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설텍스트의 문화항목 분류 체계 연구 - HRAF 분류코드 적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Items in the Text of the novel - Focusing on HRAF classification codes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2019S1A5B5A07092107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황혜란
연구수행기관 명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문화란 한 사회의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 언어는 문학의 특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상징체계로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은 계속 강조되고 있으며, 문학작품은 언어와 문화의 통합적 학습을 위한 가장 실제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문학텍스트의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문학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문학작품 어휘의 높은 난이도가 원인이며 문화적 측면에서는 어떤 문화항목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문학작품을 발췌나 축약 등의 방식으로 제시할 때도 어떤 부분을 제시해야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점이 없다. 따라서 문학작품이 지니고 있는 문화적 특성을 추출하고 일정한 범주로 나누어 기초자료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문학작품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근거 자료의 제공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작품의 내용을 분석하여 문화항목을 추출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소설텍스트의 문화항목을 범주화하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코드를 활용하여 문화 분류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최근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 영역의 확대, 다양한 학습자의 출현, 4차 산업 혁명으로 불리는 기술 혁신 시대의 도래로 한국어 교육 영역에서도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시도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문학코퍼스를 활용하고 HRAF의 분류코드를 활용한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대 효과와 활용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인류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코드를 소설 분석에 도입함으로써 소설을 통한 비교문화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문학텍스트를 통해 간문화적인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목표문화인 한국문화와 모문화의 비교 및 성찰을 쉽게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추출된 문화항목을 기반으로 실제적 수업 방안을 제시하거나 교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서사 단락을 기준으로 문화 분류코드를 부여하기 때문에 소설의 전문이 아니라 발췌나 요약본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언어교육에서 소설텍스트의 활용 빈도를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소설에 나타나는 문화항목들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보편적인 문화 분류코드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서사 단락을 기반으로 추출된 문화어휘를 활용하여 문화번역에 활용하거나 각주를 제공하는 등의 텍스트의 2차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언어문화콘텐츠 제작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문학작품의 문화항목을 추출하고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학텍스트의 문화항목을 추출하고 분류하기 위해서 분석대상이 되는 텍스트와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 분석대상텍스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설 어휘 연구용 분석 코퍼스󰡕(2014/2015)에 구축된 교과서 수록 단편소설 22편을 대상으로 한다. 분류를 위한 기준으로는 HRAF 의 문화 분류코드를 활용한다. HRAF (Human Relation Area Files)는 1930년대 미국 예일대학의 인간관계연구소(Institute of Human Relation)에서 세계의 모든 문화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주제 분류하여 항목별로 찾을 수 있도록 정리한 문서이다. 이 문서는 현존하는 문화자료집 중에서 가장 방대한 자료를 수록하고 내용이 범주적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인류 문화에 대한 비교문화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문학작품의 다양한 주제를 항목화하는 데 적합하다. HRAF 문화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단편소설의 주제별 문화항목을 분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소설 어휘 연구용 분석 코퍼스󰡕의 텍스트를 어휘, 문장, 단락의 차원에서 분석할 것이다. 둘째, HRAF 문화 분류코드에 맞게 작품의 전체 주제별 분류를 하고, 서사 단락별 분류를 할 것이다. 셋째, 서사 단락을 기준으로 문화 어휘를 추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 다른 분류 체계들의 문화항목을 참조하여 동일한 분류코드 내에서 문화항목의 내용을 조정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 체계를 활용하여 소설텍스트의 문화항목의 분류를 시도하여 소설을 통한 비교문화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문학교육의 실제적 활용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소설 텍스트의 어휘에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텍스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설 어휘 연구용 분석 코퍼스󰡕에 수록된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인 거리」는 한국 전쟁 직후의 중국인 거리를 배경으로 주인공이 소녀가 여러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로 항구 도시의 모습, 한국 문화 속의 중국인들의 모습, 미군들의 모습 등 다양한 문화 코드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중국인 거리」의 품사 중에서 명사를 분석하였다. 실질적으로 문화 분류 코드를 적용할 수 있는 의미는 대부분 명사이므로 명사에 한정하여 문화 어휘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거리」에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HRAF 문화 분류 코드를 검토하였다. HRAF 파일은 특정 문화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모든 텍스트들이 모아지고 지리적으로 나누어지고 주제로 분류된다. 이 파일의 두 개의 분류 코드 중에서 OCM의 숫자 코드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삼았다. OCM은 세계의 문화 특성에 따라 주제의 범주를 정하고 세 자리 숫자 코드를 부여한다. 처음 두 자리는 대분류이고, 마지막 세 번째 자리 숫자는 대분류의 주제를 세분화하는 중분류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육 어휘내용개발󰡕의 어휘 목록 중에서 주제와 의미 범주가 제시되어 있는 어휘에 HRAF 분류 코드를 부여하였다. 의미 범주가 맞지 않는 않는 경우 HRAF의 색인 검색을 우선시하여 코드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거리」에 󰡔한국어교육 어휘내용개발󰡕 어휘의 HRAF 코드를 부여하고, 어휘 목록에 없는 어휘를 대상으로 HRAF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작품 속에서 문화 분류 코드의 부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 체계를 활용하여 소설 텍스트의 어휘를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소설 어휘의 분석을 통한 비교문화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문학교육의 실제적 활용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목적 하에 만들어진 목록들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상충되어 나타나는 문제점들이 많았다. 이를 보완하여 소설 텍스트에 적합한 분류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would seek a new methodology to draw out cultural items from novel tex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measures for assigning cultural classification codes to vocabulary in novel texts. The text to be analyzed was Jung-Hee Oh’s “Chinatown,” included in Analysis “Corpus for Novel Vocabulary”,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Cultural classification codes were assigned to “Chinatown”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HRAF Cultural Classification Code was examined. Of the two types of classification code in this file,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OCM by number codes was taken as a reference.
