의 식음료점 인허가 자료를 비롯하여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경제활동인구조사, 전국사업체조사 등 다양한 이차자료 및 마이크로데이터와 교통망 및 교통카드 자료, 필지별 지가자료, 그리고 전자상거래 자료 및 SNS를 통한 맛집 정보검색자료 등이다. 또한 소비자의 식품구매행태에 대한 질적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포털 및 인터넷 정보 매개서비스업체의 SNS 맛집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음식료점의 개폐업 및 생존의 공간적 특징과 이에 작용하는 입지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리정보체계를 통한 DB 구축 및 전처리 작업을 거쳐 다변량통계분석과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하는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터넷 설문조사와 소셜미디어의 검색정보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행태 및 음식점 선택에 작용하는 행태적 요인을 파악하는 질적 연구도 수행하였다. 서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서울시 소재 음식점 분포 변화와 개페업입지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SNS상에서 맛집 검색 등 온라인 검색 활동과 음식점 입지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개업, 폐업, 영업 중인 음식점 입지의 커널밀도 및 모란지수를 측정하여 음식점 분포의 군집성과 군집 양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간회귀모형을 추정하여 음식점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온·오프라인 속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라는 논문제목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KCI 등재지) 23원 1호에 게재하였다.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는 한 연구에서는 음식점의 매출 향상과 지속적인 운영에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교통 접근성과 음식점 생존 사이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생존분석을 통해 교통 접근성과 음식점 업종별 영업 기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개 노선만 운영되고 있는 지하철 접근성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도로 접근성은 생존 기간 연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이라는 논문제목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KCI 등재지) 23권 4호에 게재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hanges that appear in the commercial location as online commerce is revitaliz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nsumers' purchasing paths are diversified and consumption behaviors change. For the purpose, the recent e-commerce scale is increasing most rapidly, and changes appearing in the location of close-to-life stores related to food, which are essential for life, a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changes that appear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od and beverage stores that we visit most frequently in our daily lives were examined,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were analyzed intensively. In Korea, food and beverage stores have a high proportion of self-employed and have a short survival period.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business causes unrest in employment and income of self-employed small business owners and incurs enormous social costs, which is currently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this study, from 2010, when the influence of informatization on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began to become full-fledged along with the spread of smartphones, new opened or closed food and beverage stores and surviving restaurants are subject to spatial findings in their location and distributi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 factors that act on them were carefully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NS on the survival of restaurant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distribution of popular restaurants were analyzed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restaurant searches on SNS among open restaurants. As research methods, comparative studies of metropolitan/local cities, quantitative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applied. Consumption of goods and service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who consume it, as well as the population composition and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situation in the area in which they live, so this study targets Seou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wangju, a provincial city. Performed.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include food and beverage store license data fro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various secondary data such as population censu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national business survey, transportation network and transportation card data, land price data by lot, and e-commerce data. And restaurant information search data through SNS.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qualitative research on consumers' food purchasing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on the other hand, SNS restaurant information of portal and internet information mediating service companies was col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and closing business and survival of food and beverage outlets and the location factors acting on the collected data, a quantitative study is carried out to conduct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DB construction and pre-processing throug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 di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behavioral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 and restaurant selection based on internet survey and social media search information. A study on Seoul empiricall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restaurant locations in Seoul and factors influencing the location over the past 10 year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search activities such as restaurant search on SNS and the location of restaurants. To this end, by measuring the kernel density and moran index of open, closed, and open restaurant locations, we examine the clustering of restaurant distribution an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clustering pattern, and estimate the optimal spatial regression model to affect the restaurant location. I have identified the properties. The research results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Journal (KCI registered magazine) Vol. 23 No. 1 under the thesis title “Changes in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staurant Location: Seoul as a Case”. A stud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raffic accessibility and survival of restaurant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sales and continuous operation of restaur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essibility and business periods by restaurant industry through surviv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ubway access, which operates only one rou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but road accessibil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tending the survival period. The research results were published in Vol. 23, No. 4 of the Korean Economic Geographical Association (KCI) under the thesis title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staurant opening and closing businesses in Gwangju and traffic acc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상거래가 활성화되어 소비자의 구매경로가 다양해지고 소비행태가 바뀌면서 상업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최근 전자상거래 규모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삶의 영위에 필수적인 식품과 관련된 생활 밀접형 점포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한다. 