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교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he Narrative Inquiry on teachi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B5A07-2019S1A5B5A07093140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2019년 09월 01일 ~ 2020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민진영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19년 2월말 현재 국내 체류외국인은 약 23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09년의 약 117만 명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체류외국인들을 우리사회에 보다 안정적으로 통합시키기 위해 법무부는 2009년부터 이들에게 KIIP를 제공하고 있다. KIIP는 국내에 체류하는 이민자가 우리사회 구성원으로 적응·자립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그리고 한국사회이해와 같은 기본소양을 체계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 마련한 교육이다. 그러나 KIIP 한국어 교육과정은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보다 난이도에 따른 등급의 세분화가 적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이민자에게 획일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 인해 체류기간, 체류자격, 출신국가, 거주지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민자 유형을 반영한 교육과정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KIIP가 2009년부터 시행되어 그 역사가 짧음으로 인해 지금까지 이루어진 KIIP에 대한 연구는 KIIP의 운영 기반 및 체계 정립, 운영 효율화 및 고도화, 사회적 공감 형성 등에 대해 언급한 것들이 많았다. 이와 더불어 KIIP의 정착을 위해 사회통합의 역사가 오래된 국가의 사회통합 정책과 비교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이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보다는 정책 제언에 대한 연구 혹은 외국인 통합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고 내용도 일반적인 현황을 살펴보는 것이 대부분이다 보니 KIIP에서 한국어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도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원들이 경험하는 구체적인 실례를 바탕으로 하였다기보다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해 낸 양적 연구가 많아 기존의 상식 틀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해석하려는 시도를 보여 왔다. 그러므로 앞으로 KIIP에 대해 더욱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가진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민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KIIP 한국어교육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실제로 가르치는 교원의 내러티브를 통해 듣고 그것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교수 경험을 탐색함과 동시에 KIIP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해 한국어교원들의 ‘현장 텍스트(field text)’를 구성하고 다시 ‘연구 텍스트(research text)’로 재구성한 후, 한국어교원의 KIIP 교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도출하여 KIIP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이민자들이 한국어를 좀 더 쉽게 배울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이들을 관리하는 정부 부처가 정책을 새로운 마련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들의 KIIP 교수 경험에 대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며 이민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언어적인 어려움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한국어교육 연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실시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와 활용방안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한국어교원들의 내러티브는 KIIP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교육에 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 교육 철학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양적 연구나 통계 결과 등이 보여주지 못한 KIIP 한국어교육 현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대학부설 언어교육 기관에서 실시되는 일반 목적 한국어 수업과 KIIP에서 실시되는 특수 목적 한국어 수업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KIIP의 어떤 점이 특성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 목적과 달리 특수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이민자들을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민자들이 KIIP를 통해 한국어를 제대로 배울 수 있게 되어 한국사회에서 소외된 자로 남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며 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어교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KIIP의 한국어 수업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이민자들이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해 준다면 이민자들의 사회통합교육 참여가 확대될 것이고 이민자 사회적응 및 효율적인 사회통합 정책에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질 연구 결과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며 이후 KIIP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에도 정보를 제공해 주어 궁극적으로 KIIP 한국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프로그램(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이하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교원들의 교수 경험을 심층적이고 다면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부설 어학기관에서 일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과 KIIP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이 모두 있는 한국어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 일반 어학기관에서 가르칠 때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관점에서 KIIP 교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볼 것이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는 경험을 이해하고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making meaning of experience)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한국어교원의 KIIP 교수 경험을 생동감 있으면서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현장에 존재하기(Being in the Field),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o Field Text),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Field Text),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Research Text)와 같은 다것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따를 것이다.
    연구 자료는 면담을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면서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각종 문헌들도 함께 수집하여 면담 내용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할 것이며 Connelly와 Clandinin(2000:215)이 내러티브 탐구의 타당성은 풍부한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 것에 기초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기록, 연구일지(journal entries), 기억상자(memory boxes)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자료 및 연구 내용과 관련된 신문 기사나 자료들도 수집을 할 것이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현장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대주제, 소주제, 주제어를 중심으로 범주화를 한 후, 계속해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threads), 주제(theme) 등을 찾아내기 위해 영역 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 분석(taxonomic analysis)을 할 것이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members check) 과정을 거칠 것이며(Lincon & Guba, 1985),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KIIP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을 보다 뚜렷하게 비교하고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여 주는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실시할 것이며 이를 위해 KIIP 거점 운영 기관 담당자 그리고 일반 목적 한국어만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원과도 면담을 한 후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와 비교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프로그램(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이하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교원들의 교수 경험을 심층적이고 다면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부설 어학기관에서 일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과 KIIP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이 모두 있는 한국어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 일반 어학기관에서 가르칠 때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관점에서 KIIP 교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볼 것이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는 경험을 이해하고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making meaning of experience)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한국어교원의 KIIP 교수 경험을 생동감 있으면서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현장에 존재하기(Being in the Field),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o Field Text),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Field Text),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Research Text)와 같은 다것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따를 것이다.