    Next, in the list of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the HRAF Classification Code was assigned to the vocabulary for which the ‘subject’ and ‘meaning’ categories were presented.
    Lastly, this study assigned the HRAF Code for the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tent Development” to “Chinatown” and assigned the HRAF Cultural Classification Code for the vocabulary, not in the vocabulary list. Also, this study concretely examined the examples concerning how the cultural classification codes were assigned in the work.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cross-cultural studies through a novel, attempting an analysis of cultural vocabulary in the novel text by utilizing the HRAF Classification Scheme,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in Cultural Anthropology and prepares the ground for practical utilizatio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소설 텍스트의 어휘에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텍스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설 어휘 연구용 분석 코퍼스󰡕에 수록된 오정희의 「중국인 거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국인 거리」는 한국 전쟁 직후의 중국인 거리를 배경으로 주인공이 소녀가 여러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로 항구 도시의 모습, 한국 문화 속의 중국인들의 모습, 미군들의 모습 등 다양한 문화 코드들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중국인 거리」의 품사 중에서 명사를 분석하였다. 실질적으로 문화 분류 코드를 적용할 수 있는 의미는 대부분 명사이므로 명사에 한정하여 문화 어휘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거리」에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HRAF 문화 분류 코드를 검토하였다. HRAF 파일은 특정 문화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모든 텍스트들이 모아지고 지리적으로 나누어지고 주제로 분류된다. 이 파일의 두 개의 분류 코드 중에서 OCM의 숫자 코드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삼았다. OCM은 세계의 문화 특성에 따라 주제의 범주를 정하고 세 자리 숫자 코드를 부여한다. 처음 두 자리는 대분류이고, 마지막 세 번째 자리 숫자는 대분류의 주제를 세분화하는 중분류이다.
    다음으로 󰡔한국어교육 어휘내용개발󰡕의 어휘 목록 중에서 주제와 의미 범주가 제시되어 있는 어휘에 HRAF 분류 코드를 부여하였다. 의미 범주가 맞지 않는 않는 경우 HRAF의 색인 검색을 우선시하여 코드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거리」에 󰡔한국어교육 어휘내용개발󰡕 어휘의 HRAF 코드를 부여하고, 어휘 목록에 없는 어휘를 대상으로 HRAF 문화 분류 코드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작품 속에서 문화 분류 코드의 부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화인류학에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 체계를 활용하여 소설 텍스트의 어휘를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소설 어휘의 분석을 통한 비교문화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문학교육의 실제적 활용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목적 하에 만들어진 목록들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상충되어 나타나는 문제점들이 많았다. 이를 보완하여 소설 텍스트에 적합한 분류 체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 한국어교육 환경의 변화, 영역의 확대, 다양한 학습자의 출현, 4차 산업 혁명으로 불리는 기술 혁신 시대의 도래로 한국어와 한국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미래지향적이고 창의적인 시도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문학코퍼스를 기반으로 HRAF 의 분류 코드를 활용한 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인류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HRAF 분류 코드를 소설 분석에 도입함으로써 소설을 통한 비교문화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HRAF 코드는 전 세계를 망라하는 문화자료집이다. 본 연구에서 이 자료집의 코드를 활용하여 세계 보편적 기준에 맞게 소설의 내용을 항목화함으로써 소설 작품을 통한 비교문화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둘째, 한국어를 교수할 때 간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해 목표문화인 한국문화와 모문화의 비교 및 성찰을 쉽게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추출된 문화항목을 기반으로 실제적 수업 방안을 제시하거나 교재의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소설의 전문이 아니라 발췌나 요약본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언어교육에서 소설 텍스트의 활용 빈도를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국소설에 나타나는 문화 항목들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보편적인 문화 분류 코드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추출된 문화 어휘를 활용하여 문화번역에 활용하거나 각주를 제공하는 등 텍스트의 2차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언어문화콘텐츠 제작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문화 어휘, 문화 항목, 분류 색인, 소설 코퍼스, 오정희, 인간관계영역 파일, 「중국인 거리」, 한국문학 교육, 한국문화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