특히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며 가장 빈번히 방문하게 되는 음식료점의 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집중분석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음식료점은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으며 생존기간이 짧은 대표적인 업종으로 잦은 개업과 폐업으로 자영업 소상공인들의 고용과 수입의 불안을 초래하고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켜 현재 심각한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정보화의 영향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신규 개업하거나 폐업한 음식료점 및 생존하여 영업중인 음식점을 대상으로 그들의 입지와 분포에서 발견되는 공간적 특징과 이에 작용하는 지리적 요인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음식점 생존에 SNS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업 중인 음식점 가운데 SNS에서 음식점 검색량이 많아 소위 맛집이라 지칭되는 인기음식점들의 분포에서 나타나는 입지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수도권도시/지방도시 비교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적용하였다.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는 소비하는 개인들의 속성과 더불어 그들이 살고있는 지역의 인구구성 및 사회·경제·기술적 상황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서울과 지방도시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행정안전부의 식음료점 인허가 자료를 비롯하여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경제활동인구조사, 전국사업체조사 등 다양한 이차자료 및 마이크로데이터와 교통망 및 교통카드 자료, 필지별 지가자료, 그리고 전자상거래 자료 및 SNS를 통한 맛집 정보검색자료 등이다. 또한 소비자의 식품구매행태에 대한 질적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포털 및 인터넷 정보 매개서비스업체의 SNS 맛집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음식료점의 개폐업 및 생존의 공간적 특징과 이에 작용하는 입지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리정보체계를 통한 DB 구축 및 전처리 작업을 거쳐 다변량통계분석과 공간통계분석을 실시하는 양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터넷 설문조사와 소셜미디어의 검색정보자료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소비행태 및 음식점 선택에 작용하는 행태적 요인을 파악하는 질적 연구도 수행하였다. 서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서울시 소재 음식점 분포 변화와 개페업입지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SNS상에서 맛집 검색 등 온라인 검색 활동과 음식점 입지와의 관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개업, 폐업, 영업 중인 음식점 입지의 커널밀도 및 모란지수를 측정하여 음식점 분포의 군집성과 군집 양상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최적의 공간회귀모형을 추정하여 음식점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온·오프라인 속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라는 논문제목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KCI 등재지) 23원 1호에 게재하였다.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는 한 연구에서는 음식점의 매출 향상과 지속적인 운영에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교통 접근성과 음식점 생존 사이의 상관관계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생존분석을 통해 교통 접근성과 음식점 업종별 영업 기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개 노선만 운영되고 있는 지하철 접근성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도로 접근성은 생존 기간 연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이라는 논문제목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KCI 등재지) 23권 4호에 게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정보화의 영향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음식료점 입지 및 분포에 나타나는 변화와 이에 작용하는 지리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서울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생존하여 영업 중인 음식점과 개업 및 폐업한 음식점의 입지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통적으로 음식점 주변에 유사업종인 도매 및 소매업 종사자와 SNS 인기 맛집의 분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또한, 개업과 폐업, 생존 영업 중인 음식점 대표자의 연령대는 모두 20대 이하와 연관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 영업 중인 음식점의 경우 음식점 주변에 도소매 관련 활동인구뿐만 아니라 전 산업에 걸쳐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인구 요인이 더 밀접한 영향을 주며, 음식점 소비에 대한 구매력은 거주하는 인구의 속성보다는 전체 종사자와 도소매업 종사자 등 경제 및 산업 활동에 종사하는 인구 요인이 더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한 음식점의 경우 그 공간 효과로 이웃 지역의 음식점 폐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업한 음식점 입지의 특성 중 일부는 폐업한 음식점 입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양면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이 높은 지역 또는 개업 대비 폐업이 높은 지역 등 폐업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연쇄적인 폐업을 막기 위해 지역 차원에서 별도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음식점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 개업의 20대 이하 영향력이 컸지만, 반대로 음식점 폐업과도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PC와 모바일 등에서의 정보검색량을 분석 모형에 투입한 결과 음식점 개업에 영향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지방도시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지방 대도시의 음식료점 개폐업은 수도권과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입지분석 연구와 연장선으로 음식점의 생존율과 교통 접근성의 중요도를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음식점 분류를 적용하여 시도한 접근방식은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화되는 부분으로 음식점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생존 곡선과 교통 접근성과의 관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음식점 종류에 따라 다른 생존 전략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실증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특정 종류의 음식점을 개점하려는 개별 자영업자의 입지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실무적 차원에서도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책적 측면에서 음식점 입지 선정이나 지역의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때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것이다. 지방도시와 수도권의 사례에 기반을 둔 연구결과는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 및 계획 수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지역상권 및 소상공인 개페업에 대한 문제해결을 정책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무분별한 정책적 뒷받침이 아닌 전략적 지원 방안 모색에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경영적 어려움이나 급속하게 늘어나는 폐점 문제 등에 대한 정책과 대책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자영업자의 비중이 높은 음식료점의 개·폐점 및 생존여부에 대한 공간적 특성과 지리적 변수와의 관계 분석 결과는 지역의 상황에 적합한 상업입지계획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시 정책과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학문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혁신으로 촉발되는 소비자의 구매경로 다양화가 상업입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화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창의적인 주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제시되는 방법론은 학술적 발전에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일련의 연구과정과 연구내용은 학문 후속세대에게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공하고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이며, 연구의 결과와 방법론은 대학의 강의 및 대학 고학년과 대학원생 학위논문작성에 접목시켜 활용할 계획이다.
  • 색인어
  • 초연결사회, 온라인 상거래, 소비행태, 구매경로, 상업입지, 서울·지방도시 비교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지리정보체계, 다변량통계분석, 공간통계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소셜네트워크, 온라인 정보검색, 음식점, 개·폐업생존분석, 입지변화, 커널밀도분석, 모란지수, 공간회귀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