    연구 자료는 면담을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면서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각종 문헌들도 함께 수집하여 면담 내용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할 것이며 Connelly와 Clandinin(2000:215)이 내러티브 탐구의 타당성은 풍부한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 것에 기초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기록, 연구일지(journal entries), 기억상자(memory boxes)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자료 및 연구 내용과 관련된 신문 기사나 자료들도 수집을 할 것이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현장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대주제, 소주제, 주제어를 중심으로 범주화를 한 후, 계속해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threads), 주제(theme) 등을 찾아내기 위해 영역 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 분석(taxonomic analysis)을 할 것이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members check) 과정을 거칠 것이며(Lincon & Guba, 1985),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KIIP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을 보다 뚜렷하게 비교하고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여 주는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실시할 것이며 이를 위해 KIIP 거점 운영 기관 담당자 그리고 일반 목적 한국어만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원과도 면담을 한 후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와 비교할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i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 Korean in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To this end,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both taught general purpose Korean at university language institutions and special purpose Korean language at KIIP will be able to draw out their voices and explore the meaning of KIIP teaching experience from their perspective.
    Narrative inqui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posed by Clandin and Connelly(2000),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to give meaning to the experience, so it will be the most suitable way to convey the KIIP teachi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live and as it is.
    Procedures in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ollowing steps: Being in the Field proposed by Clandin and Connelly, From Field to Field Text, Composing Field Text, 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and Composing Researching Text.
    The research materials are collected mainly in interviews, an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research participants are collected together to supplement the interviews. The interview will be conducted as a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based on what Connelly and Clandin(2000:215) say the validity of the narratives can be found in rich sources, journal entries, and memory boxes.
    The data analysis will be repeatedly read from the collected field text, categorizing it around major subjects, small subjects, and keywords, followed by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to find patterns, plots, and themes that appear continuously.
    In addition,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we will go through the members check process (Lincon & Guba, 1985).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통합프로그램(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이하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교원들의 교수 경험을 심층적이고 다면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대학 부설 어학기관에서 일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과 KIIP에서 특수 목적 한국어를 가르친 경험이 모두 있는 한국어교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KIIP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 일반 어학기관에서 가르칠 때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로 이끌어내고 그들의 관점에서 KIIP 교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 볼 것이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안한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는 경험을 이해하고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making meaning of experience)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한국어교원의 KIIP 교수 경험을 생동감 있으면서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현장에 존재하기(Being in the Field), 현장에서 현장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o Field Text),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Field Text), 현장 텍스트에서 연구 텍스트로 이동하기(From Field Text to Research Text),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Composing Research Text)와 같은 다것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과정을 따를 것이다.
    연구 자료는 면담을 위주로 자료를 수집하면서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각종 문헌들도 함께 수집하여 면담 내용을 보완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으로 진행할 것이며 Connelly와 Clandinin(2000:215)이 내러티브 탐구의 타당성은 풍부한 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한 것에 기초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기록, 연구일지(journal entries), 기억상자(memory boxes)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자료 및 연구 내용과 관련된 신문 기사나 자료들도 수집을 할 것이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현장 텍스트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대주제, 소주제, 주제어를 중심으로 범주화를 한 후, 계속해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threads), 주제(theme) 등을 찾아내기 위해 영역 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 분석(taxonomic analysis)을 할 것이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members check) 과정을 거칠 것이며(Lincon & Guba, 1985),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절차로 KIIP에서만 드러나는 특징을 보다 뚜렷하게 비교하고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높여 주는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실시할 것이며 이를 위해 KIIP 거점 운영 기관 담당자 그리고 일반 목적 한국어만을 가르치는 한국어교원과도 면담을 한 후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와 비교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들의 KIIP 교수 경험에 대해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며 이민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언어적인 어려움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한국어교육 연구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실시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와 활용방안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한국어교원들의 내러티브는 KIIP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면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교육에 대한 가치관과 사고방식, 교육 철학 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양적 연구나 통계 결과 등이 보여주지 못한 KIIP 한국어교육 현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대학부설 언어교육 기관에서 실시되는 일반 목적 한국어 수업과 KIIP에서 실시되는 특수 목적 한국어 수업이 서로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KIIP의 어떤 점이 특성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반 목적과 달리 특수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이민자들을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민자들이 KIIP를 통해 한국어를 제대로 배울 수 있게 되어 한국사회에서 소외된 자로 남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며 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어교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KIIP의 한국어 수업의 개선점을 제시하고 이민자들이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해 준다면 이민자들의 사회통합교육 참여가 확대될 것이고 이민자 사회적응 및 효율적인 사회통합 정책에 기여하는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질 연구 결과를 통해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며 이후 KIIP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에도 정보를 제공해 주어 궁극적으로 KIIP 한국어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육, 이민자, 내러티브 탐구, 현장 텍스트, 연구 텍스트, 자료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