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하이네의 여행 - 하르쯔, 헬고란트, 함부르크
Heine's Travel - Harz, Helgoland, Hambur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2019S1A5B5A07092750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철택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하이네의 삶에서 여행은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하이네의 여행’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그리고 아직 한국에서는 ‘여행’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대한 인식 자체도 미비한 편이다. “하르쯔 기행”을 통하여 하이네는 여행기의 새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하이네에게 ‘여행과 글쓰기’는 아주 중요한 주제이다. 그리고 안정된 직업을 가지고 한 곳에 정주하고 싶었던 하이네가 ‘떠도는 유대인’으로 살았던 ‘노마드적 삶’도 ‘여행과 삶’이라는 주제의 이 연구에 아주 잘 어울린다고 본다. ‘헬고란트 여행’에서 듣게 된 ‘파리의 혁명 소식’은 그를 그 시대의 ‘정치 한복판’으로 끌어들인다. 파리 망명 시절 함부르크에 계신 어머니를 방문한 두 번의 ‘함부르크 여행’은 그에게 정치적으로 낙후한 독일의 실상을 체험하게 한 여행이었다. 작품 “독일, 어느 겨울 동화”에서 그의 함부르크 여행이 잘 드러나 있다. ‘하이네의 여행’을 통해 그의 삶과 문학을 재구성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하이네에 대한 무거운 문예학적 연구는 많지만 그의 여행에 관한 연구는 아주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로 전통적인 문예학적 텍스트 읽기에서 '하이네의 여행'이라는 다소 가볍지만 흥미로운 문화학적 텍스트 읽기로의 전환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서 하이네의 문학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역할을 하며,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 강좌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책으로 출판하여 일반인에게도 무겁지 않은 독서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본인의 ‘여행 인문학’에 대한 연구는 모두 수업, 시민강좌와 연결되었으며, 이 모든 연구 결과를 묶어 책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 연구요약
  • ‘세상이라는 텍스트’를 읽는 여행은 이동하는 삶을 대표하는 행위이다. ‘정주하는 삶’의 닫힌 세계와는 다르게 ‘이동하는 삶’은 상대적으로 열린 세계이다. 정주하는 삶이 우리와 타자를 나눈다면 이동하는 삶은 다른 타자를 포용하는 삶이다. 하이네는 책읽기(독서)와 세상읽기(여행)를 동시에 하였다. 하지만 그의 세상읽기인 여행에 관한 연구는 그의 독서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주 빈약하다. 여행이 그의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할 때 이는 부당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인 ‘하이네의 여행’에서는 우선 그의 여행지를 살펴보고, 각각의 여행지가 그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펴볼 생각이다. ‘하르쯔 여행’에서는 자연과 민중에 대한 성찰을, ‘헬고란트 여행’과 ‘파리 망명’에서는 프랑스 혁명과 정치적 사건에 대한 관심을, ‘함부르크 여행’에서는 낙후한 독일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비판을 살펴볼 생각이다. ‘육체의 공간적 이동’인 여행을 통한 하이네의 경험이 각 여행지를 통해서 그의 삶과 문학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세상이라는 텍스트’를 읽는 여행은 이동하는 삶을 대표하는 행위이다. ‘정주하는 삶’의 닫힌 세계와는 다르게 ‘이동하는 삶’은 상대적으로 열린 세계이다. 정주하는 삶이 우리와 타자를 나눈다면 이동하는 삶은 다른 타자를 포용하는 삶이다. 하이네는 책읽기(독서)와 세상읽기(여행)를 동시에 하였다. 하지만 그의 세상읽기인 여행에 관한 연구는 그의 독서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주 빈약하다. 여행이 그의 삶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할 때 이는 부당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인 ‘하이네의 여행’에서는 우선 그의 여행지를 살펴보고, 각각의 여행지가 그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하르쯔 여행’에서는 자연과 민중에 대한 성찰을, ‘헬고란트 여행’과 ‘파리 망명’에서는 프랑스 혁명과 정치적 사건에 대한 관심을, ‘함부르크 여행’에서는 낙후한 독일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았다. ‘육체의 공간적 이동’인 여행을 통한 하이네의 경험이 각 여행지를 통해서 그의 삶과 문학에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아보았다.
  • 영문
  • Travel is a representative act of moving life. Unlike the world of 'staying life', 'moving life' is a relatively open world. If staying life keeps us away from others, moving life is a life that embraces others. Heinrich Heine did both a book-reading (reading) and a world-reading (travel). However, the study of world reading (travel) i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the study of reading.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travel in his life, this is considered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first looked at his travel destination and looked at the meaning of each travel destination in his life.
    He reflected on nature and the people in the 'Harz Trip'. He also showed interest in the French Revolution and political events during his "Hellgoland trip". Finally, he criticized Germany's underdeveloped political situation on his 'Hamburg trip'. We learned how Heine’s experience through travel, which is a "space movement of the body," connects his life and literature through each travel destin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하이네의 여행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하이네의 여행을 다루었다. 그의 여행을 하르츠 산맥, 헬고란트 섬, 함부르크 도시로 나누어 고찰하였는데, 각각의 여행이 지니는 의미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우선 작품 “하르츠 기행”을 통해서 하이네의 하르츠 산맥 여행이 지니는 의의를 알아보았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하이네가 ‘자연을 축복의 대상으로 여긴다’는 점이다. ‘하르츠 기행’에 나오는 첫 시를 분석하면서 그가 느낀 감정과 그가 말하고자 하는 주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헬고란트 여행을 통하여 하이네는 프랑스 혁명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보여주는데, 그의 혁명에 대한 관심이 아주 대단하며, 폭력적이고 맹목적인 혁명에 반대한 그의 모습을 남겨진 그의 일기, 편지와 산문인 “독일의 종교사와 철학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함부르크 여행을 통하여 낙후한 독일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비판을 작품 “독일, 겨울동화”로 보여준다. ‘겨울’이라는 단어가 상징하듯, 모든 것이 얼어붙은 독일적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독일과 전 유럽의 혁명 이전의 복고주의를 공격 목표로 삼아 비판하고, 동시에 맹목적인 혁명에도 반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하이네의 여행’이라는 연구과제는 인문학의 실생활 적용이라는 면에서 첫 번째 가치를 지니며, 전통적인 문학과 새로운 문화학의 접점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로 두 번째 의의를 지닌다. 그래서 대학의 교양 수업과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인문학 강의에 직접 적용할 수 있고, 연구 결과를 책으로 엮어낼 경우, 일반인의 여행안내서로 이용 가치가 있으며, 유럽식 시민대학과 같은 평생교육의 장에서는 한 학기 수업을 위한 유용한 교재로 쓰일 수도 있다고 본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전통적인 문학과 새로운 문화학의 접점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책에 한정된 문예학의 텍스트 분석을 여행을 통한 문화학적 텍스트 읽기로 확장하여 텍스트를 볼 수 있다고 본다.
  • 색인어
  • 하이네, 여행, 하르츠, 헬고란트, 함부르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